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Ⅸ. 민족의 독립 운동2. 3⋅1 운동[1] 3⋅1 운동의 전개 과정과 그 의의는?

3⋅1 운동의 전개

국내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인 1918년 말부터 손병희, 이승훈, 한용운 등 종교계를 중심으로 한 국내의 민족 지도자들이 세계 정세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면서 학생 단체와 연결하여 거족적인 독립 운동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1919년 초 을사조약에 끝까지 반대하였던 고종 황제가 서거하였는데, 이것이 일제에 의한 독살이라는 소문이 퍼져 민심을 크게 자극하였다. 게다가 도쿄 유학생들의 2⋅8 독립 선언 소식이 전해지면서 독립 운동에 대한 민족의 열망은 더욱 높아져 갔다.

민족 지도자들은 독립 운동의 방향을 논의한 끝에, 우리 민족의 완전한 자주 독립 의지를 국내외에 분병하게 밝히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독립 선언서를 작성하여 비밀리에 각 지방에 배포하였다.

서울에서는 손병희를 비롯한 민족 대표 33인이 3월 1일 정오에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식을 가졌고, 같은 시각에 학생과 시민들은 탑골 공원에 모여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태극기를 흔들면서 독립 만세 시위를 벌였다. 지방 곳곳에서도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다.

이러한 독립 만세 시위는 이후 전국 방방곡곡은 물론, 우리 민족이 사는 해외 도처에서도 줄기차게 이어졌다.

일본 경찰과 군대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독립 만세를 부르는 시위대를 총검으로 무자비하게 진압하였다. 이 때, 어린 나이로 충청남도 천안에서 독립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던 유관순은 구속되어 옥중에서 순국하였고, 일본군은 화성 제암리 주민들을 교회에 가둔 채 불을 지르고 총격을 가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수많은 민가와 학교 등도 일제의 만행에 의해 파괴되거나 불타버렸다.

도움글

유관순의 항일 투쟁 ⋅

유관순은 재판정에서 “나는 당당한 대한의 국민이다. 대한 사람인 내가 너희들의 재판을 받을 필요도 없고, 너희가 나를 처벌할 권리도 없다.”라고 외치면서 항거하였다. 이로 인해 유관순은 여성으로서 최고형인 7년 징역형을 받았으며, 의연히 옥중 투쟁을 벌이다가 심한 고문으로 순국하였다.
읽기자료

한국독립운동지혈사의 내용 일부 ⋅

우리 민족은 맨손으로 일어섰고, 붉은 피로 독립을 구하여 세계 혁명의 역사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세계를 열었다. 1919~1920년 이후로는 이러한 움직임이 더욱 치열하게 계속되었다. ……
3⋅1 운동 이후 우리 민족은 남녀노소와 안과 밖, 멀고 가까움을 가리지 않고 전체로 활동하고, 일치단결하여 움직이며, 물불을 가리지 않고 뛰어들고, 수많은 죽음도 사양하지 않았다.
지난날에는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자가 안중근 한 사람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수백의 안중근이 있다. 지난날에는 이완용을 칼로 찌른 자가 이재명 한 사람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수백의 이재명이 나왔다. 이에 세계 각 민족이 비로소 우리 민족의 독립 자격을 인정하였다. ……
지금 우리 민족은 이미 독립의 기치를 전개하였다. 결코 외래의 기회가 아닌, 즉 이미 운동은 전개된 것이다. -박은식
유관순 열사 영정
유관순 열사의 생가 | 충남 천안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