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Ⅰ. 청동기문화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가. 비파형동검 시기
              • 나. 세형동검 시기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가. 전기 고조선과 청동기
              • 나. 후기 고조선과 청동기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요령식동검문화
              • 나. 세형동검문화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가. 요령식동검 유적
              • 나. 세형동검 유적
              • 다. 주조관계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① 춘천 중도유적
              • ② 춘천 신매리유적
              • ③ 춘천 천전리유적
              • ④ 강릉 포남동유적
              • ⑤ 속초 조양동유적
              • ⑥ 강릉 방내리유적
              • ⑦ 양구 해안유적
              • ⑧ 양양 포월리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① 대구 월성동유적
              • ② 대구 상인동유적
              • ③ 대구 대봉동유적
              • ④ 경주 황성동유적
              • ⑤ 금릉 송죽리유적
              • ⑥ 안동 한들 바위그림
              • ⑦ 안동 지례리유적
              • ⑧ 영일 칠포리 바위그림
              • ⑨ 경주 금장대 바위그림
              • ⑩ 고령 양전동 바위그림
              • ⑪ 부산 반여동유적
              • ⑫ 울주 검단리유적
              • ⑬ 진양 대평리유적
              • ⑭ 창원 덕천리유적
              • ⑮ 합천 저포리 E지구유적
              • (16) 거창 대야리유적
              • (17) 합천 봉계리유적
              • (18) 사천 소곡리유적
              • (19)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유적의 분포
              • 나. 집터의 특징
            • (2)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널무덤
              • 라. 독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가. 서북지방
              • 나. 동북지방
              • 다. 중부지방
              • 라. 홍도
              • 마. 흑도
            • (2) 석기
              • 가. 마제석검
              • 나. 반월형석도
              • 다. 석기문화의 특성과 전개
              • 라. 편년
            • (3) 청동기
              • 가. 요령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나. 한국식동검문화기의 청동기
            • (4) 뼈연모
              • 가. 무구
              • 나. 농공구
              • 다. 어구
              • 라. 생활용구
              • 마. 장신구
              • 바. 기타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가. 광석
              • 나. 광석의 제련
              • 다. 청동기의 주조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가. 청동기의 성분
              • 나. 청동기의 종류에 따른 주요성분의 변화
              • 다. 기타 성분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농경문화의 시작
              • 나. 도작문화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청동기시대 사회구성 복원상의 문제점
              • 나. 청동기시대의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무문토기사회의 의식주생활
              • 나. 요령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다. 한국식청동사회의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가. 중국 은주시대 청동거울의 특징
              • 나. 고조선시기 발해연안 청동거울의 특징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2) 주요 철기유적
              • 가. 북부지역
              • 나. 중부지역
              • 다. 남부지역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가. 조사현황
              • 나. 집터의 구조
              • 다. 집터의 성격
            • (2) 패총
              • 가. 조사현황
              • 나. 층서의 검토
              • 다. 출토유물
              • 라. 패총의 성격
            • (3) 무덤
              • 가. 고인돌
              • 나. 돌널무덤
              • 다. 돌무지무덤
              • 라. 독무덤
              • 마. 토광묘
            • (4) 방어시설
              • 가. 환호
              • 나. 목책
              • 다. 녹각시설
              • 라. 토성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가. 철 소재의 생산
              • 나. 주조철기의 제조
              • 다. 단조철기의 제조
            • (2) 철기유물
              • 가. 철기 사용의 여러 단계
              • 나. 농공구류
              • 다. 무기류
              • 라. 차마구
              • 마. 이형철기류
            • (3) 토기
              • 가. 토기의 분류
              • 나. 각 토기의 검토
              • 다.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가. 곡물재배와 수전개간
              • 나. 농경기술과 도구의 발달
              • 다. 기타 생업기술의 발전
            • (2) 교역
              • 가. 교역의 대상
              • 나. 교통로와 교통수단
          • 2) 사회
            • (1) 사회구성
              • 가. Ⅰ기(기원전 3∼2세기)
              • 나. Ⅱ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 다. Ⅲ기(기원후 2∼3세기)
            • (2) 의식과 신앙·예술
              • 가. 의식과 신앙
              • 나. 예술
            • (3) 의식주생활
              • 가. 음식
              • 나. 의복
              • 다. 주거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나. 광석의 제련

가) 제련 설비

 산화물 광석인 적동석이나 탄산염 광물인 동광석과 황화 광물인 방연광은 숯과 섞어, 불을 피워 송풍하면 숯에서 나오는 일산화탄소로 환원되어 손쉽게 금속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황동석은 유황을 배소하여 제거시키거나 또는 2차에 걸쳐 제련하여야 한다.

 최근 경주시 황남동 376호 유적에서 기원후 6세기 중엽의 것으로 추정되는 동제련 도가니가 발굴되었다.<그림 1>및<사진 1>과 같이 토기의 내경은 12cm, 깊이 4cm로서 조사 결과 그릇 안에 동광석 분말과 숯을 넣어 그릇 안에서 숯불로 동을 제련한 것이 밝혀졌다.0355) 한편 기원후 8세기의 경주시 동천동 7B/L유적에서는 크기가 70㎝×70㎝ 정방형 수혈 안에<사진 2>와 같이 내경 13㎝, 노벽 두께 3∼4㎝, 높이 15㎝의 작은 동제련로가 출토되었으며, 노의 안쪽 벽에는 약 0.5㎝ 두께로 동재가 덮여 있었다. 이 노 안에서는 좁쌀만한 구리 알갱이가 흙과 섞여 나왔으며 노 아래쪽에는 풀무 구멍이 있었다.0356)

<그림 1>경주 황남동 출토의 동제련 도가니

 청동기시대에도 동제련은 주로 질흙 도가니나 움에서 동광석과 숯을 섞어 풀무질을 하여 동을 제련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런 예는 유럽이나0357) 중국에서도 볼 수 있다.0358) 동의 녹는점이 1,083℃나 되는 고온이어서 작은 도가니나 움에서 제련된 동은 일부만이 동입자로 되므로 채로 쳐서 골라내어 다시 도가니에 넣어 덩어리를 얻었다. 이것은 소규모의 동제련 방법이며, 그 후에는 질흙으로 노를 쌓아 제련하였다.0359)

 우리 나라에서는 19세기 초에 와서야 네모의 담을 쌓고, 가운데가 움푹한 바닥에 재를 깔고 그 위에 얇게 질흙을 발라 풀무질하여 대량으로 동광석을 숯과 섞어 숯불로 녹여 바닥에 괸 동을 수합하였다고 한다.0360)

<사진 1>경주 황남동 출토의 동제련 도가니
ⓐ 도가니 내벽으로서 동재가 입혀져 있다. ⓑ 도가니의 단면도로서 내부는 화기를 입었으나, 외부는 입지 않았다. ⓒ 도가니 밖에서 나온 입자.

<사진 2>경주 동천동 출토 동제련로

나) 청동의 용해

 최초의 청동제품은 메소포타미아의 우르(Ur)에서 출토된 도끼로서 기원전 3500∼3200년으로, 주석이 8.1% 및 11.1%가 들어 있다.0361) 한편 중국은 같은 시기에 甘肅省 東鄕의 馬家窯文化의 靑銅刀(주석 6∼10%)가 최초의 청동기이다.0362)

 우리 나라 최초의 청동기는 기원전 2000년기의 평북 용천군 신암리에서 출토된 청동칼과 청동단추 및 나진 초도의 청동가락지, 청동방울, 장식품 등이다.0363)

 청동은 처음에는 동광석과 주석광석 및 납광석을 숯과 섞거나 교대로 쌓아 송풍하면서 녹이고,0364) 그 후 금속 동·주석 및 납을 저울질하여 도가니에 넣어 청동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광석을 사용하면 조성의 조정이 어렵고, 또한 주석이나 납을 다량으로 넣기가 어렵다. 우리 나라의 청동기 조성을 보면 성분이 조정되었고, 주요 원소의 다량 첨가로 보아 금속을 써서 합금시킨 것이 확실하다.

 동은 녹는점이 고온이어서 용해하기가 어려우며, 주조성도 나쁜 반면, 청동은 주조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주석의 함량이 높을수록 녹는점이 낮아져 용해하기가 쉽다. 즉 동에다 주석을 10% 첨가하면 994℃에서 녹고, 20%이면 875℃로 낮아진다.

 납을 첨가하면 합금의 녹는점이 더욱 낮아지고, 쇳물의 유동성이 좋아져 주조성이 좋아지며, 그 위에 수축공과 같은 주조 결함을 메우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절삭성이 좋다. 무엇보다 값비싼 주석을 대체할 수 있어서 후기로 내려올수록 납의 첨가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다) 청동기의 원료산지 추정

 청동기의 산지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1970년대부터 납동위원소비법0365)을 이용한 이래,0366) 그 후 각국에서 이를 활발히 이용하기에 이르렀고, 우리 나라에서는 1980년대에 비롯되었다.0367)

 우리 나라 청동기 및 유리에 대하여 그 비를 측정한 결과는<표 1>이며, 이를 납광석과 함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그림 2>이다.

번호 자 료 출 토 지 연 대 206Pb/204Pb 207Pb/206Pb 208Pb/206Pb
비파형동검 慶北 金陵 기원전 8∼5세기 18.0443 0.8635 2.1222
비파형동검 全南 麗川 기원전 8∼5세기 18.011 0.864 2.123
비파형동모 全南 麗川 기원전 8∼5세기 18.092 0.859 2.111
세 형 동 검 全北 益山 기원전 4∼1세기 17.791 0.881 2.170
세 형 동 검 傳 全南 기원전 4∼1세기 19.2665 0.8190 2.0652
세 형 동 검 傳 全南 기원전 4∼1세기 17.7112 0.8740 2.1472
세 형 동 검 傳 全南 기원전 4∼1세기 19.2192 0.8196 2.0675
세 형 동 검 未 詳 기원전 4∼1세기 20.5480 0.7745 1.9872
동 령 傳 全南 기원전 4∼1세기 17.7538 0.8729 2.1539
청 동 검 未 詳 기원전 4∼1세기 17.4020 0.8884 2.1609
다뉴세문경 忠南 論山 기원전 4∼1세기 18.4625 0.8484 2.0988
대 구 (1) 傳 鳥致院 기원전 1세기 18.209 0.8599 2.1218
대 구 (2) 未 詳 기원전 1세기 18.1815 0.8572 2.1116
검 파 두 식 金海 良洞里 기원후 3세기 17.7203 0.8738 2.1641
대 형 동 모 金海 良洞里 기원후 3세기 17.7405 0.8754 2.1573
(16) 동 경 金海 良洞里 기원후 3세기 17.2955 0.8752 2.1573
(17) 동 모 金海 良洞里 기원후 3세기 17.6548 0.8736 2.1598
(18) 동 천 金海 良洞里 기원후 3세기 17.7619 0.8743 2.1611
(19) 검 병 부 金海 良洞里 기원후 3세기 18.4501 0.8856 2.1646
(20) 청 동 용 기 慶州 壼杅塚 기원후 5세기 17.986 0.8682 2.1343
(21) 청동제소반 慶州 銀鈴塚 기원후 5세기 18.147 0.8617 2.1276
(22) 미륵사유리 全北 益山 기원후 7세기 17.872 0.8809 2.2141
(23) 원주신라종 江原 原州 기원후 8세기 19.562 0.8112 2.0126
(24) 실상사범종 南原 實相寺 기원후 9세기 19.495 0.8129 2.0069
(25) 청 동 뚜 껑 傳 慶州 기원후 9세기 18.673 0.8437 2.0951
(26) 불 상 未 詳 기원후11세기 18.612 0.8468 2.1028

<표 1>한국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그림 2>에서 중국 遼寧省이나 吉林省의 납광석 측정치를 보면 대부분이 0.87 이상인 것으로 보아0368) 이 값을 경계로 그 이상의 값은 중국 북부산일 수 있으나 남한의 납광석이나 청동기에도 경계치를 넘는 것도 있어서 고고학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북한의 자료는 얼마 되지 않으나 대체로 북위 37.5°를 경계로 하여 남한과 북한이 다르며, 북한의 비는 대체로 0.87 이상이고 208Pb/206Pb의 값이 비교적 높다.0369) 예컨대<표 1>의 미륵사 유리((22))는 그 값이 경계치를 넘고 있지만 중국 것이 아니라 경기도 富平産으로 추정된다.0370)

<그림 2>한국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이<그림 2>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경북 금릉 출토 비파형동검(<표 1>-①;<그림 2>-A)과 전남 여천의 비파형동검(<표 1>-②;<그림 2>-A) 및 비파형동모(<표 1>-③;<그림 2>-B)이다. 지금까지는 비파형동검은 요령성에서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보고 있으나, 이들이 남한의 광석 및 청동기와 함께 일직선 위에 놓인 것을 보아 같은 계통의 납을 사용하였으며, 그 값이 경계치보다 훨씬 떨어져, 이들은 남한의 납을 사용하여 남한에서 주조된 것으로 나타난다.0371) 이 비파형동검은 슴베에 홈이 파여 있는 것으로, 한반도의 중서부와 남부에만 출토되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0372)

 또한<그림 2>에서 경계치를 넘는 김해 양동리의 일괄유물도 남한산의 납이 사용되었다. 고고학적인 견지에서도<표 1>의 검병부((19))가 남한산인 것으로 밝혀졌다.0373)

 어느 청동기가 남한의 납을 사용하였다고 하면 여기에 쓰인 동이나 주석도 남한산임을 뜻한다. 동·주석광석에는 납을 동반한다. 따라서 중국의 동이나 주석을 사용하였다고 하면 그 속의 납이 동위원소비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당시 남한에서도 동과 주석을 생산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0355)Ju Choi, The Feature of the Korean Bronze Age-From the Metallurgical Viewpoint, Proc. The Forum for The Fourth Intern. Conf. on the Beginning of the Use of Metals and Alloys(BUMA-Ⅳ), Jan. 16∼17, 1996, Shimane Japan, The Japan Institute of Metals, pp.25∼46.
0356)≪朝鮮日報≫(1997년 5월 7일).
0357)R. F. Tylecote, The Prehistory of Metallurgy in the British Isles, The Institute of Metals, London, 1986, pp.97∼102.
0358)北京鋼鐵學院,≪中國冶金簡史≫(北京;科學出版社, 1978), 22∼28쪽.
0359)宋應星 지음;崔 炷 주역,≪天工開物≫(傳統文化社, 1997), 314∼320쪽.
0360)李圭景,≪五洲書種博物考辨≫銅類, 1098쪽.
0361)R. F. Tylecote, ibid., 1976, pp.5∼9.
0362)柯 俊, 앞의 글, 2쪽.
0363)강승남, 앞의 글, 39쪽.
0364)T. A. Rickard, The primitive smelting of copper and bronze, Institute of Mining and Metallurgy, Vol. 4, 1935, pp.227∼254.
0365)원자 번호가 82인 납에는 질량수가 각각 204, 206, 207, 208인 네 가지가 있다. 이처럼 원자 번호가 같고 질량수가 다른 원소를 동위원소라 한다. 지구가 47억년전에 생성된 이래 204Pb는 원래부터 있었으나 206Pb, 207Pb 및 208Pb는 각각 238U, 235U 및 232Th가 오랜 기간에 걸쳐 방사성 붕괴를 거듭하여 형성된 것이다. 어느 시기에 납광상이 형성될 때는 우라늄(U) 및 토륨(Th)을 배제하고 생성되므로 그 납의 동위원소의 비는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어느 납광상의 형성이 오래될수록 206Pb/204Pb나 207Pb/204Pb의 값은 커지게 된다. 이 비를 207Pb/206Pb와 208Pb/206Pb로 나타내어도 지역에 따라 분포가 달라진다.
0366)R. H. Brill, I. L. Barners and B. Adams, Lead isotopes in some ancient Egyptian objects, Recent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of Materials, Vol. 3, 1974, p.9.
0367)崔 炷·金秀哲·馬淵久夫·平尾良光,<옛 韓國 靑銅器에 대한 小考>(≪대한금속학지≫24-4, 大韓金屬學會, 1986), 66∼72쪽.
0368)張翼翼·邱純一·毛存孝·洪阿實·藿衛國,<我國某些方鉛鑛中的鉛同位素分析>(≪地質科學≫2, 1964), 182∼187쪽.

陳每流蔚·毛存孝·朱炳泉,<我國顯生代金屬鑛床鉛同位素組成特徵及其成因探討>(≪地球化學≫3, 1980), 215∼229쪽.

馬淵久夫·江本義里·門倉武夫·平尾良光·靑木武夫·三輪嘉六,<島根縣荒神谷遺蹟出土銅劍,銅鐸,銅矛の化學的調査>(≪保存科學≫30, 東京 國立文化財硏究所, 1991), 1∼19쪽.
0369)馬淵久夫·平尾良光,<東アジア鉛鑛石の鉛同位體比>(≪考古學雜誌≫ 73-2, 1987).
0370)崔 炷·都正萬·金善太·嚴泰允·崔茂藏,<韓國 古代 유리의 國內 製造에 對하여>(≪先史와 古代≫1, 韓國古代學會, 1991), 1∼7쪽.
0371)崔 炷,<슴베에 홈이 있는 琵琶形銅劍 및 琵琶形銅鉾의 國産에 대하여>(≪先史와 古代≫7, 1996), 93∼102쪽.
0372)李健茂,<韓國의 靑銅器文化>(≪特別展 韓國의 靑銅器文化≫, 國立中央博物館·國立光州博物館, 1992), 125∼132쪽.
0373)尹武炳,≪韓國 靑銅器文化硏究≫(藝耕産業社, 1991), 290∼300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