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Ⅱ. 철기문화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1) 생업경제(1) 생업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
            • (3) 청동기
            • (4) 뼈연모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주요 철기유적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패총
            • (3) 무덤
            • (4) 방어시설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2) 철기유물
            • (3) 토기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2) 일본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가. 곡물재배와 수전개간

 이미 신석기시대에 여러 유적에서 조·기장·피·수수 등의 잡곡 재배가 집터에서 발견된 탄화된 곡물자료에 의해 확인된 바 있다. 그리고 청동기시대에 들어와서는 여주 흔암리, 부여 송국리, 평양 남경 등의 집터 유적에서 발견된 탄화미를 통해서 벼의 재배도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철기가 유입되기 전에 오늘날 주식으로 이용되는 알곡작물은 이미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기원전 3세기∼기원후 3세기의 철기시대(초기 철기시대∼삼국시대 전기)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에서 출토되는 탄화곡물의 실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0974)

종 류 출 토 유 적
강원 중도, 경기 여기산, 전북 반곡리, 전북 송룡리, 전남 군곡리

경남 늑도 2·8·9·11호 집터, 경남 회현리, 경남 조도 II층,

경남 부원동 A·B·C지구, 경남 동외동
대 맥 경남 부원동 A지구
소 맥 전남 군곡리, 경남 부원동 A지구
보 리 평남 남정리 116호분, 충북 하천리 F1 집터
함북 호곡 5호 집터, 강원 중도 1호 집터, 충북 하천리 D지구, 경남 부원동 A지구
기 장 평양 정백동 37호묘, 강원 중도 6지점
강원 둔내, 경기 양근리, 경남 부원동 A지구, 전북 세전리, 전북 반곡리
경기 야은리, 경남 부원동 C지구

<표 1>

 위의<표 1>를 보면 대체로 한반도 중남부지방에서 집중적으로 탄화미 자료가 출토되는 것이 확인된다. 이는 한반도 북부 특히 대동강유역의 서북한지방에서도 이미 청동기시대부터 벼농사가 실시되었으나, 철기시대에 들어와서는 중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벼농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에 비해서 조·기장 등의 잡곡은 북중부지방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다소 늦은 고대 문헌기록 등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파악이 된다.≪三國史記≫의 기록에 북쪽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쌀이 오곡에 포함되는 기사가 많아지고, 고구려에 비해 신라·백제 쪽에서 쌀 관계기사가 풍부하다. 이러한 상황은≪世宗實錄地理志≫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전기의 농업지대 구분 양상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따라서 초기 철기시대로부터 삼국시대 전기에 이르는 시기에 이미 우리 나라 농업지대의 기본 틀이 자리잡았음을 알 수 있다.0975)

 이처럼 이 시대에 한반도 중남부지방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벼는 이 지역으로부터 농법기술을 전래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 규슈지방의 농경지 유적을 통해서 미루어 볼 때, 그 상당한 부분이 수전농사에 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두말할 것도 없이 수전은 관개시설이 마련되어 경작지가 항상 濕田 상태에 있거나 반습전 혹은 적어도 반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물 공급이 용이한 곳을 경작지로 선택하여야 하는데, 죠몬(繩文)시대 말기-야요이시대에 걸쳐 일본에서는 각기 다른 지형조건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개간한 수전이 곳곳에서 확인된다.

 우선 죠몬 말기의 초기단계에는 하천 연변에 형성된 자연제방대나, 계곡 하천 주변의 曲底평야, 또는 하천을 옆에 낀 홍적단구를 주로 이용한 경작지가 개간되었다. 그러다가 야요이시대 전기에 해안 가까이 강 하구에 형성된 扇狀地 말단이나 삼각주 등에 수로와 둑을 만드는 데 보다 많은 기술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곳이 선택되기도 한다.0976) 이러한 일본 수전개간의 실례를 참고하여, 한반도의 이 시대 유적 중에 수전지 가능성이 있는 곳을 몇 예를 열거하여 살피면 다음<표 2>와 같다.0977)

해당유적 유적의 입지 수전지 가능지점
수원 서둔동

천안 청당동
분지, 하곡, 곡저평야의 산록 완사면, 침식성 저구릉 하천 연변의 배후습지, 곡저평야
춘천 중도 분지, 하곡, 곡저평야의 자연제방 배후습지, 구하천지대
해남 군곡리

김해 회현리
해안 하구 주변의 구릉지 하곡의 곡저평야

<표 2>

 한편 이러한 우리 나라 농경지 유적의 구체적인 실상을 간접적으로나마 살피는 데 단서가 될 만한 일본의 농경유적으로, 죠몬시대 말기에 남한계 적색마연토기와 반월형돌칼을 공반하는 규슈 후쿠오카시(福岡市) 이다츠케(坂府) 유적이 있다. 이다츠케유적은 후쿠오카시 하천 지류를 남쪽으로 낀 평야지대 한가운데 홍적단구 연변 다소 높은 구릉에 위치한다. 수전은 그 연변의 한 단계 낮은 단구상에 조성되었는데, 옛 하천과 촌락이 들어선 대지 사이의 낮은 단구상에 수십미터 폭에 400∼500m의 길이로 조성되어 있었다. 인근 하천에 연결된 수로를 통하여 물을 끌어들이고, 곳곳에 급수량을 조절하는 제언시설을 만들었다. 단위 논 하나의 크기는 폭 6∼10m, 길이 50m 이상이 되며, 하천과 수로의 사이 70m 정도 되는 대지를 5∼6등분으로 구획하여 경지를 조성하였는 바,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초기 철기시대 수전유적도 대체로 이와 같을 것으로 추정된다.0978)

0974)後藤直,<日韓出土の植物遺體>(≪日韓交涉の考古學≫ 彌生時代篇, 韓炳三·小田富士雄 編, 東京;六興出版, 1991), 60∼64쪽.
0975)郭鍾喆,<한국과 일본의 고대농업기술-김해지역과 북부구주지역과의 비교검토를 위한 기초작업->(≪韓國古代史論叢≫4, 韓國古代社會硏究所, 1992), 62∼64쪽.
0976)田崎博之,<地形と土と水田>(≪彌生農村の誕生≫, 東京;講談社, 1989), 56∼82쪽.
0977)郭鍾喆, 앞의 글.
0978)田崎博之, 앞의 글.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