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1. 관학1) 성균관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1. 정치사상 기반
        • 2. 통치 구조
          • 1) 관료체제의 특징
          • 2) 통치기구
        • 3. 경제구조
        • 4. 사회신분구조
      • Ⅱ. 중앙 정치구조
        • 1. 정치구조의 정비와 정치기구
          • 1) 정치구조의 정비
          • 2) 정치기구의 기능과 구성
            • (1) 도평의사사·문하부·(의흥)삼군부·집현전
            • (2)≪경국대전≫상의 직계아문
            • (3)≪경국대전≫상의 6조 속아문
        • 2. 관직과 관계
          • 1) 관직
            • (1) 문반직·무반직·잡직
            • (2) 실직·허직·녹직·무록직
          • 2) 관계
            • (1) 문산계와 무산계
            • (2) 종친제·의빈계
            • (3) 잡직제
          • 3) 관직과 관계
      • Ⅲ. 지방 통치체제
        • 1. 지방 통치체제의 특징
        • 2. 8도체제의 확립
        • 3. 군현제의 정비
          • 1) 속현의 주현화
          • 2) 임내의 정리
            • (1) 속현의 정리
            • (2) 향·소·부곡의 정리
          • 3) 면리제의 정착
          • 4) 군현 명칭의 개정
          • 5) 소현의 병합과 그 한계
          • 6) 향리 직제의 개혁
        • 4. 행정구역과 행정체계
          • 1) 행정구역
            • (1) 도역과 군현 및 면·리 편성
            • (2) 특수구획:월경지와 견아상입지
          • 2) 지방 행정체계
            • (1) 도의 직제와 행정체계
            • (2) 군현직제와 행정체계
        • 5. 지방자치적 기구
          • 1) 경재소와 유향소
          • 2) 면리임과 5가작통제
          • 3) 향촌 제규약과 좌목
      • Ⅳ. 군사조직
        • 1. 초기 군사제도의 정비
          • 1) 초기 중앙군제의 정비
            • (1) 10위제와 특수부대
            • (2) 사병혁파와 10위제의 변화
          • 2) 초기 지방군제의 정비
            • (1) 육수군
            • (2) 수군(기선군)
            • (3) 익군
          • 3) 군역제도의 정비
            • (1) 군역의 일원화
            • (2) 보법의 성립
        • 2. 5위체제의 확립과 중앙군제
          • 1) 5위체제의 확립
          • 2) 5위의 병종
          • 3) 금군
          • 4) 5위의 군계급과 편제
          • 5) 수도방위의 실제
            • (1) 입직
            • (2) 행순
            • (3) 시위·첩고·첩종
        • 3. 진관체제의 확립과 지방군제
          • 1) 진관체제의 성립
          • 2) 진관의 편제와 유방
          • 3) 진관체제의 변화와 제승방략
        • 4. 군령·군정기관의 정비
          • 1) 군령기관의 정비
            • (1) 의흥삼군부와 군령권
            • (2) 병조권의 강화와 삼군진무소
            • (3) 군령권의 정비
            • (4) 오위도총부의 성립과 군령권의 확립
          • 2) 군정기관의 정비
            • (1) 건국 초기의 군정기관
            • (2) 병조의 군정기능 확립과 속아문
        • 5. 군비의 확충
          • 1) 화기의 발달과 성능
            • (1) 화기 제조의 발달
            • (2) 화기의 종류와 성능
          • 2) 군량미의 확보와 운송
            • (1) 각도 군량미의 확보
            • (2) 양계지방의 군량미 확보
            • (3) 군자감창의 군자미와 운송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1. 관학
          • 1) 성균관
            • (1) 명칭과 시설
            • (2) 문묘종사와 석전
            • (3) 입학 및 교육
            • (4) 관학
            • (5) 성균관의 경제적 기반
          • 2) 4부 학당(4학)
            • (1) 학당의 설치
            • (2) 4부 학당의 교육
            • (3) 4부 학당의 교관
            • (4) 4부 학당의 경비
          • 3) 종학
            • (1) 종학의 설치와 교육
            • (2) 종학의 교관
          • 4) 잡학
            • (1) 10학의 설치
            • (2) 잡학 교육
            • (3) 잡학 교관
          • 5) 향교
            • (1) 향교의 설치와 교육
            • (2) 향교의 문묘
            • (3) 향교의 교관
            • (4) 교생의 신분
            • (5) 향교의 경제기반
        • 2. 사학
          • 1) 서재
          • 2) 서당
        • 3. 과거제의 정비와 운영
        • 4. 과거의 종류
          • 1) 문과
          • 2) 생원·진사시
          • 3) 무과
          • 4) 잡과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성균관

(1) 명칭과 시설

 성균관은 문과시험을 준비하는 조선왕조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다. 성균관 은 관학의 최고학부였기 때문에 유생들이 학습·기숙하는 모든 비용은 국가에서 지급하게 되어 있었다. 이 점은 사학·종학·향교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성균관의 명칭은 國學·太學·泮宮·賢關·芹官이라고도 하였다. 「成均」은 禮樂을 통하여 국가의 인재를 양성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366) 「國學」은 ‘國의 學’이라는 뜻이요,367) 「太學」은 「大學」과 같은 뜻으로 천자의 학을 의미하였으니368) 「국학」이 제후의 학이라면 「태학」은 천자의 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자는 혼동하여 쓰이기도 하였다. 뒤에 중앙의 관학을 國子學·太學·四門學으로 나누었으나 이 때의 태학은 입학생 등급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였다.

 고려 말 이후의 성균관은 두 가지 큰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하나는 국가의 지배사상인 주자학이념 보급의 근거지로서의 기능이요, 다른 하나는 국가의 관료를 양성하는 관료양성소로서의 기능이다. 고려 말의 신흥사대부와 신흥무장이 주축이 된 신귀족들은 불교를 신봉하고 사학에 근거를 둔 구귀족들을 타도하기 위하여 주자학과 관학을 일으켰다. 충렬왕 30년(1304) 5월에 安珦이 국왕 이하 백관에게서 돈을 거두어 成均監에 장학재단인 贍學錢을 두고, 박사 金文鼎을 원에 보내어 공자 및 70제자의 상과 문묘제기·악기와 6경·제자·사서를 수입하여 오게 한 것이나,369) 스스로 노비 300구를 시납한 것이나,370) 충숙왕 6년(l319) 6월에 博士 柳衍, 學諭 兪迪을 강남에 보내어 송의 秘閣圖書 10,800권을 사온 것이나, 원으로부터 다시 서적 4,071책을 받아온 것 등이 그 예이다.371) 權溥·李瑱·權漢功 등의 유학자들은 성균관에 모여 이러한 책들을 정리 연구하여 주자학 보급에 박차를 가하였다.372) 그리하여 공민왕 16년(1367) 12월에는 崇文館의 옛터에 불타버린 성균관을 중창하고 李穡을 兼大司成, 鄭夢周·朴尙衷·朴宜中·李崇仁 등을 兼敎官으로 삼아 성균관 교육을 강화하였다.373) 교과서는 주로≪四書集註≫가 채택되었으며,374) 이미 이에 대한 倡註까지 나돌게 되었다.375) 이러한 주자학연구는 공양왕대에 구귀족의 불교를 배척하고 이성계 중심의 새 왕조를 개창할 수 있는 이론적인 바탕을 만들 수 있었다.376) 공양왕 3년(1391)에 성균관의 대사성 鄭道傳과 朴礎 등 급진적인 성균관 유생들이 사원을 혁파하여 이성계 세력의 인적·물적 기반을 강화시키고자 한 주장이 그것이었다.377)

 조선이 건국되고 유교가 국가의 지배사상이 되자 성균관은 ‘明人倫 成人才’378)의 사명을 띠고 태조 7년(1399)에 국도 건설의 일부로 지금의 성균관대학교가 있는 崇敎坊에 明倫堂·文廟·東西齋·正錄廳·養賢庫·식당 등 96칸에 이르는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379) 그러나 정종 2년(1400)에 문묘가 불타버려380) 태종 7년(1407)에 중건되었으며381) 동왕 9년에는 예문대재학 卞季良으로 하여금 문묘비를 지어서 세우도록 하였다.382) 그 후 성종 3년(1472) 가을에 문묘 옆에 문묘향사의 일을 담당하는 典祀廳을 지었으며,383) 성종 5년 윤6월에는 기존 泮水의 양안에 석축을 쌓고,384) 성종 9년 7월에 반수를 갖추어 팠다.385) 아울러 성종 6년 가을에는 명륜당 북쪽에 도서관인 尊經閣을 세우고 5경·4서 각 10책과 8도로부터 찍어올린 책 수만 권을 수장하고 司藝·學正 각 1인씩을 두어 관리하게 하였다.386) 그러나 연산군 때에 성균관이 왕의 宴樂 장소로 바뀌어 교육기능을 잃었다가 중종이 즉위하면서 다시 문묘를 중수하고 교육기능을 그 전처럼 복구시키고 명나라의 예에 따라 문묘묘정비를 세웠다.387) 그 후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으로 성균관이 불타버려 선조 34년에 문묘를, 선조 39년에 명륜당 등을 다시 세웠다.388) 그리고 조선 후기에는 인조 4년(1626)에 李廷龜의 陰記를 더하여 변계량의 문묘비를 다시 세우고 효종 4년(1653)에는 香室을 다시 지었다.389) 또한 현종 4년(1663)에는 서울의 두 尼院을 헐어 北學을 세우려다가 명륜당 서쪽에 丕闡堂을 세워 명륜당의 별당학사로 사용하게 하였으며,390) 그 북쪽에 一兩齋, 남쪽에 闢入閣을 지었고,391) 영조 19년(1743)에는 大射禮를 행하는 六一閣을 명륜당 동북쪽에 세웠다.392)

366)≪文獻通考≫권 40, 學校考 1, 太學.
367) 위와 같음.
368) 위와 같음.
369)≪高麗史≫권 74, 志 28, 選擧 2, 學校.
370)≪成宗實錄≫권 70, 성종 7년 8월 무신조에 의하면 文籍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安珦(조선 문종의 諱가 珦이라 避諱하여 裕로 고쳤음-필자)이 國學에 노비 300口를 施納한 것이 사실이라고 믿을 수밖에 없다.
371)≪增補文獻備考≫권 202, 學校考 1, 太學 1 충숙왕 원년 6월.
372) 위와 같음.
373)≪高麗史≫권 115, 列傳 28, 李穡.
374)≪高麗史≫권 117, 列傳 30, 鄭夢周.
375)≪高麗史≫권 107, 列傳 20, 權㫜 附 溥.
376) 李相佰,<儒佛兩敎 交代의 機緣에 대한 硏究>(≪韓國文化史硏究論考≫, 乙酉文化社, 1941).
377)≪增補文獻備考≫권 202, 學校考 1, 太學 1.
378) 鄭道傳,≪三峯集≫권 7, 朝鮮經國典, 學校.
379) 成均館은 漢陽으로 도읍을 옮긴 다음해인 태조 4년(1395)에 착공하여 3년 뒤인 태조 7년(1398) 7월에 완공되었다(≪太學志≫상, 권 1, 學舍·廟宇).
380)≪定宗實錄≫권 3, 정종 2년 2월 정유.
381)≪太宗實錄≫권 13, 태종 7년 3월 기해.
382)≪東文選≫권 121, 有明朝鮮國學新廟碑銘幷序.
383)≪增補文獻備考≫권 203, 學校考 2, 太學 2.
384)≪成宗實錄≫권 44, 성종 5년 윤6월 신축.
385)≪成宗實錄≫권 95, 성종 9년 7월 계미.
386)≪增補文獻備考≫권 203, 學校考 2, 太學 9 성종 6년 가을.
387)≪增補文獻備考≫권 203, 學校考 2, 太學 2 중종 원년·6년.
388)≪增補文獻備考≫권 203, 學校考 2. 太學 2 선조 34년·39년.
389)≪增補文獻備考≫권 203, 學校考 2, 太學 2인조 4년·효종 4년·현종 5년 추 9월.
390)≪太學志≫하, 권 9, 事實 紀蹟. 丕闡堂에 대해서는 宋時烈의<丕闡堂記>에서, 「丕闡」이란 말은 朱子가 말한 ‘丕闡大猷 抑邪與正’이라는 말에서 따온 것이다. 丕闡堂은 조선 후기에 과거시험장으로도 쓰였다.
391)≪太學志≫하, 권 9, 事實 紀蹟 下. 「一兩」이란 이단인 불교의 사찰을 헐어 유학의 학사를 지었으니 ‘一擧而兩得’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고(朱子), 「闢入」이란 ‘關之而後 可以入道’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程子).
392)≪增補文獻備考≫권 203, 學校考 2, 太學 2 영조 19년 5월. 「六一」이란 射가 六藝(禮·樂·射 御·書·數)의 하나라는 데서 따온 것이다. 한편 成均館의 각 건물의 위치를≪太學志≫상, 권 2, 建置泮宮圖에 의거하여 간단히 그려 보면 다음과 같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