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

조선역대사략 총목 법례(總目法例)

• 단군(檀君)과 기자(箕子)를 『동국통감(東國通鑑)』에서는 외기로 기록하였는데, 이는 대개 역대 사적(事蹟)을 상세히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군은 맨 처음 나온 신군(神君)이고 기자는 곧 교화를 이룬 성스러운 임금이니, 역년(歷年)을 처음부터 끝까지 상고하여 믿을 만한 까닭에 존중하여 우리나라 계통의 첫머리에 이를 기록한다.

• 기준(箕準)은 비록 위만에게 쫓겨나 나라를 잃고 도읍을 옮겼지만 기자의 제사를 주관하고 계승하였으니, 이는 한 소열(漢昭烈 : 중국 촉한의 시조인 유비의 시호-역자 주)이 촉(蜀) 땅에 나라를 세워 정통을 잃지 않은 것과 같다. 지금 역시 『주자강목(朱子綱目)』에 따라 정통(正統)으로 기록한다.

• 기준 원년 정미(丁未)로부터 그 후의 역년이 비록 203년으로 편년이 되어 있으나, 다시 상고해 보면 기준의 역년 가운데에는 186년의 신라 역년이 섞여 들어가 있으므로 실제 기준의 독립 연수는 17년이다.

• 위만이 비록 조선의 옛 땅에 웅거하였으나 정통이 기준에 돌아감에 따라 대등하게 나란히 할 수 없으므로 한 글자 내려 쓴다.

• 삼한이 비록 한 때 병립(竝立)하였으나 정통은 처음부터 마한에 귀속되어 있다. 더구나 진한은 본시 마한에서 영토를 떼어준 곳이고 또한 항상 마한 사람을 임금으로 삼았다. 변한은 우리나라 모든 역사서에서 진한에 예속된다고 하였으니, 진한과 변한은 대체로 마한에 부속되었던 까닭에 모두 한 글자 내려 쓴다.

• 4군(四郡)과 2부(二府)는 군읍(郡邑)의 제도로서 기록할 만한 군장(君長)이 없으므로 모두 한 글자 내려 쓴다.

• 신라가 건국한지 21년 만에 고구려가 흥기하고 40년 만에 백제가 흥기하였다. 삼국이 나라를 창건한 시기가 전후의 차이가 있긴 하나 국력이 대등하여 한 나라를 주인으로 삼을 수 없는 까닭에 『통감강목』에서 정통을 두지 않은 예에 따라 기록한다. 신라 문무왕 때에 이르러 삼국을 통일하였기 때문에 비로소 정통으로 쓴다.

• 고구려와 동부여의 왕이 금와(金蛙)를 얻은 일과 금와가 유화(柳花)를 얻은 설화는 비록 매우 황당하지만 옛 기록에 따라 그대로 기록해 둔다.

• 『주자강목』에는 군왕이 정통 계열이 아니거나 여왕인 경우에는 왕호(王號)와 군명(君名)을 모두 작은 글씨로 썼다. 이에 신라의 선덕(善德)·진덕(眞德)·진성(眞聖)과 고려의 신우(辛禑)·신창(辛昌)은 모두 『강목』의 예에 따라 기록한다.

• 이 책을 편찬하면서 기본적으로 역년을 상고하고 역대 사변(事變)을 연조(年條) 아래에 모아 기록하였다. 비록 아름다운 말과 행동이라 하더라도 국가와 관계가 없으면 모두 뺐다.

국조(國朝)의 사실로 두드러진 것은 『국조보감(國朝寶鑑)』과 『고사촬요(攷事撮要)』 등의 서적에서 대략 채집하여 기록하되 모두 『주자강목』의 범례에 따랐다. 훗날의 군자가 상세히 살펴 바로잡아 주기 바란다.

• 우리나라 역사 기록에는 『삼국유사(三國遺事)』·『고려사(高麗史)』·『동국통감』 등 10여 종이 있다. 지금 이 책들을 모두 모아 채록해 보니 여러 역사서와 지리지에 기록된 것이 간혹 서로 다른 것이 있다. 단군이 신(神)이 된 해가 다르게 기록된 것들이 그 예이다. 간혹 소략하거나 빠뜨린 것도 있는데 기자의 재위와 수명을 기록하지 않은 예가 바로 그것이다. 전적에 기록된 것은 널리 고찰하여 어떤 것은 바로잡아 통일하고, 어떤 부분은 각주를 달아서 기록하였다. 명현(名賢)이 기록한 사실 또한 각주로 달아 참고자료로 삼도록 하였다.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