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Ⅱ. 신라의 융성2. 정치체제의 정비2) 부체제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1. 건국신화와 시조신화
        • 2. 성립과 발전
          • 2) 성립
          • 3)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1. 나제동맹의 결성과 정치적 발전
          • 2) 나제동맹의 결성
          • 3) 마립간시대의 정치적 발전
        • 2. 정치체제의 정비
          • 1) 배경
          • 2) 부체제
          • 3) 지증왕대
          • 4) 법흥왕대
        • 3. 영토의 확장과 왕권강화
          • 1) 영토의 확장
          • 2) 왕권의 강화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1. 중국과의 관계
        • 2. 왜국과의 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경제
          • 1) 농업
          • 4) 토지제도와 조세·요역제도
        • 4. 사회구조
          • 2) 골품제도의 형성 배경
          • 3) 골품제도의 계층 구성
          • 4) 골품제사회의 권력구조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1. 가야사 연구의 개관
          • 2) 임나 문제의 제학설
          • 3) 가야관계의 제학설
        • 2. 가야사의 범위
      • Ⅵ. 가야의 성립
        • 2. 가야의 건국 설화
        • 3. 가야 제국의 성립
        • 4. 가야연맹의 형성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1. 가야연맹의 발전
        • 2. 가야연맹의 약화
        • 3. 가야의 멸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1. 백제·야마토왜의 접근과 중개외교
        • 2. 대백제관계의 심화와 부용외교
        • 3. 백제·신라의 각축과 분열외교
      • Ⅸ. 가야인의 생활
        • 1. 산업의 발달
        • 2. 종교와 풍속
          • 1) 문헌에 보이는 가야의 종교
          • 2) 가야의 신앙과 풍속
          • 3) 유물자료에 보이는 신앙과 풍속
            • (1) 장례 풍속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부의 구조와 기능

 이사금은 진한 소국들의 연맹체의 장을 지칭하는 용어였다. 그런데 이사금시대에 왕위는 유력한 집단의 장들에 의해 선임되기도 하였고 세습되기도 하였는데,≪삼국사기≫에서는 이를 흔히「國人」에 의해 추대되거나 세워졌다고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서의 국인은 바로 사로국을 구성하고 있는 연맹체의 대표자들이라고 여겨진다. 즉 신라 전체의 국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원래 사로국을 구성하였던 유력집단 즉 6부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는 이 당시의 6부의 세력이 그만큼 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신라의 6부는 그 하나 하나가 영역과 정치조직을 가진 단위 정치체로서의 독자적인 기능을 가졌던 것이다.

 위지 동이전에 전하는 3세기 무렵의 고구려의 정치적 상황을 보면, 각 부의 장의 아래에는 使者·早衣·先人 등의 독자적인 관원이 있어 부내의 일을 독자적으로 처리하였으며, 消奴部는 독자적으로 靈星과 社稷에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고 한다. 부여의 경우에도 적이 있으면 諸加들이 스스로 전투에 나선다고 하여180) 독자적으로 전투에 나설 정도로 강한 정치적 독립성을 갖고 있음을 알려 주고 있다. 신라의 경우에도 이들 6부가 연맹하여 연맹체를 형성하던 시기에는 각 집단별의 독자성이 매우 강했을 것이라 여겨진다. 다음의 기록은 신라 초기의 6부의 모습을 잘 보여 주는 것이다.

8월에 音汁伐國이 悉直谷國과 지경을 다투어 왕에게 와서 재판을 청하므로 왕이 이를 난처하게 여겨 이르되, 金官國 首露王이 年老하고 知識이 많다 하고 그를 불러 물었더니 수로가 立議하여 所爭의 땅을 음즙벌국에 속하게 하였다. 이에 왕은 六部에 명하여 모여서 수로를 대접하게 하였는데 五部는 모두 伊湌으로 接待의 主를 삼았으나 오직 漢祇部만이 位卑者로 하여금 主管하게 하였다(≪三國史記≫권 1, 新羅本紀 1, 파사니사금 23년).

 위의 글에서 5부가 모두 이찬을 내보냈다고 하였으니 원래 이들 6부가 모두 이찬이란 관직 내지는 관등을 가진 자를 포함한 독자적인 관료체제를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삼국사기≫의 다른 기록에 의하면 한지부에는 이찬인 許婁와 摩帝가 파사왕을 영접하였을 때 마제의 딸을 太子妃로 삼고 허루에겐 酒多 곧 角干의 위를 주었다고 하며,181)≪삼국유사≫에서도 祗摩尼師今의 비를 마제국왕의 딸로 기록하고 있음을 보면(≪삼국사기≫에는 葛文王 摩帝의 딸이라 하였음) 한지부내에도 몇 개의 세력집단이 있었고 이들이 왕국을 칭할 정도로 독자적인 세력이 강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혼인관계를 통해 박씨계 왕들과 유대관계를 맺고 연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마 석씨의 탈해계도 한지부와 같은 지역을 근거로 한 집단이었다고 추측되는데182) 이들은 각각의 단위체로 존재했으나 때로는 완만한 하나의 지역집단으로 기능하기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시기의 신라의 왕은 한 部의 대표자로서 여타 다른 부의 대표자와 동질적인 면을 갖고 있었다. 마립간이라는 칭호는 여러 干들 가운데 우두머리라는 뜻이므로, 마립간시기의 신라의 왕은 여타의 간들과 본질적으로는 동일한 간에 불과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법흥왕대에 만들어진<울진 봉평 신라비>에는 牟卽智寐錦王(法興王)이 部(梁部)에 소속된 것으로 나오고, 지증왕대의<迎日 冷水里碑>에는 至都盧葛文王(지증왕)이 沙梁部 소속으로 나오는데, 이는 당시까지의 왕도 특정한 부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그 부의 대표자의 직위를 갖고 있었음을 뜻한다. 즉 이 때까지만 하더라도 왕권이 아직 6부의 세력을 초월할 만한 지위에까지는 오르지 못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는<영일 냉수리비>에 6부의 유력자들이 王으로 표기되어 지도로갈문왕과 함께 ‘7王等’으로 호칭되고 있음을 보면 더욱 확실히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울진 봉평비>의 예로 보아 적어도 법흥왕대 초기까지는 지속되고 있었던 것이다.

180)≪三國志≫권 30, 魏書 30, 烏丸鮮卑東夷傳 30, 夫餘·高句麗.
181)≪三國史記≫권 1, 新羅本紀 1, 지마니사금 1년.
182)金哲埈,<新羅上代社會의 Dual Organization>上(≪歷史學報≫1, 1952), 28∼35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