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2. 방직업3) 면의 전래와 면업의 발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1. 토지제도
          • 1) 과전법체제의 확립
            • (1) 고려 말 사전개혁의 방향
            • (2) 사전개혁의 이념
            • (3) 사전의 개혁과 과전법의 성립
            • (4) 과전법의 내용과 그 운용
          • 2) 토지 소유형태와 경영형태
            • (1) 토지 소유관계의 변천
            • (2) 과전법체제에서의 영농형태
          • 3) 전세제도의 개편
            • (1) 과전법에 규정된 양전·수조제
            • (2) 공법 전세제로의 개편
            • (3) 공법전세제의 전개
        • 2. 농업과 농업기술
          • 1) 농업생산력의 위치
          • 2) 농업생산력의 추계
            • (1) 호구당 경작 면적의 추계
            • (2) 토지생산성의 추계
            • (3) 노동생산성의 추계
          • 3) 농업생산력 발달의 여러 요인
            • (1) 직접적인 요인
            • (2) 간접적인 요인
          • 4) 농업생산력의 역사적 위치
      • Ⅱ. 상업
        • 1. 도시상업
          • 1) 서울 시전의 성립
          • 2) 육의전의 발생과 발전
          • 3) 육의전의 상품 및 건축구조
          • 4) 육의전의 조직
            • (1) 도원의 가입 자격과 부담
            • (2) 도중의 임원과 그 승차
          • 5) 육의전의 정부에 대한 의무
            • (1) 세폐
            • (2) 방물
            • (3) 별무·공무
          • 6) 육의전의 상업적 특권
        • 2. 지방상업
          • 1) 상무사 우사
            • (1) 조직
            • (2) 기능
          • 2) 상무사 좌사
            • (1) 부상의 연혁과 의의
            • (2) 부상의 협동정신
            • (3) 부상의 조직과 기능
          • 3) 객주와 여각
            • (1) 객주의 기원
            • (2) 객주의 종류
            • (3) 객주의 업무
        • 3. 화폐의 유통
          • 1) 배경
          • 2) 저화·동전 유통정책
            • (1) 화폐 유통정책의 추진 경위
            • (2) 화폐의 유통 보급방법
          • 3) 포화의 법화화 시책
          • 4) 전폐의 주조 유통 시도
          • 5) 화페 유통정책의 실패 원인
        • 4. 무역
          • 1) 대외무역의 역사적 배경
          • 2) 명과의 무역
          • 3) 여진과의 무역
          • 4) 일본과의 무역
          • 5) 유구·남만과의 무역
          • 6) 대외무역의 성격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1. 야철수공업과 철광업
          • 1) 신도 건설공사와 무기제조 공역
            • (1) 한양의 신도 건설공사
            • (2) 군기감과 계수관·영·진의 무기제조 공역
          • 2) 철물수취제와 철광업 실태
            • (1) 염철법과 철장제
            • (2) 철장도회제의 성립
          • 3) 민간야철수공업의 성장과 철물수취제도의 개선
            • (1) 대납제의 적용
            • (2) 철장도회제의 폐지와 각읍채납제의 채택
        • 2. 방직업
          • 1) 방직업역사의 개관
          • 2) 양잠의 보급과 견직물 생산실태
            • (1) 잠업진흥정책
            • (2) 견직물의 제직실태 및 종류
          • 3) 면의 전래와 면업의 발전
            • (1) 면의 전래
            • (2) 면업의 발달
        • 3. 제지업
          • 1) 제지업의 발달
          • 2) 제지방법
          • 3) 종이의 종류와 공납
        • 4. 조선업
          • 1) 전통적인 조선기술
            • (1) 한선의 전통
            • (2) 한선의 구조
          • 2) 조선 전기의 조선업
            • (1) 민간조선업
            • (2) 관부의 조선관리
          • 3) 조선 초기의 선박
            • (1) 조운선
            • (2)≪세종실록지리지≫의 군선
          • 4) 조선기술의 발달
            • (1) 중국식 조선법의 시도
            • (2) 개삭
          • 5) 새로운 선종의 개발
            • (1) 병조선
            • (2) 맹선
            • (3) 판옥선
        • 5. 염업
          • 1) 염업제도의 정비
          • 2) 소금의 판매와 유통과정
          • 3) 소금의 산지와 제염인
          • 4) 소금의 생산과정
          • 5) 조선 전기 염업의 특징
        • 6. 수산업
          • 1) 자연조건
            • (1) 일반적 특성
            • (2) 동해안의 자연적 조건
            • (3) 서해안의 자연적 조건
            • (4) 남해안의 자연적 조건
          • 2) 어획물의 종류와 수산자원
            • (1) 어획물의 종류
            • (2) 수산자원의 분포상태
            • (3) 명태·멸치 자원에 대한 의문
          • 3) 어구어법
            • (1) 망어업
            • (2) 어량어업
            • (3) 조어업
            • (4) 기타 어업
          • 4) 수산양식업과 수산제조업
            • (1) 수산양식업
            • (2) 수산제조업
          • 5) 어장의 소유형태
            • (1) 소유관계가 성립되는 어장
            • (2) 어장제도의 개혁
            • (3) 어장의 사점과 어장제도의 해이
          • 6) 어업 경영형태
      • Ⅳ. 국가재정
        • 1. 재정관계관서
        • 2. 중앙재정
          • 1) 세입·세출
          • 2) 국가재정과 왕실재정
        • 3. 지방재정
        • 4. 조세
          • 1) 전세
          • 2) 전결제
        • 5. 공물
          • 1) 공물의 분정과 내용
          • 2) 방납
        • 6. 진상
          • 1) 진상의 종류
          • 2) 진상과 민호의 부담
        • 7. 환곡
          • 1) 의창
          • 2) 모곡의 징수
        • 8. 역
          • 1) 요역
          • 2) 국역
          • 3) 호수와 봉족
          • 4) 신역의 포납화
      • Ⅴ. 교통·운수·통신
        • 1. 도로의 정비
          • 1) 도성의 가로망
          • 2) 외방 도로의 정비
            • (1) 전국의 도로망
            • (2) 교통 장애의 극복
        • 2. 역·원제의 정비
          • 1) 역제의 정비
          • 2) 역의 운영
          • 3) 원의 설치와 분포
            • (1) 원의 설치와 운영
            • (2) 원의 분포
        • 3. 수상교통과 조운
          • 1) 조운제의 정비
            • (1) 조운정책의 수립
            • (2) 조창의 설치와 관리
            • (3) 조선·조군의 확보
            • (4) 조운로의 관리
          • 2) 사설항로의 발달
        • 4. 통신수단의 관리
          • 1) 봉수제도의 운영
            • (1) 봉수제도의 정비
            • (2) 봉수망의 구성
          • 2) 파발로
            • (1) 파발로의 개설
            • (2) 파발망의 형성
        • 5. 마정
          • 1) 마정기구
            • (1) 중앙의 마정기구
            • (2) 지방의 마정지구
          • 2) 감목관·목자
            • (1) 감목관의 지위
            • (2) 목자·군두·군부
          • 3) 목장의 발달과 실태
            • (1) 목장의 발달과 변천
            • (2) 목장의 실태
          • 4) 말의 수요
            • (1) 국내 수요
            • (2) 중국 수출
          • 5) 말값
            • (1) 국내 말값
            • (2) 국제 말값
          • 6) 마정관리책
      • Ⅵ. 도량형제도
        • 1. 옛 도량형 제도
          • 1) 상고의 도량형제도
            • (1) 도량형의 시초
            • (2) 기전의 할지법과 기전척
            • (3) 통일신라의 결부속파법과 10지척
            • (4) 상고의 도량형
          • 2) 문무왕 21년의 도량형 개혁
          • 3) 고려의 도량형제도
            • (1) 문종 7년의 양 체제 개혁
            • (2) 문종의 3등전척
        • 2. 세종조의 도량형 통일
          • 1) 척도의 통일
          • 2) 양전법의 개량
          • 3) 세종 28년의 양 체제 개혁
          • 4) 형량 통일과 형량표준기 황종률관
        • 3. 광무 6년의 도량형제도 개혁
          • 1) 표준척으로서의 곡척 도입
          • 2) 양제도의 개혁
          • 3) 형량의 개혁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면의 전래와 면업의 발전

(1) 면의 전래

綿은 B. C. 3000년 경에 인도의 신석기유적인 모헨죠다로(Mohenjodaro) 유적과 페루의 허카푸리에타(Huacaprieta) 유적 등에서 면사 및 면직물이 출토됨으로써 그 재배의 역사가 얼마나 유구한가를 알 수 있다. 그 후 B. C. 1,500년 경의 讚歌集인 리그베다(Rig Veda) 중에 면직물 제직에 관한 기록이 있고 B. C. 800년경에 편찬된 인도의 마뉴법전(Institutes of Manu)에도 면에 관한 기록이 산견되는 등 면직·면업은 인도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중앙아시아·페르시아·동남아시아 등으로 확산 전파되었다.

중국에서 면업이 성립된 시기는 원나라 元貞 연가(1295∼1296)으로 강남지방의 松江府를 중심으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0518) 그러나 이것은 본격적인 면업의 발달을 말하는 것이며 부분적인 면화재배는 이보다 앞선 송대에 이루어졌다. 송대에는 方勻의≪白宅編≫을 비롯하여 면화재배와 면방직에 관한 서적이 편찬되었으며 원 초(1273)에 편찬된≪農桑輯要≫에도 목면조항이 있어 1273년 이전부터 면이 재배되었음을 입증하고 있다.0519)

일본에서는 799년 桓武天皇 때에 인도인에 의해 면종자가 처음으로 전래되었다고 하지만 면의 재배는 1년만에 실패로 끝나 滅種되었으며, 그 후에도 몇 차례의 면재배가 시도되었으나 계속되지 못하였고 1598년 조선으로부터 면종자가 전래되어 비로소 일본의 면작·면직이 보급되었다.0520)

우리나라에 면이 도입된 시기는 14세기 말 고려 공민왕 12년(1363)으로, 원에 사절로 갔던 문익점이 전래하여 다음해 13년(1364) 봄에 晋州 江城에서 栽植에 성공함으로써 널리 전파되었다.0521)

그런데 우리나라에도 중국에서와 같이 면이 도입되기 이전에 이미 면직물을 생산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면화 전래 이전이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수출직물 중의 하나인 白氎布가 있었다. 우리나라의 백첩포에 관한 최고의 기록은≪翰苑≫으로 고구려에서 紫色纈紋綿·五色綿·雲綿과 함께 백첩포도 제직하였다0522)고 기록되어 있다.≪三國史記≫에도 통일신라 경문왕 9년(869)에 入唐使節에게 大花魚牙錦 14필·小花魚牙錦 14필·朝霞錦 20필과 함께 40升 백첩포 40필을 사은품으로 보냈으며0523) 원대의≪冊府元龜≫에도 고려 왕건이 사신을 보내어 綿·罽·白苧와 함께 백첩을 조공하였다0524)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高麗史≫에도 혜종 2년(945) 후진에 보낸 사은품 중에 罽綿을 비롯한 각종의 직물류 이외에 백첩포가 있는데, 1차로 200필을 보내고 다음에 다시 100필을 보냈다고 한다.0525)

그러면 우리나라에서 제직된 백첩포와 면포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예로부터 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되었던 면의 품종은 크게 분류하여 1년생의 草綿과 다년생의 木綿이 있다. 초면(Gossypium Plant, 學名 Gossypium Herbaceum)은 60∼90㎝정도의 작은 초목으로서, 씨에 붙은 種子毛로 면포를 짠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면화는 초면을 일컫는다. 목면(Bombox tree, Bombox Malabaricum)은 키가 2∼2.5m의 다년생 수목으로 열매는 타원형인데 柳絮와 같은 황갈색의 짧은 種子毛로 직물을 짠다.0526) 이러한 사실은 이미 광해군 6년(1614) 에 저술된 李睟光의≪芝峯類說≫에서도 지적되었다. 그는 면을 3종류로 분류하였는데, 첫째는 누에고치에서 나온 면이고, 둘째는 큰나무에서 나는 목면이며, 셋째는 원대 이후 중국에 널리 재배되었던 초면으로서, 문익점이 우리나라에 전래한 목면이라는 것은 이른바 초면을 말한다0527)고 설명하였다.

백첩은 초면의 옛 명칭으로「pambak dip pambak」의 한자음이며 따라서 백첩포는 초면의 면직물을 말한다.0528) 백첩포는 고대와 중세에 걸쳐 인도·페르시아·중앙아시아를 비롯한 중국 주변국 등지에서 생산되었다. 당대의 玄奘法師는≪大唐西域記≫에서 북인도에는 백첩을 의복재료로 사용한다0529)고 하였으며, 신라의 慧超도≪往五天竺國傳≫에 중국·축국에서는 왕과 벼슬을 가진 부유한 사람들은 첩포로 만든 옷을 입는다0530)고 하여 인도의 백첩포 사용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다. 또한≪梁書≫·≪新唐書≫西域傳에는 ‘高昌國에 草가 있는데 백첩이라고 부르며 백성들은 花를 뽑아 布를 제직하였다’고 하여, 지금의 위구르 자치지구인 투르판지역에서 초면으로부터 백첩포를 생산했던 사실을 기술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서역지방의 면직물은 4세기 경에 중국으로 전래되어 중국에서도 백첩포가 사용되었으며 그 유물이 동한·위진남북조·당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 출토되었다.0531)

그러나 중국 남쪽지방에서 널리 재배되었던 의료로서 역사가 오래된 또 다른 면직물류가 있다. 斑布·吉貝布·桐華布·白緤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것으로서 백첩포와는 달리 다년생의 木棉樹로부터 부드러운 種子毛를 채취하여 직물을 짠 것이다. 이것은 초면의 면화보다 섬유의 길이가 짧아 직물로서의 가치가 초면보다 부족하기 때문에 원대 초면재배가 확산되면서부터 첨자 사라져갔다.0532)<표 3>은 면업 성립 이전 중국에서 생산되어 온 면의 종류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우리 옛 문헌에 기록된 백첩포는 초면을 원료로 한 것이며 문익점에 의해 전래되니 초면으로 직조한 무명과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미 문익점에 의한 면종자 도입 이전부터 초면의 면포를 직조하였던 것이다. 육당 최남선이 신라시대에 벌써 면종자가 들어왔다고 지적한 것0533)은 아마도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한다. 그러나 문헌에 백첩포를 직조하였다고는 하여도 초면의 종자가 생산되었다는 사실은 아직까지 찾아 볼 수 없었다. 따라서 면화 혹은 면사와 같은 원료를 수입하여 직조하였을 가능성과 혹은 극히 일부에서 초면이 재배되었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0518)高承濟, 앞의 책, 87쪽.
0519)민길자,<면직물의 제직연대에 관한 고찰>(≪문익점과 무면문화≫, 국립민속박물과, 1991), 109쪽.

陳維稷,≪中國紡織科學技術史≫(北京, 科學出版社, 1984), 151쪽.
0520)武部善人,≪日本木棉史の硏究≫(吉川弘文館, 1985), 125∼129쪽.
0521)≪太祖實錄≫권 14, 태조 7년 6월 정사.

≪三憂堂實記≫에 의하면 공민왕 12년(1363) 元의 사절로 간 문익점에 의해 전해 진 점은≪太祖實錄≫과 같으나 3년간 강남지방에서 유배생활을 마치고 공민왕 16년(1367) 귀국할 때에 목면씨를 전래하였다고 한다.
0522)≪翰苑≫東夷傳 蕃麗.
0523)≪三國史記≫권 11, 新羅本紀 1, 경문왕 9년.
0524)≪冊府元龜≫권 970, 外臣部 朝貢 5.
0525)≪高麗史≫권 2, 世家 2, 혜종 2년.
0526)≪동아원색대백과사전≫(동아출판사, 1983).
0527)李睟光,≪芝峯類說≫.
0528)陳維稷, 앞의 책, 146쪽.

민길자, 앞의 글, 109∼111쪽.

무함마드 깐수,≪新羅·西域交流史≫(단국대 출판부, 1992), 47쪽.
0529)玄 奘,≪大唐西域記≫(水谷眞成 譯, 東京, 平凡社, 1979).

민길자, 앞의 글, 105쪽.
0530)慧 超,≪往五天竺國傳≫(李錫浩 譯, 을유문고, 1970), 46쪽.
0531)陳維稷, 앞의 책, 146쪽.

무함마드 깐수, 앞의 책, 47쪽.
0532)陳維稷, 앞의 책, 147∼150쪽.
0533)崔南善,≪國民朝鮮歷史≫(六堂 崔南善全集 권 1), 303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