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Ⅱ. 백제의 변천2. 웅진천도와 중흥1) 동성왕의 활동(3) 동성왕의 왕권강화책과 신진세력의 등장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1. 백제의 기원
          • 1) 백제 초기사를 보는 시각
          • 2) 건국설화
          • 3) 건국집단의 기원과 주민구성
            • (1) 건국집단의 기원
            • (2) 주민구성
        • 2. 백제의 성립과 발전
          • 1) 백제국과 목지국
          • 2) 백제국 성장의 배경
          • 3) 백제국의 성장
          • 4) 정복전쟁과 마한통합
      • Ⅱ. 백제의 변천
        • 1. 한성시대 후기의 정치적 변화
          • 1) 한강유역의 상실
            • (1) 왕위계승 분쟁과 왕권의 쇠퇴
            • (2) 개로왕대의 왕권강화 시도와 파탄
          • 2) 백제와 신라의 동맹
        • 2. 웅진천도와 중흥
          • 1) 동성왕의 활동
            • (1) 웅진천도와 정정의 불안
            • (2) 웅진시대의 정치적 변화상
            • (3) 동성왕의 왕권강화책과 신진세력의 등장
          • 2) 무령왕의 활동
            • (1) 무령왕의 출자와 즉위과정
            • (2) 무령왕의 왕권안정을 위한 시책
        • 3. 사비천도와 지배체제의 재편
          • 1) 성왕의 사비천도
          • 2) 정치체제의 개편
            • (1) 5방제의 실시
            • (2) 22부사의 설치
        • 4. 지배세력의 분열과 왕권의 약화
          • 1) 집권체제의 모순
          • 2) 귀족세력의 분열
          • 3) 대외관계의 변화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1. 중국왕조와의 관계
          • 1) 대중관계의 시작
          • 2) 대중관계의 전개
            • (1) 한성시대
            • (2) 웅진시대
            • (3) 사비시대
            • (4) 멸망 이후
          • 3) 대중관계의 성격
        • 2. 백제의 요서영유(설)
          • 1) 요서영유설에 대한 여러 견해
          • 2) 요서영유 기사의 분석
          • 3) 남북조의 백제·고구려관
          • 4) 낙랑·대방의 요서이동과≪송서≫·≪남제서≫
            • (1) 낙랑군과 대방군
            • (2) 낙랑·대방의 요서이동과≪송서≫·≪남제서≫
        • 3. 왜와의 관계
          • 1) 대왜관계의 시작
          • 2) 대왜관계의 전개
          • 3) 대왜관계의 성격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1) 관등제
          • 2) 행정조직
          • 3) 왕도조직
          • 4) 귀족회의체
        • 2. 지방·군사제도
          • 1) 지방조직
            • (1) 담로제
            • (2) 방·군-성(현)제
            • (3) 촌락사회의 편제
          • 2) 군사제도
            • (1) 군사제도의 정비
            • (2) 군사권의 행사와 위임
            • (3) 군사조직과 병력의 충원
          • 3) 성곽시설
        • 3. 경제구조
          • 1) 토지제도
            • (1) 지배층의 토지지배 유형과 성격
            • (2) 농민의 토지소유
          • 2) 조세제도
            • (1) 세제의 내용
          • 3) 산업
            • (1) 농업생산력의 발전
            • (2) 수공업의 발달
        • 4. 사회 구조
          • 1) 신분제
            • (1) 왕족·왕비족
            • (2) 귀족·관료
            • (3) 민
            • (4) 노비
          • 2) 법률과 풍속
            • (1) 법률
            • (2) 풍속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나. 동성왕의 왕권강화책

 정치적 혼미 속에서 즉위한 동성왕은 금강유역의 신진세력을 과감히 등용함으로써 실추된 왕권을 회복하고 왕권의 안정기반을 구축하여 천도에 따른 정정불안을 수습하여 나갔다. 이를 위해 그는 대내적으로 지배세력의 개편작업, 신라 왕실과의 통혼, 왕·후·태수제 실시 및 토목공사를 크게 일으켜 실추된 왕권을 진작시키려 하였다. 대외적으로는 기존의 나제동맹을 축으로 신라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고구려에 공동으로 대처하였고, 또 남조국가인 南齊와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맺어 고구려를 견제하였다.

 먼저 웅진이 새 왕도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 궁실과 임류각 및 웅진교를 가설하였고, 牛頭城·沙峴城·耳山城·沙井城 등 왕도 주변의 방어시설을239) 구축하였다. 이 시기에 크고 작은 토목공사가 빈번히 실시된 것은 그 동안 실추된 왕권을 진작시키려는 의도에서였다. 이러한 관방의 요지에 신진세력들을 전출시켜 진수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적극적인 지방지배를 꾀하는 동시에 왕권 중심으로 중앙 귀족세력들을 재편성하려는 왕권강화의 측면도 갖고 있다. 그리고 지배력이 직접 미치지 못하는 지방의 거점지역에는 이른바 지명·왕·후제를 실시하였다.240) 이는 그의 지배체제 확립과 고구려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운 귀족세력들에게241) 남제로부터 공인받은 형식을 빌어 작호를 수여한 것이다. 그 분봉지역도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전라도 일대에 걸쳐 있었는데,242) 후에 무령왕대에 실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擔魯制 실시와243) 깊은 관련을 가진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동성왕대에는 남제로부터 책봉을 받은 이래 우호관계를 유지하면서 외교적으로 고구려를 견제하였다. 또한 신라와는 공수동맹체제를 갖추어 고구려의 남침에 적극 대항하였다. 나제양국은 비유왕 7년(433;신라 눌지왕 17)에 화친을 맺은 이래 고구려의 남진책에 공동으로 대응해 왔다. 나제간의 우호관계가 더욱 공고화되어 실질적인 군사동맹관계로 발전하게 된 것은 동성왕과 신라의 소지왕(479∼499) 때의 일이다. 이 시기에 고구려가 신라를 침공한 것은 6회인 반면 백제는 1회에 불과하다.244) 백제는 彌秩夫(흥해)전투(481), 母山城(진천)전투(484), 薩水原(괴산 청천)전투(494)에서 신라를 구원하였고, 반면 稚壤城전투(495)에서는 신라로부터 구원을 받아 고구려군을 물리치기도 하였다. 동성왕 15년(493) 3월에는 왕의 요청으로 신라 눌지왕이 이벌찬 比智의 딸을 보내어 혼인시켰다. 이 결혼동맹은 고구려의 남진을 어느 정도 저지할 수 있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백제 내부에 있어서는 기존의 왕비족세력과 연합하여 정국을 운영하던 체제에서 벗어나 왕권을 강화하려는 조치로 이해된다. 그러나 신라가 지증왕이 즉위하면서(500) 친고구려 노선으로 전환할 징후를 보이자245) 동성왕 23년 백제는 신라와의 경계선에 있는 전략적 요충인 炭峴에 성책을 설치하여 신라에 대한 경계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끝으로 사비로의 천도를 계획하여 왕권 중심의 정치운영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사비천도는 물론 성왕대에 단행되지만, 이미 동성왕대부터 준비되었을 것으로 보인다.246) 동성왕 12년(490)과 23년 세 차례에 걸쳐 사비지역에서 사냥을 실시하였는데, 이 때에 사비지역을 천도 후보지로 주목하였을 것이다.247) 특히 그 말년 무렵에 ‘水陸之衝’의 요처로248) 알려진 임천의 가림성을 축조하여 당시 실세귀족이었던 위사좌평 백가를 전보시킨 점도 이를 시사해 준다. 웅진에 세력기반을 가진 백가는 혹시 사비천도로 인해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상실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에 반발하여 사비 西原에서 사냥을 하고 있던 동성왕을 살해하였다.249)

 이와 같이 동성왕대에 추진된 일련의 왕권안정과 지배기반의 확대를 위한 시책은 어느 정도 가시적인 성과가 있어서 후대의 무령왕·성왕대로 이어지는 왕권 중심의 정치운영에 바탕이 되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임류각의 건축 등 대규모 토목공사를 자주 일으켜서 실추된 왕권을 회복하려는 시도는 국력의 소모와 민심의 이탈을 가져왔고, 수재와 가뭄 등의 거듭된 자연재해와 진휼대책의 불비는 농민의 생활을 피폐시켜 왕정의 인적·물적인 기반을 약화시켰던 것이다. 그리고 집권 말기에는 사비천도를 계획하여 왕권의 권력기반을 강화시키는 전기로 삼으려 하였으나 도리어 그의 측근이었던 신진세력 백가에게 살해당하고 말았다. 신·구세력의 대립과 조정 역할을 통한 왕권의 안정이 당면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신진세력을 중용하여 권력기반을 확대하고자 한 점은 그의 정치적 한계라 할 수 있다.

239)웅진시대 웅진성의 방어체제에 대해서는 兪元載, 앞의 글, 77∼88쪽 참조.
240)坂元義種,<五世紀の百濟大王とその王·侯>(≪古代東アジアの日本と朝鮮≫, 吉川弘文館, 1978), 96∼102쪽.

梁起錫,<五世紀 百濟의 王·侯·太守制에 대하여>(≪史學硏究≫38, 1984), 65∼78쪽.
241)≪南齊書≫백제전의 ‘魏虜’ 기사를 490년 백제와 북위간에 전쟁을 벌인 사실로 이해하였으나, 최근 백제와 싸운 상대를 ‘匈梨’로 보고 이를 고구려로 인식하여 결국 백제와 고구려 간의 전쟁기사로 보는 견해가 있어 주목된다(兪元載,<魏虜의 백제침입기사>,≪百濟硏究≫23, 1992, 92∼94쪽).
242)末松保和,≪任那興亡史≫(六興出版社, 1956), 110∼113쪽.
243)李基白,<百濟史上의 武寧王>(≪武寧王陵≫, 文化財管理局, 1973), 68∼69쪽.

한편 담로제의 실시 시기를 근초고왕대로 소급해서 보는 견해도 있으나(盧重國,<漢城時代 百濟의 地方統治體制>,≪邊太燮博士華甲紀念 史學論叢≫, 1985, 145∼153쪽), 이곳에 자제종족을 파견하여 지방통치를 강화해 나간 시점은 웅진시대로 보아야 할 것이다.
244)이 시기에 신라와 고구려간의 전투는 소지왕 3년, 6년, 11년, 16년, 18년, 19년의 6회이고, 반면 백제와 고구려간의 전투는 동성왕 17년 뿐이다.
245)梁起錫,<5∼6세기 전반 新羅와 百濟의 관계>(≪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 論文集≫15, 신라문화선양회, 1994), 86∼88쪽.
246)盧重國,<百濟王室의 南遷과 支配勢力의 變遷>(≪韓國史論≫4, 서울大 國史學科, 1978), 75쪽.

李基白, 앞의 글(1978), 19쪽.
247)盧重國, 앞의 글, 93∼94쪽.
248)≪三國史記≫권 28, 百濟本紀 6, 의자왕 2년 7월.
249)동성왕이 말년에 6좌평제의 개편과 22부제 실시와 관련된 정치개혁으로 인해 苩加에게 시해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李鍾旭,<百濟의 佐平>,≪震檀學報≫45, 1978, 47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