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서 용어해설
  • 유형별
  • 전체

향교

제목 향교
한자명 鄕校
유형 제도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향학(鄕學), 교궁(校宮)
별칭•이칭
정의
유학 교육을 위해 지방에 설치한 관립 교육 기관.
내용

조선은 교육을 통해 유교 이념을 확산시키고 통치 질서를 유지하려고 하였다. 조선 시대의 교육 기관은 크게 관학(官學)과 사학(私學)으로 구분되는데, 관학에는 서울의 성균관(成均館)과 4부 학당(四部學堂), 지방의 향교가 있었고, 사학으로는 서원(書院)⋅서당(書堂)⋅서재(書齋)가 있었다.

향교가 지배 이념인 유학을 향촌 사회에 보급하여 백성을 교화하려는 목적이 있었기에, 세종(世宗, 재위 1418~1450) 때에 이르면 전국 대부분의 군현에 설립되어 그 수가 329개에 달했다. 향교마다 학전(學田)을 지급하여 향교 운영의 재원으로 삼게 하고, 교관(敎官)을 파견하여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으며, 교생(校生)에게는 군역을 면제하는 특권을 주었다. 향교의 운영은 그 고을의 수령(守令)이 맡았기 때문에 대부분 수령이 통치하는 관아(官衙)와 가까이 있었다. 향교는 크게 문묘(文廟)와 학교의 두 공간으로 나누어지며, 그 사이에 담을 쌓아 구분하였다. 문묘에는 중앙에 공자의 위패(位牌)를 모신 대성전이 있고, 양 옆으로는 선현(先賢)들의 위패를 모신 동무(東廡)와 서무(西廡)가 있었다. 학교의 중앙에는 강당인 명륜당(明倫堂)을 두고, 학생들이 기숙하는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좌우에 설치하였다.

향교의 입학 정원은 고을의 위상과 크기에 따라 차이가 났는데, 부(府)⋅대도호부(大都護府)⋅목(牧)의 경우는 90명, 도호부(都護府)는 70명, 군(郡)은 50명, 현(縣)은 30명의 학생을 수용하도록 하였다. 교생은 소학(小學)과 사서오경(四書五經)을 주로 배웠는데, 배운 내용에 대하여 매일[일강(日講)], 매월[월과(月課)], 매년[도회(都會)] 등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받았다.

조선 후기에는 각 지방에 서원이 건립되는 등 사학이 발달하면서 향교가 가진 교육적 기능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러나 향교에 소속되는 것은 양반 신분을 보증해 주고 군역을 피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으므로, 유생들은 향교에 소속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향교의 제향 기능은 지속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향교는 서원과 더불어 해당 지역 사족들의 결집 장소가 되기도 하였다.

▶ 관련자료
향교(鄕校)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