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총설01권 한국사의 전개Ⅱ. 한민족의 기원3. 문헌에 보이는 한민족문화의 원류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1. 생태학적 특성
          • 1) 한반도의 위치와 지형
          • 2) 한반도의 기후
          • 3) 식생
          • 4) 동물
          • 5) 생태계
          • 6) 생물상
        • 2. 지리학적 특성
          • 3) 지형
            • (2) 하천과 평야
            • (3) 해안과 해양
          • 4) 기후
        • 3. 인류학적 특성
          • 4) 산촌과 낙도 주민의 생태적 특성
          • 5) 도시인의 주거지역과 생태적 특성
      • Ⅱ. 한민족의 기원
        • 1. 고고학적으로 본 문화계통 -문화계통의 다원론적 입장-
          • 3) 문화계통
        • 2. 민족학적으로 본 문화계통
          • 1) 한민족·한국문화 기원론의 흐름
          • 2) 고대 한민족의 문화적 여러 양상과 그 계통
        • 3. 문헌에 보이는 한민족문화의 원류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1. 선사
        • 2. 고대
          • 1) 국가의 성립과 발전
          • 2) 통일 신라의 수취제도
        • 3. 고려
          • 1) 정치적 특성
          • 2) 경제적 특성
          • 3) 사회적 특성
          • 4) 사상적 특성
        • 4. 조선
        • 5. 근현대
          • 1)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 개혁의 시련
            • (7) 반제국주의 민족운동의 전개
          • 2) 일제의 한반도 강점과 독립운동
            • (1) 일제의 강점과 식민통치의 기조
            • (2) 식민통치의 시기별 특징
            • (4)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징
          • 3) 해방정국과 현대사의 전개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1. 언어
        • 2. 문학
        • 3. 종교와 사상
          • 5) 한국 종교사의 전개
        • 4. 과학기술 -한국 과학기술사의 시기별 특징-
          • 1) 전통과학시대
          • 2) 근대과학시대
          • 3) 현대과학시대-한국전쟁 이후
        • 5. 미술
          • 1) 선사시대 미술의 특성
          • 2) 삼국시대 미술의 특성
        • 6. 음악
          • 2) 한국음악사의 전개양상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산악신앙과 신수신앙

 단군신화의 또 다른 핵심은 천제의 아들 환웅이 徒 3천을 거느리고 태백산의 정상 신단수 아래로 내려와 인간세상을 다스리기 시작하였다는 부분이다. 이것은 山嶽信仰과 神樹信仰을 반영한 것이었다는 것은 새삼 지적할 필요도 없으며, 이 역시 동아시아는 물론 세계 도처에서 확인되는 원시 신앙이다. 고대인에게 산은 각종 精靈과 諸神이 거주 또는 출입하는 非 인간의 세계로 인식되었고, 특히 그 정상은 천계로 곧 바로 연결되는 신성한 장소였다. 천제의 아들이 하강한 장소가 태양숭배의 상징인 태백산의 정상이었다는 것은 극히 당연하였다. 수목, 특히 거대한 수목도 정령과 신이 깃든 것으로 경배되었지만, 생명의 영생과 자손의 번식을 보증하는 존재로도 인식되었기 때문에 上古 중국에서는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聖所인 社에 수목을 심거나 巨樹 또는 叢林을 社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우리 나라 성황당 주변에 작은 숲 또는 몇 그루의 나무가 있는 것도 바로 이 수목신앙을 반영한 것이다. 또 고대 중국에는 세계의 중심에 위치하여 천지간을 왕래할 수 있는 사다리로 이용되는 天梯神樹 또는 宇宙軸樹의 관념도 보이는데,≪산해경≫海內南經과≪淮南子≫墜形訓에 소개된 建木이 바로 그것이다.

 환웅이 태백산 정상 神壇樹 아래 하강한 것은 바로 산악신앙과 신수신앙이 결합된 관념을 반영한 것이 분명하며, ‘신단수’란 표현이 정확하다면 수목 주변에 神壇을 쌓았거나 신단을 쌓은 후 수목을 심은 것으로 추정되어 단순한 신성한 숲에 대한 신앙과는 차이가 있는 것 같다.184) 어쨌든≪삼국유사≫는 이 부분을 “降於太白山頂神壇樹下 謂之神市”로 기술하고 있는데, 이것을 환웅이 신단수 아래 ‘神市’를 열었다고 해석한 후 ‘神市’를 ‘신시’로 읽고 ‘신의 도시(city)’로 이해하는 것이 종래의 정설이다. 그러나 우선 문맥상 ‘神巿’는 神壇樹를 가르키는 것도 분명하며, 여기에 ‘연다(開)’는 의미가 개입될 여지도 없다. 더욱이 한자의 ‘市’가 도시를 의미한 것은 근대 행정제도가 도입된 이후이며, 본래는 사람이 모여 물건을 사고 파는 교역의 장소를 의미하였다. 唐代까지도 市는 성내의 일정한 구역에(문을 통하여 출입하는) 한정되었기 때문에 그 이전의 ‘城市’(≪後漢書≫方術傳 廖扶傳) 또는 ‘市邑’은(≪潛夫論≫浮侈篇) 각각 ‘성안의 시장’ 또는 ‘시장이 있는 읍’ 정도의 의미에 불과하였으며, ‘市’ 한 자로 성읍을 표현한 예도 없다. 다만 宋代 이후 성외 교통의 요지에 교역이 발달하면서 취거가 형성된 곳에 鎭이 설치된 이후 이것을 ‘市鎭’ 또는 ‘市’로 칭하기 시작한 것은 사실이나, 이 역시 도시 보다는 시장의 의미가 강조된 개념이다.

 그렇다면 ‘신시’가 ‘신의 도시’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그렇다면 ‘신시’는 ‘신의 시장’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러나 산 정상의 시장을 열었다는 것은 너무 어색하다. 물론 시장의 원초적인 형태가 본래 祭儀가 거행되는 기간 교역이 이루어지는 聖所였던 것은 사실이며, 이 점은 최근 중국고대사 연구에서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관견에 한한 문헌상 ‘시(市)’에서 제의 또는 특수한 종교적 주술적 의식이 거행되는 것은 확인되지만, 성소 자체를 ‘市’로 표현한 것은 확인되지 않는다. 즉 문헌상 성소 자체를 ‘시’로 표현한 예가 없다는 것이다. 결국 설혹 신단수 또는 그 부근이 성소였다는 것을 인정하고 ‘시’의 원초적 성격을 기억하여 ‘신시’로 표기하려고 해도 이미 ‘시’에는 그런 의미를 전달할 含意가 없었고, 따라서 ‘신시’는 ‘신의 성소’라는 의미로 전달될 수 없었던 것이다.

 이 문제는 ‘神市’의 ‘市’를 ‘시(巾部 2획)’로 읽는 한 해결되지 않는다. 그래서 필자는 이것이 ‘巿(불)’(巾部 1획)일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는데, 역시 ‘巿(불)’에는 ‘초목이 무성한 모습’이란 의미가 있었고≪說文解字≫도 ‘불’을 “草木巿巿然”으로 해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불’은 叢木 또는 叢林이며, 따라서 ‘신불’은 수목 신앙과 관련하여 흔히 지적되는 神叢과 동일하다는 결론이 자연스럽게 도출되며, 이 해석만이 단군신화에 포함된 수목신앙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문맥상의 어색함도 사라진다.

 한편 신라 6촌의 촌장들이 모두 山頂으로 하강하였고, 南解王의 비가 운제산성모로 신앙되었다는 것은 모두 산악신앙을 반영한 것이며, 수로왕이 깨어난 황금알이 담긴 붉은 보에 싸인 金盒이 하늘에서 龜旨峰으로 내려 왔다는 수로왕 설화도 황금문화, 난생, 태양, 거북(또는 해상 이동) 신앙과 함께 결합된 산악신앙의 존재를 시사한다. 이에 비해 김알지설화에 보이는 수목신앙은 산악신앙과는 별로 관계가 없는 것 같은데, 이 점은 위지 동이전 馬韓傳에 전하는 蘇塗에 반영된 수목신앙도 마찬가지이다. 소도는 國의 別邑에 세운 ‘大木’이기 때문이다. 이 별읍을 소도라고 한 것은 이 대목이 곧 소도였기 때문인 것 같다. 신주 역시 신수신앙에서 유래된 것이지만, 소도에 북과 방울을 걸어 놓고 귀신에 제사를 지냈다는 것으로 보아 이것이 수목신앙에 속하는 것은 분명하다. 북과 방울이 신을 부르는 神器였다면, 소도는 천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天梯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미 樹가 아닌 木柱였다는 것은 수목신앙의 원형을 많이 상실하여 김알지 설화의 수목신앙보다 시기적으로 늦은 것으로 보이는데(이 大木은 정기적으로 산에서 벌목해 왔을 것이다), 이 소도를 세우는 의미를 불교와 비슷하나 선악의 기준이 다르다고 한 것은 단순한 샤머니즘적 단계를 넘어서 사회 규범을 통제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제의로 발전하였던 것 같다. 이 성소를 제사한 것으로 보이는 天君도 國邑의 군장이 아니었다는 것은 이 소도신앙이 君長權과 분리된 후기 단계를 시사하지만, 天君이 별읍의 長이었다면, 그리고 죄인도 그곳으로 피신하면 안전하였다는 것은 祭政이 분리되면서 제사가 俗權에 완전 종속되기 이전의 과도 단계를 말해 주는 것 같다.

<그림 14>     + 참고이미지

 소도는 지금도 남아 있는 솟대나 장승의 원류였다는 것이 정설인데, 솟대 위에는 새 모양이 앉아 있는 경우가 많다. 물론 소도와 새의 관계를 직접 언급한 자료는 없다. 그러나 대전 부근에서 발견한 청동기에는 앞면에는 약간 휘어진 Y자의 양 가지에 각각 새가 앉아 있는 모습과 뒷면에는 농경의례로 추정되는 각화는 소도 의식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그림 14>). 또≪삼국지≫위서 동이전 倭傳의 對蘇國은 현재 일본의 鳥棲에 해당하는데, 이 지역에서 역시 신을 부르는 神器의 일종인 銅鐸도 출토되었다면, 蘇塗와 그 발음의 도치인 對蘇도 ‘새가 깃든’ 또는 ‘새가 깃든 장대’ 정도의 의미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실제 새가 앉아 있는 神竿은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동남 연안에 이르는 지역은 물론 내륙 운남성과 일본에서도 낯설지 않는 풍경이다. 소도로 변형된 수목신앙은 종래 주로 북방문화의 계통으로 이해해 왔지만, 역시 중국 남부 문화권과 관련된 것이었을 가능성도 높다.

184)그러나≪삼국유사≫가 단군도 ‘壇君’으로 표기한 것을 보면, 본래는 ‘神檀樹’일 가능성도 높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