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6권 신문화운동 ⅡⅠ. 근대 언론활동1. 근대 신문의 효시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1. 근대 신문의 효시
          • 1) 신문 발간의 배경
          • 2)≪한성순보≫의 창간
            • (1) 박문국 설치
            • (2) 신문 발간의 목적
            • (3) 필화와 중국과의 관계
          • 3)≪한성주보≫의 발간
            • (1) 순보와 주보의 차이
            • (2) 국내소식과 의견기사 증가
            • (3) 기사의 출처
          • 4) 박문국의 운영
            • (1) 발행부수
            • (2) 주보의 폐간
          • 5) 개화와 국민교화의 기능
        • 2. 근대 언론의 발달
          • 1) 민간지 등장의 시대적 배경
          • 2) 최초의 민간지≪독립신문≫
            • (1) 서재필의 망명과 귀국
            • (2) 체재의 변화
            • (3) 광고
            • (4)≪독립신문≫의 역할
            • (5) 서재필의 추방
            • (6) 윤치호와 아펜젤러의 경영
          • 3) 외국인의 신문 발행과 잡지
            • (1) 일본인 발행의 신문들
            • (2) 기독교계통의 종교신문
            • (3) 잡지의 시초
          • 4) 일간지 ≪일신문≫
            • (1) 배재학당의 ≪협셩회회보≫
            • (2) 일간신문으로 발전
            • (3) 기사의 외교문제화
            • (4)≪상무총보≫발간
          • 5) 새로운 신문들
            • (1)≪경성신문≫·≪대한황셩신문≫
            • (2) 필화사건
        • 3. 언론의 구국투쟁
          • 1) 한말 언론과 계몽운동
            • (1) 국내신문
              • 가.≪제국신문≫
              • 나.≪황성신문≫
              • 다.≪대한매일신보≫
              • 라.≪만세보≫·≪경향신문≫·≪대한민보≫·≪경남일보≫
              • 마. 친일신문
            • (2) 국외신문
              • 가. 미주본토
              • 나. 하와이
              • 다. 러시아지역
          • 2) 한말 언론의 국권회복운동
            • (1) 일제의 국권침탈에 대한 저항
            • (2) 국채보상운동의 주도
            • (3) 국민계몽과 애국심의 고취
          • 3) 일제의 언론규제
            • (1) 사전검열
            • (2)<신문지법>의 제정
            • (3)<신문지법>의 개정
      • Ⅱ. 근대 종교운동
        • 1. 유교
          • 1) 유교개혁사상의 발생
          • 2) 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의 유교개혁사상
            • (1) 도학파의 유교개혁사상
              • 가. 도학파의 종교관
              • 나. 온건개화론의 유교관
              • 다. 이승희의 공교운동
            • (2) 애국계몽사상가의 유교개혁사상
              • 가. 장지연의 유교개혁사상과 대동교
              • 나. 신채호의 민족주의적 유교개혁론
              • 다. 유인식에서 유림부패의 성찰과 국수수호론
            • (3) 심학(양명학)파의 유교개혁사상
          • 3) 유교개혁사상의 한계와 의의
        • 2. 불교
          • 1) 근대와 한국불교
          • 2) 문호개방과 한국불교
          • 3) 개화운동과 불교
          • 4) 일본불교의 침투와 입성 해금
          • 5) 입성 해금 이후의 교계 동향
          • 6) 임제종운동-반조동종운동
        • 3. 천주교
          • 1) 한국근대사와 천주교회
          • 2) 병인박해와 한국천주교회
          • 3) 그리스도 전교자유의 구현
          • 4) 교안과 신교자유의 문제
          • 5) 제도교회로의 발전과 새로운 고민
          • 6) 근대 천주교회의 사회적 기여
            • (1) 교육활동
            • (2) 근대적 출판·언론 문화활동
            • (3) 근대적 사회복지사업의 전개
        • 4. 기독교
          • 1) 기독교의 수용과 정착
            • (1) 중국과 일본을 통한 접촉
            • (2) 한미수호조약의 채결과 미국의 대한선교
          • 2) 교회의 발전
            • (1) 교회의 설립과 교단조직
            • (2) 선교지역 분할과 교파 연합활동
            • (3) 네비우스선교방법과 대부흥운동
          • 3) 기독교와 민족의식
            • (1) 민족의식의 태동
            • (2) 교회의 비정치화
          • 4) 기독교와 한국의 근대화
            • (1) 의료활동
            • (2) 교육활동
            • (3) 사회개혁운동
        • 5. 천도교
          • 1) 천도교의 성립
          • 2) 천도교의 중심사상
          • 3) 천도교의 민족운동
            • (1) 제1단계 천도교의 민족운동
            • (2) 제2단계 천도교의 민족운동
        • 6. 대종교
          • 1) 대종교의 창립과 의의
          • 2) 대종교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1) 나철교조시기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2) 제2세 교주 김교헌시기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3) 대종교의 항일민족독립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1. 서양과학에 대한 인식
          • 1) 수학
          • 2) 물리학
          • 3) 화학
          • 4) 박물학
          • 5) 천문학과 기상학
          • 6) 세계관의 변화
        • 2. 근대 과학기술의 도입
          • 1) 교통·통신·전기
            • (1) 근대적 교통·통신·전신 및 전기의 도입 배경
            • (2) 사회간접자본의 전개과정
              • 가. 교통
              • 나. 통신사업
              • 다. 전기사업
          • 2) 근대 의료기술
            • (1) 서의한역서의 소개와 유입
            • (2) 일본을 통한 의료기술의 도입
            • (3) 서구 선교사들을 통한 의료기술의 도입
            • (4) 주체적인 서양의술의 수용
          • 3) 근대건축
            • (1) 19세기 말 양식건축의 이입
              • 가. 외국공관
              • 나. 천주교 및 개신교당
              • 다. 기타 건물
            • (2) 20세기 건축
              • 가. 덕수궁 석조전
              • 나. 목포 일본영사관
              • 다. 화산 천주교회당과 대구 계산동성당
              • 라. 탁지부건축소 설치와 대한의원 건립
              • 마. 조선은행 본관
              • 바. 운현궁 양관
          • 4) 근대 산업기술
            • (1) 개항 이전 서양식 무기기술의 개발
            • (2) 개항 이후 기계기술의 도입정책
              • 가. 수동식 기계의 설치
              • 나. 동력식 기계의 설치
              • 다. 화폐주조 기계의 설치
              • 라. 기타 산업기계의 구입
            • (3) 대한제국시기 방직기술의 이식
              • 가. 서양식 방직공장의 설립과 방직기계의 도입
              • 나. 근대식 방직기술의 습득
            • (4) 1905년 이후 정미기술의 이식
              • 가. 정미기술의 이식
              • 나. 정미기술의 수용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Ⅰ. 근대 언론활동

1. 근대 신문의 효시

1) 신문 발간의 배경

19세기 말 개화운동의 가장 구체적이면서 상징적인 결실은 신문의 발간이었다. 신문은 외국의 문물을 국민들에게 소개하는 한편 외세의 침략에 저항하여 자신을 수호하는 이중적인 기능을 수행한 현대사의 중심기관이었다.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은 정부기구인 博文局에서 발간한≪漢城旬報≫와≪漢城周報≫이다. 전자는 1883년(고종 20) 10월 31일에 창간되었다가 이듬해 12월 4일에 일어난 갑신정변으로 발행이 중단되었고, 그 뒤를 이은 후자는 1886년 1월 25일부터 발행되기 시작하였는데 1888년 7월경에 폐간되었다.

열강 여러 나라들과의 접촉을 통해 개화가 시급함을 깨달은 조선정부와 지도계층은 국민을 깨우치고 가르치는 가장 시급하고도 효과적인 방법은 신문의 발간이라고 판단하여≪한성순보≫를 창간하였다. 신문 발간을 전후하여 우리 나라는 열강 여러 나라들과 처음으로 수호조약을 맺기 시작하였다. 1876년 일본과 맺은 통상수호조약을 시초로 미국(1882), 영국(1883), 독일(1883), 그리고 러시아(1884)와 같은 서양열강들과 국교를 맺었다. 이러한 대외교섭의 과정에서 낙후한 국력을 신장해야겠다는 자각이 싹트게 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신문의 존재와 그 역할이 처음으로 소개되던 초기 단계에는 중국과 일본에 다녀온 사람들이 쓴 견문기에 신문이 개화에 긴요한 기관임을 기술한 내용이 담겨 있다. 1873년과 1874년 두 차례에 걸쳐 冬至使節의 일원으로 북경을 방문한 姜瑋가 쓴≪北游談草≫와≪北游續草≫를 보면 북경의 관리들과 나눈 대화 가운데 신문에 대해 언급한 내용이 들어 있다. 그 후 강화도조약이 체결된 뒤 우리 나라 관리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중국과 일본에 갔다 오면서 신문에 대해 좀더 정확한 지식을 얻게 되었다. 1876년 1월 수신사로 일본에 갔다 온 金綺秀는 귀국 후에 쓴≪日東記遊≫에다 신문·종이·인쇄·사진 등 신문 또는 서적의 인쇄와 관련되는 견문기를 비교적 정확하게 소개하였다.001)

1881년에는 신사유람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갔던 嚴世永이 일본의 국정을 보고하는 가운데 “…원로원을 두고 백성들에게 귀 기울이며 신문지를 만들어 위로는 점차 군민이 서로 함께 다스리는 데까지 이르렀고, 조야의 논의도 가히 한 곳으로 귀일했다고 할 수 있다”라고 쓰고 있다.002) 이와 같이 조선정부의 관리들은 서양열강 여러 나라는 물론이고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신문을 발행하고 있으며, 국민의 계몽과 개화를 위해서는 신문이 매우 효과적이고 필요한 존재임을 알리고 있다.

≪한성순보≫와≪한성주보≫는 이 같은 배경에서 발간되었다. 신문 발간의 목적은 “국민들에게 세계 정세를 알리는 한편 선진국가의 정치·경제 및 문화제도를 소개하고 과학지식을 보급시키어 결국은 이 나라를 문명개화의 단계로 이끌어 보기 위한” 것이었다.003)

001)金綺秀,<日東記遊>(≪修信使記錄≫:한국사료총서 9, 국사편찬위원회, 1958), 66·78∼80쪽.
002)嚴世永,≪見聞事件≫(서울대 奎章閣도서, 분류기호 1311-4-4).
003)李光麟,<漢城旬報와 漢城周報에 관한 一考察>(≪韓國開化史硏究≫, 일조각, 1974), 60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