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5. 학생운동3) 태평양전쟁하의 학생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1. 병참기지화정책
          • 1) ‘조선공업화’ 정책에서 ‘병참기지화’ 정책으로의 전환
          • 2) ‘병참기지화’ 정책의 특징
            • (1) 군수산업으로의 자원 집중
            • (2) 생산성 감퇴를 수반한 ‘산업고도화’의 실상
            • (3) 군수원료로서 광물의 생산 및 이출 급증
          • 3) ‘병참기지화’ 정책과 조선경제
            • (1) 성장을 모색하던 조선인 자본가의 한계
            • (2) 생산력과 기술 이전의 제약
          • 4) 한국자본주의사에서의 ‘병참기지화’ 정책
        • 2. 국가총동원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1) 민족말살정책의 전개와 그 성격
          • 2)<국가총동원법>의 확대와 관제운동의 실시
          • 3) 교육정책
          • 4) 언론통제정책
          • 5) 조선어 말살정책
          • 6) 창씨개명
          • 7) 신도 강요
          • 8) 결혼정책
          • 9) 징병제와 참정권
        • 3. 전시수탈정책
          • 1) 전시동원체제의 구축
          • 2) 농업증산정책과 농산물 수탈
            • (1) 조선증미계획의 전개 과정과 그 결과
            • (2) 부락생산확충계획과 농촌재편성계획의 내용
            • (3) 미곡공출의 전개 과정과 농가경제의 파탄
          • 3) 노동력 동원정책과 노동력 수탈
            • (1) 노동력의 수요 증대와 노동력 조사
            • (2) 노동력 동원의 방식과 규모
            • (3) 농촌노동력의 동원 실태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1930년대 초반 농촌사회의 변화
            • (1) 식민지 지배정책과 농촌사회의 변동
            • (2) 농촌사회 내부의 계급관계의 변화
            • (3) 소작쟁의의 격증
          • 2) 농민조합운동과 개량적 농민운동의 전개
            • (1) 농민조합운동
            • (2) 개량적 농민운동
          • 3) 1930년대 이후 농민운동의 성격
        • 2. 노동운동
          • 1) 노동조합의 조직과 산업별 노조로의 이행
          • 2) 혁명적 노동조합운동
          • 3) 개량주의와 어용 노동조합
          • 4) 노동운동의 전개
            • (1) 1930년대의 노동운동
            • (2) 종전기의 노동운동
        • 3. 여성운동
          • 1) 1930년대 여성운동사 기술의 관점
          • 2) 1930년대 여성운동 변화의 기폭제로서의 근우회 해소
          • 3) 1930년대 전반기 여성운동
            • (1) 여성노동운동
            • (2) 여성농민운동
            • (3) 잠녀(해녀)투쟁
          • 4) 1930년대 후반 이후 여성운동과 여성지식인
            • (1) 1930년대 후반 이후 노동운동
            • (2) 1930년대 후반기 이후 국내 여성농민조직운동과 조국광복회운동
            • (3) 여성운동가들의 결단과 여성지식인들의 일제체제로의 굴복
        • 4. 청년운동
          • 1)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와해
          • 2) 일제의 청년운동 탄압
        • 5. 학생운동
          • 1) 군국파쇼 일제의 통치정책과 민족운동의 변화
            • (1) 군국파쇼 일제의 통치정책
            • (2) 민족운동의 변화
          • 2) 1930년대 학생운동
            • (1) 문화계몽운동
            • (2) 동맹휴학
            • (3) 비밀결사
          • 3) 태평양전쟁하의 학생운동
            • (1) 비밀결사 흑백당의 활동
            • (2) 부산2상·동래중학의 군사훈련 반대항쟁
            • (3) 학병거부항쟁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1. 중국관내 독립운동정당의 활동
          • 1) 독립운동정당의 성립과 활동
            • (1) 한국독립당
            • (2) 의열단
            • (3) 신한독립당
            • (4) 조선혁명당
          • 2) 제 정당의 통합노력과 양대 정당체제의 성립
            • (1) 조선민족혁명당
            • (2) 한국국민당
          • 3) 양대 연합체제와 통합노력
            • (1)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 (2) 조선민족전선연맹
            • (3) 7당·5당 통일회의와 전국연합진선협회
          • 4) 양대 정당체제의 재현
            • (1) 한국독립당
            • (2) 조선민족혁명당
          • 5) 임시정부로의 합류
            • (1) 한국독립당
            • (2) 조선민족혁명당
            • (3)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
            • (4)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 (5) 신한민주당
          • 6) 1930년대 이후 독립운동정당의 특성
        • 2. 만주지역 독립군의 무장투쟁
          • 1) 조선혁명군의 성립과 항일무장투쟁의 전개
            • (1) 조선혁명군의 성립과 초기 활동
            • (2) 중국의용군과의 연합항전과 변천
            • (3) 조선혁명군(정부)의 해체와 동북항일연군 합류
          • 2) 한국독립군의 성립과 항일무장투쟁의 전개
            • (1) 한국독립군의 성립 및 중국의용군과 연합항전
            • (2) 한국독립군의 해체와 주도세력의 관내 이동
          • 3) 동북항일연군내 한인들의 활약과 조국광복회
            • (1) 한인들의 중국공산당 입당과 항일유격대의 성립
            • (2) 동북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의 성립과 한인들의 활약
            • (3) 조국광복회의 결성과 ‘항일민족통일전선’의 확산
          • 4) 1930년대 만주지역 독립군 무장투쟁의 의의
        • 3. 미주·일본지역의 독립운동
          • 1) 미주지역의 독립운동
            • (1) 1930년대 하와이 한인사회의 통일운동과 독립운동
            • (2) 1930년대 북미한인사회의 통일운동과 독립운동
            • (3) 1940년대 미주 한인사회의 독립운동
          • 2) 일본지역 민족운동
            • (1) 1930년대 일본지역 조선인의 상태
            • (2) 재일조선인 민족해방운동의 방향전환
            • (3) 1930년대 전반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4) 1930년대 후반·40년대 일본지역 민족해방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1.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
          • 1) 한국독립당의 창당
          • 2) 정부 조직의 확대와 개편
          • 3) 건국강령의 제정 반포
        • 2.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활동
          • 1) 광복군의 창설
          • 2) 중국관내 무장세력의 광복군 편입
            • (1)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의 편입
            • (2) 조선의용대의 편입
          • 3) 연합군과의 공동작전
        • 3. 임시정부로의 통일전선 형성
          • 1) 좌익진영의 임시정부 참여
          • 2) 좌우연합정부 구성
          • 3) 국내외 독립운동 단체와의 통일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태평양전쟁하의 학생운동

(1) 비밀결사 흑백당의 활동

1940년대 학생들의 항일운동은 동맹휴학이나 집단시위운동의 방법보다는 비밀결사를 통하여 실력행사를 도모코자 한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1930년대에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사회주의 이념보다는 민족주의 색채가 농후한 학생항일운동이 발전되었다.442) 그 대표적인 항일학생운동을 들어본다면, ① 대구사범학교 학생들의 문예부·연구회·茶革黨의 항일운동443), ② 함흥중학·영생중학·영생여고·함흥농업·함흥사범학생들의 함흥학생결사의 항일운동444), ③ 광주서중학생의 무등회를 통한 항일운동445), ④ 경복중학 졸업생을 중심으로 한 黑白黨의 항일운동446), ⑤ 동래중 학생의 조선독립당의 항일운동447), ⑥ 경기중학 학생의 高麗會·槐會의 항일운동448) 등이다.

이처럼 비밀결사들은 민족의 독립, 황민화교육반대, 친일파처단 등을 목적으로 조직되어 활동한 민족주의적 성격이 농후한 단체였다. 이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비밀결사는 흑백당이라 할 수 있다. 흑백당은 1942년 4월 5일 경성광산전문학교생 朱樂元(경복중학 17회 졸업생)의 집인 봉래동에서 경복중학교 17회 졸업생인 李賢相을 비롯한 7명과 중앙학교 졸업생 南相甲 등 8명이 비밀리에 창당한 항일결사였다.449)

이 당이 조직되기까지는 1939년 경복중학교 3학년에 재학하고 있던 이현상·張宜燦·洪建杓·成益煥·崔高·明義宅·주낙원 등이 항일민족운동에 일신을 바치겠다는 뜻이 모아지면서부터이다. 이들은 시간만 나면 학교 뒷동산 숲 속에 모여 좁게는 일본인교사들의 민족차별적이고 모욕적인 언행에 울혈을 터뜨리기도 하고, 넓게는 일제의 식민지 노예교육을 비판하고 국제정세에 대해서도 서로 의견을 교환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현상으로부터 중국 중경에 있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움직임과 광복군의 활약, 미국을 비롯한 해외민족운동가들의 동태를 들으면서 일제에 대한 적개심과 민족운동을 통하여 일제군부파쇼를 무너뜨리겠다는 학생으로서의 정의감과 애국심을 갖게 되었다. 이현상이 해외소식에 밝았던 것은 그의 부친 李承浩 때문이었다. 이승호는 독립운동가로 재동에서 한약방을 경영하면서 민족운동가들과 교제를 맺고 있었다.

한편 이들 학생들에게 민족의식과 민족정신을 불러 넣어준 것은 이 학교에 있었던 한국인교사 金鍾武였다. 김교사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하고 경복중학교에 부임하여 동양사와 한문을 담당하였다. 그는 수업시간 중 교실 밖을 살피면서 학생들에게 우리 나라의 역사를 낮은 목소리로 들려주곤 하였다.450)

이들 경복중학생들은 다른 학교인 경성사범학교의 金盛槿·李慶春, 중앙학교의 남상갑, 경기중학교의 金昌欽 등과 관계를 맺으면서 독서회를 통하여 동지로서의 신의를 다졌다. 1941년 경복중학교를 졸업하고 전문학교에 진학한 이들은 1942년 4월 5일 10시 주낙원의 사랑방에 모여 우선 모임의 명칭 결정에 들어가 노예상태인 암흑에서 벗어나 자유를 찾을 때까지 투쟁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있는 흑백당을 당명으로 결정하고, 이어서 선언문과 강령, 부서를 결정하였으니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451)

<선언문(요지)>

삼천리 금수강산에 단군의 후손으로 태어난 우리들은 조국이 악독한 일제의 잔인 무도한 질곡 속에서 瀕死之境에 이른 현실을 차마 눈뜨고 볼 수 없어 여기 조국과 민족을 구하고자 흑백당을 조직한다. 우리는 조국이 광복을 되찾는 그 날까지 우리의 몸과 마음을 다바쳐 모든 방법을 다하여 일제와 투쟁할 것을 삼천만 동포 앞에 엄숙히 선언한다.

 

강 령

一. 본 당원은 조국광복을 위해 身命을 바칠 것을 맹서한다.

一. 본 당원은 본당의 조직·이념·행동에 관한 사항을 절대 비밀로 한다.

一. 본 당원은 자기의 맡은바 책임을 전력을 다해 완수한다.

 

부 서

고문:한용운·안재홍·김성수

당수:이현상, 부당수:장의찬, 섭외조직책:주낙원·성익환, 행동책:명의택·홍건표, 자금책:최고·남상갑, 중앙집행위원:창당 참석자 전원(8명)

이처럼 조직된 흑백당은 민족주의 노선을 견지하면서 당원모집에 나서는 한편 실천계획과 행동목표를 첫째 일본인 주택가 방화와 일본인 살해, 둘째 친일파 처단으로 결정하였다. 첫번째 계획을 실천하기 위하여, 연합국이 반드시 서울을 폭격할 것이고 폭격이 시작되면 혼란한 틈을 이용하여 일본인이 밀집해 있는 旭町(중구 남산동 일대)에 방화하여 일본인들을 살해하려 하였다. 두번째 계획은 민족반역자인 친일파 명단을 작성하고 친일파 중 우선 처단하려고 한 인물을 이광수(香山光郞)·하산무(夏山茂)·이승우(梧村昇雨)·최린(佳山麟) 등으로 정하고 이들의 주거지와 동태를 면밀히 조사하고 있었다.452)

흑백당 중앙집행위원 8명은 조직확대를 위하여 당원 포섭에 나서서 7명의 당원을 확보, 전체 인원이 15명으로 증가되었다. 조직확대에 힘쓰면서 전기한 실천계획을 추진하기 위하여 일본인 집단거류지에 방화를 하려면 휘발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행동책인 명의택이 필요한 만큼의 휘발유를 마련하여 자기 집에 은닉하였다. 다음으로 친일민족반역자를 처단하기 위하여 무기구입에 나서 모교인 경복중학교 무기고에서 이현상·홍건표가 3·8식 소총 2자루와 실탄을 훔쳐 삼청동 숲에 감추어 두었다.453)

그러나 흑백당의 실천계획에 따른 행동이 옮겨지기도 전에 일부 당원이 체포되면서 모든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1942년 10월 경 보성전문생 김창흠이 충북 괴산경찰서에 체포당하면서 흑백당의 전모가 발각되었기 때문이다.454) 김창흠에 이어 홍건표가 체포당하고 전당원이 수사선상에 오르게 됨에 따라 나머지 당원들은 국내활동이 어려운 것을 인식하고 국외로 탈출, 중경 임시정부로 가서 광복군에 입대,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할 것을 결의하고 중국으로 망명길에 올랐다.455) 이들은 한만국경을 넘어 만주의 新民에 도착한 인원이 10명이었다. 여기서 임정이 있는 중경을 목표로 북경을 거쳐 가려고 하였으나 이들을 추격한 일경에 의하여 모두 체포당하였다. 그리하여 국내에서 체포된 김창흠·홍건표·남상갑과 함께 종로경찰서에서 신문을 받고, 1944년 4월 대전검사국으로 송치되고 대전지방법원에서 판결을 받았으니 그 형량은 징역 8년 이현상·장의찬, 징역 7년 홍건표·명의택, 징역 단기 5년 장기 7년 주낙원·성익환, 징역 5년 최고·남상갑·전희숙, 징역 3년 김성근·이경춘·이병림으로, 1945년 8·15 해방이 될 때까지 대전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456)

442)趙東杰,<총론>(≪獨立有功者功勳錄≫6 學生運動·文化運動, 국가보훈처, 1988), 57쪽.
443)國史編纂委員會,≪韓國獨立運動史≫Ⅴ, 資料編(1969), 339∼365쪽.
444)鄭世鉉, 앞의 책, 519∼525쪽.
445)光州學生獨立運動同志會 編,≪光州學生獨立運動史≫(國際文化社, 1974), 705∼706쪽.
446)金鎬逸,<1940년대 항일학생운동연구>(≪中央史論≫7, 1991).
447)釜山市,≪釜山略史≫(1968), 302∼303쪽.
448)京畿高等學校,≪京畿70年史≫(1970), 163∼168쪽.
449)朱樂元,<日帝末 黑白黨 事件의 顚末>(≪新東亞≫, 1978년 2월호).
450)洪建杓,<흑백당사건>(사본, 1964).
451)朱樂元, 앞의 글.
452)洪建杓,<흑백당사건>(사본, 1964).
453)金球鉉,<犯罪鑑識>20(黑白黨事件), (≪중앙일보≫,<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1,120, 1974년 8월 23일).
454)金球鉉, 위의 글.
455)朱樂元, 앞의 글.
456)國家報勳處,<學生運動·文化運動>(≪獨立有功者功勳錄≫6, 1988), 411∼412쪽, 이현상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