신편 한국사고대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Ⅱ. 백제의 변천1. 한성시대 후기의 정치적 변화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1. 백제의 기원
          • 1) 백제 초기사를 보는 시각
          • 2) 건국설화
          • 3) 건국집단의 기원과 주민구성
            • (1) 건국집단의 기원
            • (2) 주민구성
        • 2. 백제의 성립과 발전
          • 1) 백제국과 목지국
          • 2) 백제국 성장의 배경
          • 3) 백제국의 성장
          • 4) 정복전쟁과 마한통합
      • Ⅱ. 백제의 변천
        • 1. 한성시대 후기의 정치적 변화
          • 1) 한강유역의 상실
            • (1) 왕위계승 분쟁과 왕권의 쇠퇴
            • (2) 개로왕대의 왕권강화 시도와 파탄
          • 2) 백제와 신라의 동맹
        • 2. 웅진천도와 중흥
          • 1) 동성왕의 활동
            • (1) 웅진천도와 정정의 불안
            • (2) 웅진시대의 정치적 변화상
            • (3) 동성왕의 왕권강화책과 신진세력의 등장
          • 2) 무령왕의 활동
            • (1) 무령왕의 출자와 즉위과정
            • (2) 무령왕의 왕권안정을 위한 시책
        • 3. 사비천도와 지배체제의 재편
          • 1) 성왕의 사비천도
          • 2) 정치체제의 개편
            • (1) 5방제의 실시
            • (2) 22부사의 설치
        • 4. 지배세력의 분열과 왕권의 약화
          • 1) 집권체제의 모순
          • 2) 귀족세력의 분열
          • 3) 대외관계의 변화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1. 중국왕조와의 관계
          • 1) 대중관계의 시작
          • 2) 대중관계의 전개
            • (1) 한성시대
            • (2) 웅진시대
            • (3) 사비시대
            • (4) 멸망 이후
          • 3) 대중관계의 성격
        • 2. 백제의 요서영유(설)
          • 1) 요서영유설에 대한 여러 견해
          • 2) 요서영유 기사의 분석
          • 3) 남북조의 백제·고구려관
          • 4) 낙랑·대방의 요서이동과≪송서≫·≪남제서≫
            • (1) 낙랑군과 대방군
            • (2) 낙랑·대방의 요서이동과≪송서≫·≪남제서≫
        • 3. 왜와의 관계
          • 1) 대왜관계의 시작
          • 2) 대왜관계의 전개
          • 3) 대왜관계의 성격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1) 관등제
          • 2) 행정조직
          • 3) 왕도조직
          • 4) 귀족회의체
        • 2. 지방·군사제도
          • 1) 지방조직
            • (1) 담로제
            • (2) 방·군-성(현)제
            • (3) 촌락사회의 편제
          • 2) 군사제도
            • (1) 군사제도의 정비
            • (2) 군사권의 행사와 위임
            • (3) 군사조직과 병력의 충원
          • 3) 성곽시설
        • 3. 경제구조
          • 1) 토지제도
            • (1) 지배층의 토지지배 유형과 성격
            • (2) 농민의 토지소유
          • 2) 조세제도
            • (1) 세제의 내용
          • 3) 산업
            • (1) 농업생산력의 발전
            • (2) 수공업의 발달
        • 4. 사회 구조
          • 1) 신분제
            • (1) 왕족·왕비족
            • (2) 귀족·관료
            • (3) 민
            • (4) 노비
          • 2) 법률과 풍속
            • (1) 법률
            • (2) 풍속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백제와 신라의 동맹

 4세기 말과 5세기 초에 신라는 고구려와 동맹관계를 맺으면서 백제와 적대관계를 유지해 왔다.<廣開土大王陵 碑文>에 의하면 신라는 내물왕 44년(399)에 고구려의 보병과 기병 5만 명의 구원을 받아 자기 나라에 침입해 온 백제·가야와 왜의 연합군을 가야지역에까지 추격하여 섬멸한 적이 있었다. 당시 신라가 고구려와 동맹관계를 갖게 된 것은 우선 국초부터 빈번히 침략을 일삼던 왜세력에 대항하기 위하여 왜와 동맹관계에 있는 백제보다 고구려에 접근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리고 내물왕계 김씨 세습체제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경쟁세력인 석씨·박씨세력 및 다른 왕실세력 등을 견제, 또는 정략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눌지왕의 왕위계승 과정에서 고구려세력이 일정한 역할을 했던 것처럼192) 고구려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그런데 백제가 신라와 화친을 맺고 고구려와 적대관계를 갖게 된 것은 비유왕 7년(433)의 일이었다.193) 이 때의 화친은 백제의 적극적인 요청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 해 7월에 백제가 화친을 먼저 제의하였고, 이듬해 비유왕이 양마 2필과 흰 매를 신라에 예물로 보냈다. 신라의 눌지왕도 이에 대한 화답으로 황금과 명주를 백제에 보냄으로써 양국간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이로써 나제양국은 그 동안의 적대관계를 버리고 화친을 맺게 되었던 것이다.

 백제가 신라와 우호관계를 맺게 된 배경은 무엇보다도 백제의 대고구려 봉쇄전략의 차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백제는 고구려의 평양천도에 따른 남진정책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우선 남조국가인 송과 긴밀한 외교적 교섭을 전개하였다. 평양천도(427)부터 한성함락(475)에 이르기까지 백제와 송의 외교적 교섭은≪宋書≫百濟傳이나≪南史≫宋本紀에 의거해 볼 때 9회로 나타나고 있어서 양국간에는 빈번한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당시 북위와 송의 남북조 양국에 대해 양면외교를 펼치고 있던 고구려를 외교적으로 견제하려는 의도로 이해된다.

 백제는 신라와 수교한 이후에도 왕제 곤지를 파견하여 왜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461),194) 새외민족인 勿吉과도 연합하여195) 고구려를 배후에서 견제하고자 하였다. 더구나 백제는 남조 일변도의 외교책에서 벗어나 고구려와 긴밀한 교섭관계를 맺고 있던 북위에 국서를 보내 고구려의 정벌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고구려 장수왕의 왕녀를 북위 현종의 후궁으로 맞아들이는 문제로196) 인하여 양국이 잠시 불편한 관계로 접어들자 백제 개로왕은 이 기회를 틈타 북위에 고구려 정벌을 요청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외교활동을 통해서 백제는 중국의 북위와 송·신라·가야·왜·물길을 연결하는 다각적인 외교를 전개하여 대고구려 봉쇄망을 구축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백제는 당시 고구려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신라를 고구려로부터 유리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신라에 접근을 시도하였던 것이다.

 신라는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중반경까지 대체로 고구려군의 출병(400)과 주둔,197) 왕자 實聖과 卜好의 인질파견, 불교 수용198) 등의 사례에서 보듯이 일정하게 고구려의 정치적·문화적인 영향력 아래 놓여 있었다. 그러나 신라가 성장·발전하는 데에는 고구려의 정치적·군사적 간섭이 오히려 제약이 되는 실정이었다. 나제간의 화친은 신라의 입장에서 볼 때 고구려의 간섭을 배제하려는 자립화운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제간의 화친은 백제의 고구려에 대한 봉쇄전략과 고구려의 간섭에서 벗어나려는 신라의 필요성에 따른 양국간의 이해가 합치되어 이루어진 산물로 이해된다. 이 일로 신라는 고구려와의 동맹관계에서 벗어나 친백제정책으로 선회하였기 때문에 이후 삼국의 항쟁사에서 큰 영향을 미쳐 고구려와 나제연합의 대결구도를 설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5세기 후반 삼국의 정세는 힘의 우위에 선 고구려가 전선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백제와 신라를 번갈아 침략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199) 그러나 이 시기 고구려와 백제간의 전투는 4회인 반면에, 고구려와 신라간의 전투는 悉直原(삼척)에서의 고구려변장 살해사건을 계기로 하여200) 5세기 말까지 모두 8회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고구려는 주로 신라를 공격목표로 군사적 공세를 전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나제양군이 연합하여 고구려의 침입에 공동으로 대응하는 사례도 각각 3회씩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백제는 고구려의 대대적인 한성침공과 같은 국가 존망의 위기로부터 신라의 구원을 받기도 하였다.

 한편 신라는 소지왕 3년(481)에 彌秩夫(홍해)까지 쳐들어온 고구려와 말갈로부터 왕도가 위협당하자 백제와 가야의 구원을 받아 이를 격퇴시킨 일도 있었다.201) 이처럼 나제양국은 어느 한쪽의 힘만으로 고구려의 침략을 막지 못할 경우 상호 군사적 요청으로 공동 대응하는 관계로 발전시켜 나갔다. 나제간의 우호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여 군사동맹관계로 발전시킨 것은 백제 동성왕과 신라 소지왕 때의 일이었다. 소지왕은 동성왕의 요청에 따라 이벌찬 比智의 딸을 보내어 혼인시킴으로써(493)202) 양국은 혼인관계를 통하여 군사동맹 관계를 한층 공고히 하게 되었다.

<梁起錫>

192)≪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눌지왕 즉위년.

≪三國遺事≫권 1, 紀異 2, 제18 實聖王.
193)≪三國史記≫권 25, 百濟本紀 3, 비유왕 7년 7월, 8년 2월·9월·10월 및 권 3, 新羅本紀 3, 눌지왕 17년 7월, 18년 2월·9월·10월.
194)≪日本書紀≫권 14, 雄略天皇 5년 4월.
195)≪北史≫권 94, 列傳 82, 勿吉.
196)≪魏書≫권 100, 列傳 88, 高句麗.
197)≪中原高句麗碑≫에 보이는 “新羅土內幢主”라는 문구와≪日本書紀≫雄略天皇 8년 2월조의 기사를 통해서 당시 고구려군이 신라 영토내에 주둔하고 있었음을 알게 해준다.
198)≪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법흥왕 15년.
199)金瑛河,<高句麗의 巡狩制>(≪歷史學報≫106, 1985), 47∼50쪽.
200)≪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눌지왕 34년 7월.
201)≪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소지왕 3년 3월.
202)≪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소지왕 15년 3월.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