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3. 민속종교2) 민속종교의 신 관념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1. 불교사상의 전개
          • 1) 나말려초의 교종과 선종
            • (1) 왕건의 선대 세력과 선종
            • (2) 왕건과 승려의 결합
            • (3) 4무외사와 그들의 선사상
            • (4) 나말려초의 화엄결사
          • 2) 광종대의 불교통합운동과 천태학의 연구
            • (1) 광종대의 불교통합운동
            • (2) 천태학의 연구
          • 3) 현종대 이후 화엄종·법상종의 대두와 불교계의 모순
            • (1) 귀족불교의 융성
            • (2) 불교계의 모순
          • 4) 대각국사 의천의 불교개혁운동과 천태종의 창립
            • (1) 당시의 동아시아 불교
            • (2) 고려 불교계의 동향
            • (3) 의천의 행적과 연학
            • (4) 불교개혁운동과 천태종 개창
          • 5) 승관조직과 승과제도
            • (1) 승관조직
            • (2) 승과제도
        • 2. 대장경의 조판
          • 1) 초조대장경의 조판
            • (1) 조판의 동기 및 착수시기
            • (2) 조판의 경위 및 규모
            • (3) 초조본의 특성
          • 2) 속장의 조판
            • (1) 조판의 동기
            • (2) 장소 수집 및 조판 경위
            • (3) 전래본
            • (4) 속장의 특성
        • 3. 불교행사의 성행
          • 1) 불교행사의 유형과 전개
            • (1) 불교행사 성행의 시대적 배경
            • (2) 불교행사의 유형
            • (3) 불교행사의 전개와 의례적 구조
          • 2) 항례적인 불교행사
            • (1) 연등회
            • (2) 팔관회
            • (3) 인왕백고좌도량
            • (4) 장경도량
            • (5) 보살계도량
            • (6) 축수도량 및 기신도량
            • (7) 담선법회
          • 3) 각종의 도량
            • (1) 화엄경도량
            • (2) 반야경도량
            • (3) 법화도량
            • (4) 금광명경도량
            • (5) 약사도량
            • (6) 제석도량
            • (7) 신중도량
            • (8) 공덕천도량
            • (9) 소재도량
            • (10) 문두루도량
            • (11) 불정도량
            • (12) 마리지천도량
            • (13) 관정도량
            • (14) 기우도량
          • 4) 반승과 재회
          • 5) 향도조직
            • (1) 향도의 기원
            • (2) 고려 전기 향도의 조직과 활동양상
            • (3) 고려 후기 향도의 변화
        • 4. 사원의 경제 활동
          • 1) 사원경제의 배경
            • (1) 정치적 배경
            • (2) 종교적 배경
          • 2) 사원전의 확대와 경영
          • 3) 사원의 수공업
          • 4) 사원의 상행위
      • Ⅱ. 유학
        • 1. 유학사상의 정립
        • 2. 유학사상의 발전
        • 3. 유학사상의 실천적 전개
          • 1) 오행설과 천인합일설
            • (1) 오행설과 정치
            • (2) 유교정치이념과 월령
            • (3) 천문관과 유교사상
          • 2) 효와 예
            • (1) 5륜과 5교
            • (2) 윤리와 법
            • (3) 유교의 실천윤리
            • (4) 5례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 도교사상
          • 1) 고려 도교의 수용과 전개
            • (1) 고려 초기의 도교
            • (2) 북송 도교의 수용과 복원궁 건립
            • (3) 과의도교의 체계화와 도교의례
            • (4) 도관 건립의 증가
          • 2) 도교사상의 전개
            • (1) 도교사상의 확산
            • (2) 재초청사의 도교이념
            • (3) 도교신앙과 그 사상
        • 2. 풍수지리·도참사상
          • 1) 풍수지리설과 도선
            • (1) 풍수지리설의 정의와 기원
            • (2) 도선과 도선식 풍수사상의 특징
          • 2) 풍수지리·도참사상의 추이
            • (1) 고려시대 풍수사상의 특성
            • (2) 서경천도운동
        • 3. 민속종교
          • 1) 고려시대 민속종교 이해의 문제점
          • 2) 민속종교의 신 관념
            • (1) 천신
            • (2) 산신
            • (3) 성황신
            • (4) 수신
            • (5) 기타
          • 3) 민속종교의 의례
            • (1) 치병
            • (2) 기우제
            • (3) 점복
            • (4) 기복제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천신

 天神은 하늘 자체를 신격화한 것으로, 고대사회에서부터 이미 중요한 숭배의 대상이었다. 고려시대에도 태조 10년(927) 후백제군과의 桐藪전투를 앞두고 祭天한 것을 필두로 하여,673) 이후 圓丘祭·八關會·醮 등의 각종 국가 제사를 통하여 숭배되어 왔다.

 원구제란 하늘의 형상을 본뜬 원구라는 제단에서 昊天上帝를 제사하는 것인데, 매년 정월 첫번째 辛日과 4월의 길일 두 차례에 걸쳐 정기적으로 거행되었으며,674) 그 밖에도 국가의 불행이 있을 때에는 수시로 거행되었다. 그리고 매년 11월에 거행되는 팔관회는 태조의 훈요 10조 제6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천령 및 5악·명산·대천·용신을 섬기는 것”이며,675) 醮는≪고려사≫禮志 雜祀條에 언급된 바와 같이 “수시로 천지 및 경내의 산천을 대궐 뜰에서 두루 제사하는 것”이다.

 물론 이들 국가제사를 토대로 민속종교의 천신을 논하기는 어려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호천상제는≪詩經≫을 비롯한 유교경전에 보이는 신이며, 원구제는 성종 2년(983)에 유교에 입각하여 국가제사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처음 시행된 것이기 때문이다. 또 팔관회도 명칭 자체가 불교의식에서 나온 것일 뿐만 아니라 국왕의 法王寺 행차가 주요부분을 이루고 있는 행사이며, 醮도 도교의례의 명칭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의례는 어느 것이나 그 원래의 모습과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먼저 원구제의 경우, 중국에서는 후한 광무제 建武 2년(A. D. 26) 국가제사로서 정착된 이래 역대 왕조에 의해 계속되어 왔으며, 그 祭日은≪禮記≫郊特牲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동지일의 제사가 正祭로서 가장 중시되어 왔다.676) 그러나 고려에서는 동지일의 제사가 없다. 이러한 사실은 고려의 원 구제가 중국제도의 복사판이 아님을 의미한다. 또 팔관회도 하루 낮 하루 밤 동안 八戒를 지킨다는 원래의 의미와는 달리 천령·5악·명산·대천·용신을 섬기는 것으로서,677)≪고려도경≫사우조에서도 이를 고구려의 제천행사인 東盟과 연결시키고 있어 순수한 불교행사가 아니었음을 짐작케 한다. 그리고 도교의 초는 밤중에 술이나 마른 고기 등을 차려놓고 消災度厄을 위해 星辰에 제사하는 것인데,678) 고려의 초는 북극성을 신격화한 天皇大帝나 太一 등을 제사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천지와 산천을 대궐 뜰에서 合祀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의 전통적 천신관념이 이들 의례 속에 투영된 결과라 하겠으며, 나아가 이들 의례를 통해 민속종교의 천신관념을 짐작해 볼 수 있겠다.

 그렇다고 할 때 먼저 지적할 수 있는 사실은 천신이 神界의 최고신으로 여겨졌다는 점이다. 이규보가 신종 7년(1204) 경주 민란을 진압하고 지은<公山大王謝祭文>679)에서 동경 민란의 진압은 공산 산신이 국가를 위해 皇天上帝에게 변고해 준 덕택이라 한 것이나, 고종 6년(1219) 桂陽都護府副使로 있으면서 지은<桂陽祈雨城隍文>680)에서 비가 오도록 성황신이 지방관인 자신을 대신해서 하늘에 부탁해 달라고 한 것, 또 고종 41년(1254) 太廟의 제문에서 몽고병이 물러가도록 종묘의 신령으로 하여금 상제에게 부탁해 달라고 한 것681) 등은 바로 이러한 사실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서 이들 자료에서 천신이 왕실의 조상신이나 성황신·산신보다 상위의 신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자료에서 천신이 비를 내리고 兵禍를 막아주는 등, 인간의 길흉화복에 큰 힘을 발휘하는 전지전능한 신으로 여겨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고려에서는 원구제 등에서 정기적으로 풍요와 비 등을 비는 이외에도, 천재지변이 극심하여 다른 초자연적 방법들로 이를 물리치지 못할 때면 천신에게 직접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예컨대 숙종 7년(1102) 송충이 극성을 부려 講經會를 열었지만 효험이 없자 왕이 군신을 거느리고 禁中에서 상제와 五帝에게 3일간 기도했다거나,682) 예종 원년(1107) 가뭄이 들어 강경회를 열고 神廟에서도 빌었지만 효과가 없자 왕이 군신을 거느리고 會慶殿에서 호천상제에게 직접 제사했다는 것683) 등이 그것이다.

 이렇듯 천신은 국가적 차원에서 致祭되고 있었지만, 현종 15년(1024) “봄부터 가뭄이 심하여 백성들이 모여 하늘에 부르짖으면서 기도하였다”라는 기사로 미루어 민간에서도 이에 대한 제사가 행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684) 그렇지만 천신은 마을이나 개인의 문제를 기원하기에는 워낙 높고 무한한 존재였다. 때문에 천신숭배는 고려 일대를 통하여 주로 국가적 차원에서 계속되었고, 인하여 민간신앙과는 점차 거리가 멀어져 갔다. 민간 차원에서의 천신에 대한 의례나 祭場에 대한 고려시대의 기록이 적은 것은 이러한 데에도 원인이 있다 하겠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사실은 민속종교의 帝釋神(天帝釋) 신앙이다. 제석신은 오늘날 민속종교에서도 중요한 신격으로 숭배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이미 고려시대의 기록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규보가<老巫篇>에서 이웃에 사는 늙은 무당이 天帝釋을 모셨다고 한 것이나,685)≪고려사≫에서 공민왕 때 천제석임을 자칭하는 무당들이 있었음을 전하는 것이686) 바로 그것이다. 제석이란 원래 須彌山 꼭대기에 위치한 忉利天을 주재하는 불교의 천신이다. 그러나 민속종교의 제석신은 불교의 신격을 그대로 가져온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민속종교에서 제석신은 가택신·생산신·인간의 수명과 복을 관장하는 신으로 여겨지고 있어,687) 불교의 제석과 상당히 다른 면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민속종교의 제석신이란 민속종교 원래의 신격을 불교 용어를 빌어 표현한 것임을 의미한다. 그렇다고 한다면 제석신이란 용어를 빌어온 데에는 나름대로 이유 내지 양자 사이에 어떤 공통점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공통점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다같이 천신이라는 점이다. 즉 민속종교 원래의 신격이 천신이었기 때문에 불교의 천신명을 빌어 제석신이라 표현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할 때 민간층의 천신신앙은 제석신 신앙으로 그 명맥을 이어온다고 하겠으며, 이러한 현상은 고려시대로까지 소급될 수 있겠다.≪三國遺事≫고조선조에서 단군의 할아버지로서 전통적 천신임에 틀림없는 환인을 제석이라 주석한 것도 이러한 의미에서 이해된다.

 한편 고려시대의 민속종교에서는 별들도 숭배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 이규보의<노무편>인데, 여기에는 무녀가 七元(日月과 5星이지만, 이 경우는 북두칠성)과 九曜(日月을 포함한 9星)를 그린 巫神圖를 봉안하고 있었음이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공민왕대의 인물인 洪彦博이 매일 밤 하늘의 별에 기도하였다는≪櫟翁稗說≫前集 2의 기록도 참고가 된다.

673)≪新增東國輿地勝覽≫권 27, 河陽縣 山川 醮禮山.
674)≪高麗史≫권 59, 志 13, 禮 1, 吉禮大祀 圜丘.
675)≪高麗史≫권 2, 世家 2, 태조 26년 4월.
676)福永光司,<昊天上帝と天皇上帝と元始天尊>(≪道敎思想史硏究≫, 岩波書店, 1987), 130∼134쪽.
677)명종 때 文克謙이 “太祖始設八關 盖爲神祇也”라고 한 것도 참고가 된다(≪高麗史≫권 99, 列傳 12, 文克謙 및≪高麗史節要≫권 13, 명종 14년 10월).
678)≪隋書≫권 35, 經籍志 4, 道經.
679)李奎報,≪東國李相國集≫권 37.
680)위와 같음.
681)≪高麗史≫권 24, 世家 24, 고종 41년 10월 무자.
682)≪高麗史≫권 54, 志 8, 五行 2.
683)≪高麗史≫권 12, 世家 12, 예종 원년 7월 기해.
684)≪高麗史≫권 4, 世家 4, 현종 15년 5월 계사.
685)李奎報,≪東國李相國集≫권 2.
686)≪高麗史≫권 114, 列傳 27, 李承老 附 云牧 및 권 111, 列傳 24, 柳濯.
687)≪한국민속대사전≫2 (민족문화사, 1991), 1252∼1253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