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제4장 상징과 의미가 가득한 의례복3. 남녀의 가약을 맺어 주는 혼례복초례의 신부복, 홍장삼

염의 제도에 근거한 ‘개성 원삼’의 등장

세속에서 신부가 홍장삼인 활옷을 입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법에 맞는 복식 제도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유학자들은 홍장삼이 예서에 없다는 이유를 들면서 중국의 옛 제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복식 제도로 바꾸고 싶어하였다. 송시열(宋時烈, 1607∼1689)과 이재가 그러한 생각을 했으며, 19세기의 박규수223) 또한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단하 부인의 원삼(圓衫)>   
녹원삼은 결혼한 부인의 예복이다. 옆트임의 전단후장형에 배자깃이 달려 있다. 겉감은 여덟 가지 길상화 무늬를 넣은 비단 바탕에 어깨와 무릎 부분에 금실로 무늬를 넣은 금선단이다. 안감은 홍색 무문단으로 만들어 청선을 둘렀다. 가슴과 등에 큼직한 봉흉배가 달렸으며 넓은 소매에 두 줄의 색동과 한삼이 달려 있다.

부인의 예복으로는 소의(宵衣)를 권장하였으며, 신부에게는 소의의 밑단에 붉은 선을 두른 염의(袡衣)를 입도록 권하였다. 중국의 소의는 흑색의 제복(祭服)으로 주나라 때 입던 옷이다. 주부가 입으며 초(綃)라는 직물을 사용하여 ‘초의(綃衣)’라고도 하였다.224) 『사례편람』에는 검은 색상의 소의에 붉은 선 장식을 한 신부용 염의와 염의에 사용하는 띠를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섶과 무가 달린 것이 마치 소매 넓은 장옷과 유사하다.

이처럼 유학자들은 부인들이 검은색 소의를 입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였지만, 세속에서는 이미 이단하(李端夏, 1625∼1689) 부인의 것과 같은 녹원삼이 예복으로 확산되어 있었으므로 이 제도를 바꾼다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원삼에 붉은 선만 두르면 처녀의 예복을 만들 수 있으니 붉은 선을 두른 녹원삼을 신부의 예복으로 사용하려는 생각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개성 지방의 민간 혼례용 원삼>   
개성 지방 원삼은 옷깃과 소매 끝 등에 붉은 단을 대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염의에서 변형된 신부용 원삼일 가능성이 있다. 붉은 선 장식이 대금 부분과 옆트임, 밑단에 둘려져 있고 두리소매형에 여러 색의 색동이 연결되어 있으며 소매 끝에는 한삼을 달았으나 길지 않고 수구에도 붉은 선 장식을 하였다. 앞뒤 길의 길이도 거의 비슷하다. 소매가 길지 않고 앞뒤 길의 길이 차이가 없는 것은 처녀용 배자의 특징이다.

『거가잡복고』에는 당시 예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신부복을 사규삼처럼 만드는 것이 잘못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사규삼과 같다고 지적한 것은 선 장식이 있는 옷일 것이므로 곧 개성 원삼225)과 유사한 형태가 된다. 즉, 염의를 염두에 두고 만든 신부의 예복일 가능성이 크다. 소매는 여러 층의 색동만 있을 뿐 한삼이 없으며 앞·뒷길의 길이 차이도 거의 없다. 이는 소매가 짧고 앞·뒷길의 길이에 차이가 없는 처녀용 배자의 특징을 살린 것이다. 개성 이외의 지역에서도 개성 원삼과 같은 신부복을 착용하였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226) 붉은 선을 두른 신부용 원삼이 다른 지역에 비해 개성에서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던 것은 아닐까?

[필자] 이은주
223)박규수, 조효순 옮김, 앞의 책, 205쪽.
224)周汛·高春明,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辭書出版社, 1996, 139쪽.
225)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 박물관, 『북한 지방의 전통 복식』, 현암사, 1998, 8∼13쪽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복식』, 1995, 64쪽.
226)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 지역의 옷』, 1996, 65쪽.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