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검색 결과

[한국 문화사] “신헌” 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불교 의례와 신앙
불교 관련 작품도 많이 남겼고 제자 신헌(申櫶)도 대둔사의 표충사보장록(表忠祠寶藏錄) 글씨, 해인사 법보전과 밀양 표충사의 현판을 쓰는 등 친불교적 성향을 보였다.318)정병삼, 「추사의 불교학」, 『간송 문화』 24, 한국 민족 미술...

11권 11권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 전통의 흐름

임제종과 선교겸수
신헌이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의순은 『선문사변만어』를 지어 근기에 따라 선을 세 종류로 차등화한 백파 긍선의 주장을 비판하였다. 한편, 화엄 외에도 사집의 『도서』나 『절요』, 그리고 사교의 『금강경』,...

11권 11권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 전통의 흐름

유불의 상호 인식과 교류
申櫶, 1810∼1888)의 초상화이다. 신헌은 김정희의 제자로 초의 의순과 교류하였으며, 대둔사의 표충사보장록 글씨와 밀양 표충사의 현판을 쓰는 등 불교계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김창흡...

11권 11권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 전통의 흐름

18∼19세기의 무기 개발
훈련대장이었던 신헌(申櫶, 1810∼1884)이 『해국도지(海國圖誌)』에 기초하여 제작하였다고 한다.297)『고종실록』 권4, 고종 4년 9월 11일조. 수뢰포가 터지면 폭음이 우레와 같이 진동하며 아무리 견고한 물체라도 모조리 부수어 날려...

14권 14권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해국도지』
활용에 적지 않게 기여하고 있다. 신헌 초상 신헌은 1810년(순조 10)부터 1888년(고종 25)까지 무신·외교가로 활동한 인물로서 신관호(申觀浩)로도 불렸다. 그는 1866년 병인양요가 발발했을 ...

14권 14권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훈국신조군기도설』과 『훈국신조기계도설』
신헌의 군제 개혁론」, 전남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987 ; 최진욱, 「신헌의 내수어양책 연구」, 고려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997.은 흥선 대원군 집권기에 『훈국신조군기도설』과 『훈국신조기계도설』이라는 무기 관련 서적을...

14권 14권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훈국신조군기도설』
모두 신헌396)신헌은 1810년(순조 10)부터 1888년(고종 25)까지 무신·외교가로 활동한 인물로서 신관호(申觀浩)로도 불렸다. 그의 본관은 평산, 자는 국빈(國賓), 호는 위당(威堂), 시호는 장숙(壯肅)이다. 그는 금위영 대장, 어영대장,...

14권 14권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훈국신조기계도설』
『기계』로 약칭) 역시 신헌이 저술한 무기 관련 서적이다.399)『훈국신조기계도설』 관련 참고 서적은 다음과 같다. 연갑수, 「대원군 집권기 무기 개발과 외국 기술 도입-『훈국신조군기도설』과 『훈국신조기계도설』에 대한 분석을...

14권 14권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대군, 군
1863년 철종이 승하하자 신헌 왕후(神貞王后, 조대비)는 흥선군 이하응(李昰應)의 둘째 아들 이명복(고종)에게 왕위를 전하라고 명하였다. 아들이 국왕이 된 이후 흥선 대원군은 국가 정책에 깊이 관여했다. 대원군은 국왕이 대를 이을...

23권 23권 다양한 문화로 본 국가와 국왕

옛 우호를 회복하고 일본의 정세를 탐문하라
조선의 접견대관(接見大官) 신헌(申櫶)에게 일본에서 전권 정·부 두 대신을 파견하였으니 조선도 그에 대한 답례로 회례사(回禮使)를 파견해 달라고 요구하였던 것이다. 교린(交隣)의 도(道)는 풍속을 상세히 알고 난 후에야 의혹이...

29권 29권 조선이 본 일본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