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Ⅱ. 신라의 융성2. 정치체제의 정비2) 부체제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1. 건국신화와 시조신화
        • 2. 성립과 발전
          • 2) 성립
          • 3)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1. 나제동맹의 결성과 정치적 발전
          • 2) 나제동맹의 결성
          • 3) 마립간시대의 정치적 발전
        • 2. 정치체제의 정비
          • 1) 배경
          • 2) 부체제
          • 3) 지증왕대
          • 4) 법흥왕대
        • 3. 영토의 확장과 왕권강화
          • 1) 영토의 확장
          • 2) 왕권의 강화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1. 중국과의 관계
        • 2. 왜국과의 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경제
          • 1) 농업
          • 4) 토지제도와 조세·요역제도
        • 4. 사회구조
          • 2) 골품제도의 형성 배경
          • 3) 골품제도의 계층 구성
          • 4) 골품제사회의 권력구조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1. 가야사 연구의 개관
          • 2) 임나 문제의 제학설
          • 3) 가야관계의 제학설
        • 2. 가야사의 범위
      • Ⅵ. 가야의 성립
        • 2. 가야의 건국 설화
        • 3. 가야 제국의 성립
        • 4. 가야연맹의 형성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1. 가야연맹의 발전
        • 2. 가야연맹의 약화
        • 3. 가야의 멸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1. 백제·야마토왜의 접근과 중개외교
        • 2. 대백제관계의 심화와 부용외교
        • 3. 백제·신라의 각축과 분열외교
      • Ⅸ. 가야인의 생활
        • 1. 산업의 발달
        • 2. 종교와 풍속
          • 1) 문헌에 보이는 가야의 종교
          • 2) 가야의 신앙과 풍속
          • 3) 유물자료에 보이는 신앙과 풍속
            • (1) 장례 풍속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6부의 기원과 성립

 이러한 신라의 6부가 언제 어떻게 성립되었는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170) 이들을 크게 나누면 대략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사로국이 영역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지방의 지배세력을 경주로 이주시키면서 차례차례 성립하였다는 단계적 성립설, 둘째는 6부의 기원을 사로국을 구성하는 경주지역의 지역집단에서 구하는 6촌기원설, 셋째는 원래 3개의 집단이 분화하여 6부가 형성되었다는 분화설 등이 그것이다.

 첫째의 단계적 성립설은≪삼국사기≫의 초기 기록을 허구로 보는 입장에서 나온 것이다. 즉 斯盧 6村을 허구적인 것으로 보고 사로국의 팽창과정에서 6부가 축차적으로 성립하였다는 학설이다.171) 이 견해에 따르면 喙部는 原新羅로 경주평야를 중심으로 가장 먼저 자리잡았고, 4세기 중엽에 沙伐國을 복속하고 그 지배자 집단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沙喙部가, 그리고 6세기 초에 半跛國(星州)을 병합하여 本彼部가 성립되어 3部가 되었으며, 그 이후 100여 년 동안에 역시 지방세력 집단을 복속하는 과정에서 나머지 3부가 단계적으로 성립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는 우리측 사서의 초기 기사를 철저히 불신하고 당시까지 전해지고 있던 단편적인 금석문 자료에만 의거하여 구성한 가설인데, 최근에 새로운 금석문 자료 특히<蔚珍 鳳坪碑>가 발견되면서 이러한 견해가 잘못된 것임이 분명해지게 되었다.

 두번째로 6부의 기원을 6촌에서 찾는 학설은 많은 학자들의 공통된 견해이나 그 구체적인 내용은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 우선 사로 6촌의 위치를 경상북도 일대로 보는 견해와 경주분지 부근으로 비정하는 견해로 나눌 수 있는데, 6촌을 경상북도 일원에 비정하는 입장에서는 6부의 성립시기를 소지마립간대로 상당히 늦추어 잡고 있다.172)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6촌의 위치는 경주분지 부근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6촌의 위치를 경주평야 일대로 보는 학자들도 6촌에서 6부로 전환된 시점에 대하여는 赫居世代說,173) 儒理尼師今 9年(32)說,174) 慈悲麻立干 12年(469)說175) 등 다양한 견해가 있다. 이 중에서 자비마립간 12년설은≪삼국사기≫의 ‘京都의 坊里 이름을 정하였다’176)는 기록에 근거를 둔 것인데, 이는 6부의 성립시기로서보다는 6부의 성격변화의 시점으로 보는 편이 옳을 것이다.177) 따라서 신라의 6부는 이사금시대에 이미 성립해 있었다고 보인다.

 셋째의 분화설은 최근의 학설인데, 이 설에 의하면 원래 경주평야를 중심으로 하여 喙·彼·岐의 3부만이 존재하다가 5세기 후반경에 喙部는 喙部·沙喙部·牟喙部(漸喙部)의 3부로 분화되고, 彼部는 本彼部와 斯彼部(習比部)의 2부로 분화되어서 (漢)岐部와 함께 6부가 성립하게 되었다는 것이다.178) 沙喙部의「沙」나 斯彼部의「斯」가 모두「새」(新)라는 뜻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 견해는 매우 가능성이 높은 가설이라 생각된다. 다만「朴·昔·金」의 3姓을「3부」의 실체로 보는 점은 앞으로 좀더 검토의 여지가 있다고 여겨진다.

 둘째 견해의 6촌기원설이나 셋째 견해의 분화설 중 어느 것을 취하든 신라의 6부는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이미 경주일대를 중심으로 성립해 있었던 것이 된다. 또 지증왕대에 만들어진<迎日 冷水里碑>에는 4개 부의 이름이 보이고 있는데, 이는 원래의 6부 중 이름이 보이지 않는 두 개의 부는 이미 그 세력이 미약해져서 도태된 상태라고 생각되므로 6부의 성립시기는 이보다 훨씬 올려 잡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따라서 이미 이사금시대에 6부는 성립해 있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다.≪삼국사기≫에 의하면 유리니사금대에 6촌을 6부로 改名하고 각각의 부에 姓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는데,179) 이는 그 사실성이 매우 의심스러운 기록이기는 하지만 유리니사금대에는 6부의 전신인 6촌사회를 어떠한 형태로든 재편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70)신라 6부에 대한 연구사적 정리는 다음 논문들이 참고가 된다.

李基東,<新羅 骨品制 硏究의 現況과 그 課題>(≪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一潮閣, 1984), 13∼20쪽.

崔在錫,<新羅의 六村·六部>(≪韓國古代社會史硏究≫, 一志社, 1987).

李文基,<蔚珍鳳坪新羅碑와 中古期의 6部 問題>(≪韓國古代史硏究≫2, 1989), 152∼163쪽.

全德在,≪新羅 六部體制 硏究≫(서울大 博士學位論文, 1995), 1∼8쪽.

姜鳳龍,<新羅 中古期 部의 性格 變化와 姓氏制>(≪典農史論≫1, 서울市立大, 1995), 4∼6쪽.
171)末松保和,<新羅六部考>(≪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299∼305쪽.
172)金哲埈,<新羅上代社會의 Dual Organization>下 (≪歷史學報≫2, 1952), 87∼88쪽.
173)崔在錫, 앞의 글, 373∼374쪽.
174)丁仲煥,<斯盧六村과 六村人의 出自에 대하여>(≪歷史學報≫17·18, 1962).

李鍾旭,<新羅 上古時代의 六村과 六部>(≪震檀學報≫49, 1980), 31쪽.

―――,≪新羅國家形成史硏究≫(1982), 70쪽.

李文基,<金石文資料를 통하여 본 新羅의 六部>(≪歷史敎育論集≫2, 1981), 110쪽.
175)李丙燾,<新羅의 起源問題>(≪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602쪽.
176)≪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자비마립간 12년 정월.
177)자비마립간 6년의 기록이 6부의 성격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데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으나, 그 구체적인 주장에는 다소의 차이점이 있다.

李鍾旭, 앞의 글(1980), 47쪽.

李基白·李基東,≪韓國史講座 古代篇≫(一潮閣, 1982), 151쪽.

李文基,<新羅 中古의 六部와 王統>(≪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8, 1987), 71∼73쪽.
178)朱甫暾,<三國時代의 貴族과 身分制>(≪韓國社會發展史論≫, 一潮閣, 1992), 14쪽.
179)≪三國史記≫권 1, 新羅本紀 1, 유리니사금 9년.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