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하객의 예복
가례에 축하객으로 참석하는 문무백관과 종친 중 4품 이상이 착용하는 최고의 예복은 조복이다. 원래는 9품까지 모두 조복을 입었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새로 제도를 마련하면서 5품 이하는 흑단령을 입도록 하였다. 조복은 조선시대 문무백관들이 설날 아침, 동짓날 등의 하례 또는 최고의 의식 때 착용하던 예복으로, 관복 가운데 가장 화려하며 금빛이 많아 금관 조복(金冠朝服)이라고도 한다.
태종은 백관복 제정에 심혈을 기울여 1416년(태종 16)에는 별도로 관복색(官服色)을 설치하여 백관의 조복 제도와 더불어 각 품계에 따른 제복 등의 제도를 정하였다. 이후 1426년(세종 8)에 약간의 수정을 거쳐 백관의 조복·제복·공복·상복 제도는 성종 때 『경국대전』에 실리게 됨으로써 제도화되었다.
조복 역시 부속품과 일습을 이루어 금관을 쓰고 적색 의, 백색 중단, 적색 상, 적색 폐슬, 후수(後綬), 패옥을 착용하고 혁대(革帶)를 매고 홀(笏)을 들며 흑리(黑履)를 신었다. 의와 상·중단에는 선을 둘렀는데, 선의 색은 태종대에는 1품에서 9품까지 모두 청색이었으나, 『국조오례의』에는 검정색으로 기록되어 있다. 옷감은 태종 때 나(羅)를 사용하였으나, 『경국대전』과 고종 때에는 나보다 더 얇고 성근 느낌의 옷감인 초(綃)로 규정하였다.
조복을 입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소매가 넓은 중단을 입고 앞 네 폭, 뒤 네 폭으로 된 상을 허리에 두른다. 그 위에 좌우 옆이 트여 있는 의를 맨 위에 입는다. 대를 매고 앞에는 폐슬(조선 말기에는 크기가 작아져 가슴에 붙였다), 양옆에는 패옥, 뒤에는 후수를 단다. 금관은 모자의 앞 이마 부분에서 위로 향하여 뒤쪽까지 금색의 줄이 있는데 이를 양(梁)이라고 하므로 양관(梁冠)이라 부르기도 한다.
지위에 따른 품계 구별은 금관에 있는 양의 수, 후수의 무늬와 재료, 혁대의 장식 재료, 홀의 재료로 하였다. 양의 수는 지위에 따라 1품 5량, 2품 4량, 3품 3량, 4·5·6품 2량, 6·7·8·9품 1량으로 품계에 따라 달리하였다. 이는 조선 초기의 『경국대전』부터 말기의 『대전회통(大典會通)』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기록되어 있으나 양대 전란 이후 소실된 제도가 복구되지 못하고 실제로는 대례 때 4품 이상은 조복을, 5품 이하는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1량관이나 2량관은 유물로도 남아 있지 않다.
후수의 무늬는 1·2품은 운학문·금환 2, 3·4품은 반학문·은환 2, 5·6품은 연작문·동환 2, 7·8·9품은 계칙문·동환 2이다. 혁대는 1품 서대(犀帶), 정2품 삽금대(鈒金帶), 종2품 소금대(素金帶), 정3품 삽은대(鈒銀帶), 종3품과 4품 소은대(素銀帶), 5·6·7·8·9품 흑각대(黑角帶)이다. 서대는 고급 재료인 무소 뿔이며 금과 은에 무늬를 새겨 넣은 것은 삽이고 무늬가 없는 것은 소이다. 흑각은 물소의 검은 뿔이 재료가 된다. 홀은 손을 앞으로 모아 손에 쥐는 것으로 1∼4품까지는 상아홀, 5∼9품까지는 나무로 된 목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