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성종(成宗, 재위 981~997년) 대에 외관(外官)을 파견한 지방 행정 조직.
국왕의 친위 부대로서 왕의 경호와 궁궐 수비를 담당한 고려 전기의 중앙군 부대.
고려 시기 최고 중앙 관부로서,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과 상서성(尙書省)을 합쳐 일컫는 말.
고려 시기에 설치한 세 곳의 별경(別京).
고려 시기 양계(兩界)를 제외한 지역에 설정한 광역 지방 행정 구역.
고려 전기에 국가 중요 행사의 경비, 수도의 치안, 국왕의 시종과 의장, 궁성문 방비 등을 담당했던 6개의 중앙군 부대.
1107년(예종 2) 윤관(尹瓘)의 군대가 여진족을 정벌하고 획득한 동북 변경 지역에 설치한 9개의 성.
최충(崔沖, 948~1068)이 벼슬에서 물러난 후 자신의 집에 세운 사립 교육 기관.
국왕의 옳지 못한 행동이나 잘못된 국정 운영에 대해 비판하고 논쟁하던 행위.
고려 후기 관리들에 대한 감찰과 탄핵 등을 담당한 감찰 기구.
거란의 1차 침입 이후 고려가 압록강 하류 유역에 설치한 6개 주.
고려의 수도.
고려 성종(成宗, 재위 981~997) 대에 정부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만든 화폐.
1348년(충목왕 4)에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석탑.
고려 시기에 특정 관원에게 지급한 것으로, 자손에게 수조권(收租權)을 상속할 수 있는 토지.
고려 시기에 국가 시험을 통해 관료를 선발하던 제도.
고려 초 설치되었던 지방 군사 조직.
불교의 교리 체계인 교(敎)와 실천 체계인 지관(止觀)을 함께 닦아야 한다는 사상.
고려 후기 무신 집권층의 최고 권력 기구.
고려 시기에 승려가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법계이자 관직.
고려 시기 개경(開京)에 설치된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고려 시기에 군인이 군역에 복무하는 대가로 수조권(收租權)을 부여받은 토지.
1193년(명종 23) 김사미(金沙彌, ?~1194)의 농민군과 효심(孝心, ?~?)의 농민군이 연합하여 일으킨 봉기.
고려 시대에 설치된 별경(別京) 중 하나.
본래 양인이었는데 노비가 된 사람을 조사하여 다시 양인으로 만들기 위해 956년(광종 7)에 실시한 법.
관직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던 급료.
신라에서 귀족 관인(官人)에게 직무 수행의 대가로 지급한 고을.
원(元)에서 13세기 후반에 편찬하여 반포한 농업 서적.
관료를 감찰하고 탄핵하는 임무를 띤 대관(臺官)과, 국왕에게 당대의 정치를 비판하는 직무를 담당한 간관(諫官)을 합쳐 부르는 말.
고려의 도교 사원.
고려 무신 집권기에 경대승(慶大升, 1154~1183)이 최초로 조직하고 최씨 정권에 의해 본격적으로 운영된 무신 집정자의 사병 집단.
고려 시기에 국방 문제 등 국가적인 주요 의제를 협의하던 재상들의 협의 기구.
앞으로 일어날 일의 길흉화복을 암시나 상징을 통해 예언하는 것.
고려 후기에 국정을 심의하고 결정한 조정의 최고 정무 기구.
고려 시기의 지방 행정 기구.
불교에서 선(禪)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
이규보(李奎報, 1168~1241)가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 주몽(朱蒙, 재위 서기전 58~19)에 대해 쓴 장편 서사시.
충선왕(忠宣王, 재위 1298, 1308~1313)이 원(元)나라 수도인 대도(大都)지금의 베이징의 자기 집에 설치한 서재(書齋).
무덤을 만들 땅을 구매한 내역과 무덤의 안전을 신에게 기원하는 내용 등을 새긴 문서.
미래에 미륵불의 세계에 태어날 것을 기원하며 향나무를 묻는 의식.
고려 시기에 유교 경전의 해석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과거 시험의 한 분과.
국왕이 죽은 뒤 종묘에 신위를 배향할 때 붙이는 임금의 호(號).
유교의 성인(聖人)이었던 공자(孔子, BC 551~BC 479)를 모시기 위하여 성균관, 향교 내에 설치한 사당.
고려, 조선 시대에 국가에 큰 공훈이 있는 자들을 대우하기 위해 그들의 친족이나 후손을 관직에 임명했던 제도.
고려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장관으로 최고위 관직.
고려 시기 불교 종파의 하나.
고려 개경(開京) 서쪽을 흐르는 예성강 하구의 무역항.
고려 숙종(肅宗, 재위 1095~1105) 대 여진(女眞) 정벌에 대비하여 만든 군사 조직.
고려 시기에 양계(兩界)의 군사⋅행정을 담당한 관직, 혹은 5군의 지휘관.
고려 시기에 군현(郡縣) 체제의 일부였던 특수 행정 단위 중 하나.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에 있는 14세기에 건립된 목조 전각.
중국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과거(科擧).
국가가 제정한 군제(軍制)에 편성되어 있지 않고, 개인 혹은 사적 집단에 소속되어 있는 군사 집단.
고려 시기에 지방 출신의 중앙 관원을 통해 해당 지방을 관리한 특수 관직.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昆陽面) 흥사리(興士里)에 있는 고려 말기의 매향비.
고려 시기에 개경(開京)에 있었던 12개의 사립 교육 기관.
김부식(金富軾) 등이 인종(仁宗, 재위 1122∼1146)의 명을 받아 1145년(인종 23) 편찬한 삼국 시기에 대한 역사책.
고려 후기의 고승 일연(一然, 1206~1289)이 불교적 입장에서 삼국 시대의 주요 사건과 일화를 편찬한 역사서.
고려 무신 집권기에 설치된 특수 군대.
고려 시기에 전국의 조세 및 공물의 수입과 지출에 대해 회계 업무를 관장한 재정 기관.
고려 시기에 물가를 조절하기 위해 개경(開京)과 지방의 주요 고을에 설치했던 기관.
고려 시기 평양(平壤)에 설치하였던 별경(別京).
조선 시대 국왕이 관리를 임명하거나 법령을 제정할 때, 대간(臺諫)의 동의를 구한 뒤 이들의 서명을 거쳐 시행하도록 규정했던 제도.
고려 후기 개경(開京)에 설치된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중국의 송(宋)나라 때 본격적으로 발전하고 유행했던 유학의 한 계통.
고려 시기에 군현(郡縣) 체제의 일부였던 특수 행정 단위 중 하나.
고려 시기에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지방 행정 구역.
보조 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이 주창한 불교 신앙 결사 운동이자 그 본산이 되었던 사찰의 명칭.
1270년에 원(元)나라의 천문학자 곽수경(郭守敬, 1231~1316)이 만든 역법(曆法).
고려 시기에 승려를 선발하기 위해 실시했던 과거 시험.
고려 시기에 국가가 불교 교단 및 사찰, 승려 등 불교와 관련된 문제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한 불교 관청에 임명된 관직.
고려 성종(成宗, 재위 981~997) 대 최승로(崔承老, 927~989)가 건의한 28개 조항의 정치 개혁안.
토양이나 작물에 인위적으로 비료를 공급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방법.
고려 후기 몽골에서 고려의 화주(和州) 함경남도 영흥 지역의 옛 지명 일대를 직접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관부.
고려 충렬왕(忠烈王, 재위 1274~1308) 대에 지어진 고려 가요, 혹은 향악곡.
궁중 제례에 사용된 중국 전래 음악.
고려 시기에 개경(開京) 이남의 지방 행정 구역인 5도에 중앙에서 파견한 관리.
고려 시기 변경 지역에 설치된 광역 행정 구역인 동계(東界)와 북계(北界)를 합쳐 부르는 말.
후삼국 시기부터 고려 시기까지 일정한 거처 없이 떠돌아다니며 천업에 종사하던 무리.
고려 시기에 관학(官學) 진흥을 위해 설치한 장학 재단.
고려 시기에 정치의 잘잘못을 비판하고 풍속을 교정하며, 관리들의 부정을 감찰하고 탄핵하는 일을 담당하던 감찰 기구.
천체의 운행 규칙을 계산하여 이를 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표현하는 방법.
고려 시기에 국가적 행사로 시행된 불교 의례.
고려 시기에 임금의 스승으로 임명된 승려.
고려 시대에 5품 이상의 관직 생활을 했거나 국가에 공훈을 세운 인물의 후예, 혹은 왕족의 후예를 과거(科擧)를 거치지 않고 관리로 임용하는 제도.
흉년에 농민들에게 양식을 대여하던 기관.
1168~1241,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관료.
1224~1300, 고려 후기의 문신.
벼농사에서 모를 별도로 재배하고 본 논에 옮겨 심는 방법.
1152~1220,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려 시기에 전문 분야를 담당하는 기술관을 선발하던 과거 시험의 한 분과.
고려와 조선 시기에 신분은 양인이나 천한 일에 종사하던 무리의 하나.
고려 후기 권세가들이 빼앗은 토지와 노비를 판정하여 원래 주인과 신분으로 돌려주기 위해 설치한 임시 관서.
고려 시대 국가에서 문무 관료와 직역을 부여받은 계층에게 토지의 조세를 받을 수 있는 수조권(收租權)을 분급한 토지 제도.
고려 무신 집권기 최우(崔瑀, ?~1249) 대부터 고려 말까지 인사 행정을 담당하던 기구.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이 주창한 불교 수행 방법.
고려 시기 과거 시험에서 주로 문장 짓는 능력과 시무책(時務策) 등을 시험 보던 분과.
1287년(충렬왕 13)에 이승휴(李承休, 1224~1300)가 지은 장편 서사시.
고려 시기에 백성의 구호와 질병 치료를 맡은 기관.
전근대 동아시아의 중국 중심 국제 관계 속에서 주변국들이 사신(使臣)을 파견해 예물 등을 진상하던 행위.
고려 시기에 지방관이 파견된 지방 행정 구역.
고려 시기 중앙군인 2군 6위 지휘관들의 회의 기구.
고려 시기에 왕명을 출납하고 군사 기무를 관장하며 임금의 숙위(宿衛) 등을 담당한 관부.
고려 시기에 과거(科擧)를 관장한 최고 시험관.
고려 시대 북쪽 국경 지대에 쌓은 장성.
고려 말기 명(明)에서 철령 이북의 고려 동북방 변경 지역을 직접 다스리기 위해 설치하려 했던 군사적 행정 관부.
원(元) 간섭기에 고려의 행정 기능을 총괄한 최고 정무 기구.
고려 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려 가요.
나랏일을 기록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서.
이인로(李仁老, 1152~1220)의 시화(詩話)집.
삼국 시기부터 시작되어 고려 시기에 행해진 주요 국가 의례로, 하늘, 산천, 용신(龍神) 등에 대한 의례.
13세기 전반에 새긴 대장경 목판 및 목판 인쇄물.
고려 고종(高宗, 재위 1213∼1259) 대 한림(翰林)의 여러 학자들이 지은 가사.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1101)이 1097년(숙종 2) 완공된 국청사(國淸寺)의 주지로 취임하여 개창한 종파.
고려시대 승려 각훈(覺訓, ?~?)이 편찬한 우리나라 고승(高僧)들의 전기.
고려 시기에 군현(郡縣) 체제의 일부였던 특수 행정 단위 중 하나.
여러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지방의 공동체. 보통 불교 신앙 활동을 목적으로 함.
고려에서 조선 시기에 걸쳐 지방 행정 사무를 담당한 계층.
고려⋅조선 시대 각 지방 관아의 행정 실무를 담당하던 토착 하급 관리.
고려 중기에 백성들의 질병 치료를 위해 설치한 관서.
고려 시기 향리직 중 제일 높은 직제.
고려 태조(太祖, 재위 918∼943)가 박술희(朴述熙, ?~945)에게 비밀리에 남긴 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