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광석
가) 동광석
지표에 있는 광석으로는 자연동을 비롯하여 산화광물인 적동석과 탄산염광물인 공작석과 남동석 등이 있다. 자연동은 그대로 사용하여 장식품 등을 제작하였다. 이란 서부의 알리코쉬(Ali Kosh)에서 출토된 기원전 8∼6천년기의 구슬이 자연동으로 만든 최초의 제품이다.0346)
우리 나라에서도 자연동은 그 양은 많지 않으나 충청도를 비롯하여 곳곳에서 산출된다.0347) 이 자연동은 그대로 사용되거나 도가니에서 녹여 청동의 원료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자연동은 그 자원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동광석을 제련해서 써야 했다. 다행히 지표에 있는 광석은 산화동이거나 탄산동이어서 제련하기가 쉽다. 기원전 3800년에 이란의 테페 야야(Tepe Yahya)에서 출토된 동기가 최초이며,0348) 한편 우리 나라에 발견된 최고의 동제품은 나진 초도에서 출토된 기원전 2000년기의 순동 목걸이 관옥이다.0349)
주로 지하에 매장되어 있으며, 자원이 풍부한 황화광물인 황동석은 제련하기가 까다롭기는 하지만 청동기시대에 이미 제련되었으며0350) 우리 나라에서도 청동기시대에 이미 제련하였던 것이 확실하다. 한편 동은 녹는점이 1,083℃이므로 다른 광석보다 제련하기가 어려웠다.
나) 주석광석
산화광물인 錫石은 우리 나라에서는 강원도와 경북 등지에서 난다.0351) 그 양이 적으나 뒤에 언급하겠지만 납동위원소비로 보아 우리 나라의 것을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러시아의 연해주에는 주석이 풍부하며, 고대 청동기에 사용하였는 바0352) 외국에서 수입하였다면 이에 대하여 주목할 가치가 있다.
주석은 녹는점이 232℃이어서 제련하기는 쉬우나 그 자원이 빈약한 데다 편중되어 있어서 동제련보다 늦은, 기원전 1800∼1600년 사이에 이란 북서부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0353)
다) 납광석
황화 광물로서 납광석인 방연광은 자원이 풍부하고, 녹는점이 비교적 낮은 327.4℃로 납의 제련은 주석보다 앞서며, 동보다도 앞설 수도 있다. 소아시아에서는 기원전 5000∼4000년기에는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0354)
0346) | R. F. Tylecote, A History of Metallurgy, 1976, p.7. |
---|---|
0347) | 자원개발연구소,≪한국의 광물≫(자원개발연구소, 1977), 1쪽. |
0348) | C. C. Lamberg-Karlovsky, Excarvations at Tepe Yahya, Iran, 1967∼69, Progress Report I, Bull. 27, Am. School Preh. Res. Harvard, 1970. |
0349) | 강승남,<우리 나라 원시 및 고대 유색금속의 리용에 대한 고찰>(≪조선고고연구≫4,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92), 39∼43쪽. |
0350) | R. F. Tylecote, ibid., pp.6∼9·16∼19. 柯 俊,<冶金史>(≪中國冶金史論文集≫, 北京鋼鐵學院, 1986), 3쪽. |
0351) | 자원개발연구소, 앞의 책, 115쪽. |
0352) | Л. В. Конькова, Бронзо-литейное производстЬо, Наука, 1989, pp.9∼31. |
0353) | L. Aitchison, A history of metals, Vol. 1, 1960, p.186. |
0354) | T. A. Wertime, Man's first encounters with metallurgy, Science, Vol. 146, 1964, p.12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