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Ⅳ. 대외관계3. 해상활동3) 당에서의 활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가. 궁중수공업
              • 나. 관영수공업
              • 다. 궁중ㆍ관영수공업관사의 변화
            • (2) 민간수공업
              • 가. 농민수공업
              • 나. 귀족의 수공업 경영
              • 다. 사원의 수공업 경영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가. 남자
              • 나. 여자
            • (2) 의복
              • 가. 포
              • 나. 바지
              • 다. 저고리(단의와 내의)
              • 라. 치마, 허리끈과 옷끈
              • 마. 반비
              • 바. 배당
              • 사. 표
              • 아. 요대
              • 자. 버선·버선목
              • 차. 화·화대·이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가. 원측의 유식학
              • 나. 서명학파
              • 다. 법상종 승려들의 유식학
            • (2) 원효 교학
              • 가. 생애와 활동
              • 나. 기신론 철학
              • 다. 교판
            • (3) 화엄교학
              • 가. 의상의 생애와 활동
              • 나. 의상의 화엄사상
              • 다. 화엄종과 의상 화엄의 계승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가. 신라 통일 이전의 한문학
              • 나. 8세기 승려들의 시문
              • 다. 9세기 신라 한문학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가. 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나.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 다. 8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라. 9세기의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가. 시대개관
              • 나. 범종
              • 다. 사리장엄구
              • 라. 장신구 및 생활용구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가. 토기
              • 나.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가. 탑파
              • 나. 부도
              • 다. 석등
              • 라. 당간과 당간지주
              • 마. 석련지와 석련대
              • 바. 석비와 탑비
              • 사. 석교
            • (5) 성곽
              • 가. 왕경의 성곽과 구성문제
              • 나. 소경과 주성
              • 다. 축성기법의 예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가. 삼현과 삼죽의 기원
              • 나. 거문고의 수용과 옥보고
              • 다. 삼현과 삼죽의 악조 및 악곡
              • 라. 옥보고의 창작곡과 악가무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가. 당악과 당악기의 등장
              • 나. 불교음악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신라가 唐에 처음으로 子弟를 보내어 國子監에 입학시킨 것은 宣德王 9년(640) 5월의 일이다.0875) 이 뒤 소위「宿衛學生」의 이름으로 많은 학생이 왕래 수학하였던 것이다.0876) 그리하여 僖康王 2년(당 開城 2년, 837)에는 그 당시 당의 國學에서 수학하던 유학생은 모두 216명이나 되었다.0877)

 사실 신라인의 유학열은 9세기초 당이 외국인을 위하여 실시한 賓貢科 제도가 한층 자극시켰다고 생각된다. 長慶 元年(憲德王 13년, 821) 金雲卿이 처음으로 빈공과에 登第한 이래 唐末까지는 58명이, 五代(梁·唐)에는 32명이 급제하였다고 전하니 대략 90명이나 되는 셈이다(발해 10명 포함).0878) 그렇다면 등과하지 못한 유학생의 수는 이들의 십수배나 되었을 지도 모르는 일이다. 文宗 開成년간(836∼840)에만 해도 귀국한 학생들의 수는 300여 명이나 되었다.0879) 이러한 사실은 또한 文聖王 2년(840)에 당이 수업연한이 끝나 마땅히 귀국하여야 할 유학생 105명을 放還케 하고 있는 것에서도 뒷받침된다.0880) 신라가 당으로 유학생을 처음 파견한 이래 멸망할 때까지 근 300년간 그 수를 줄잡아 2,000여 명이나 될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0881)

 安鼎福(1712∼1791)은≪三國史記≫와≪東文選≫에서 빈공과 及第者 20명을 찾아내고 그 명단을 밝히고 있다.0882) 그러나 근자에 와서 학자들의 연구로 52명의 人名을 찾아내었다.0883) 그런데 이 많은 유학생들 가운데 얼마나 되는 사람들이 唐文士의 누구와 교유하였는지는 상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이들 빈공과 출신의 몇몇의 행적을 통하여 이들은 훌륭한 외교사절로서의 책무를 다했을 뿐만 아니라 唐人士들과의 교유로 신라문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불교와 도교 및 神仙術·老莊思想과도 깊은 관계를 맺고 그 영향을 받았다. 더욱이 禪宗의 깊은 이해는 3교융합은 물론 새로운 사회의 방향제시와도 깊은 관계가 있었다.0884) 그러므로 빈공과 급제자 가운데 벼슬을 제수받았던 인사 가운데 행적이 뚜렷한 최치원을 예들어 그의 교유관계를 살피고 그의 문화적 축적이 어떠했던가를 고찰하여 당시 유학생·빈공급제자들의 在唐生活의 한 면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新唐書≫藝文志에는 최치원의 재당문학활동의 소산인≪四六≫1권과≪桂苑筆耕≫20권이 기재되어 있다.0885) 당문사가 아니면서 그 이름이 예문지에 등재되어 있다는 사실은 실로 놀라운 일이다. 최치원은 憲安王 원년(857) 왕도 慶州 沙梁部의 한 6頭品 가문에서 출생하여 12세 때 당에 유학하였다. 景文王 14년(874) 그의 나이 18세가 되던 해에 빈공과에 급제하여 江南道 宣州 溧水縣尉에 제수되어 관인생활을 시작하였다.0886) 최치원은 黃巢의 亂(875∼884)이 일어난 뒤 縣尉직을 사임하고 淮南에 있던 중 乾符 7년(880) 黃巢討伐軍의 최고 지휘관(諸道行營兵馬都統)이 된 淮南節度使 高騈(821∼887)의 從事官이 되었다. 헌강왕 11년(885)초 귀국할 때까지 4년 넘게 고병의 막하에서 文筆을 맡고 있었다.

 최치원은 그의 재당 18년간의 후반을 강남에서 지냈다. 당 문사와의 본격적인 교유도 종사관 재임기간에 이루어졌다. 고병 역시 이름있는 詩人이었다.0887) 그 뒤 고병은 神仙長生術에 빠져 끝내 폐가하고 말았다. 최치원도 이의 영향을 받았는지 그의 글 가운데는 神仙·道術의 풍이 엿보인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는 江南佛敎가 크게 번창하고 儒釋交遊도 빈번하던 때라 그도 佛法을 깊이 이해하고 高僧大德·佛寺에 관한 많은 글(金石文 등)을 남기고 있다. 그의 종사관 동료 가운데는 문사 顧雲·裵鉶이 있다. 고운은 최치원과는 같은 해 급제한 池州(安徽省 貴池縣) 출신이었다. 그는 고병 막하의 종사관의 수장격인 都統判官직에 있으면서 최치원을 고병에 추천한 인물로 추측된다.0888)≪신당서≫예문지에는 그의 저작 서목이 기재되어 있어 왕성했던 그의 활동을 짐작케 한다.0889) 특히 최치원과는 친교가 깊었던 듯 그의 문집에는 고운에게 화답한 七言律詩 2首가 남아 있다. 훗날 최치원이 귀국할 때 그가 지어 이별을 아쉬워했던 送別詩는≪삼국사기≫권 46, 崔致遠傳에 요약 전재되어 있다.

 최치원의 교유는 종사관 동료들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그의≪계원필경≫권 7·8·9·10에는 鄭畋(禮尙)·鄭績 父子를 비롯하여 蕭遘(戶尙) 裵哲(禮尙) 鄭從讜(吏尙) 李蔚(吏尙) 등 명사들과도 교분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특히 鄭畋(825∼883)의 문학은 뛰어나고 깊으며 더욱이 시부에 능하였다고 하니0890) 그는 당대의 일류문사들과도 교분이 있었음이 분명하다.≪삼국사기≫에서 그의 傳을 보면 余杭詩人 羅隱과도 가까이 지낸 듯하다. 宰相 정전·이울과도 친분이 두터웠던 나은의 시문은 천하에 널리 알려져 특히 詠史에 빼어났다고 했다.

 최치원은 고운과 同鄕인 張喬와의 교분도 돈독하였다.≪동문선≫권 12에는 장교의 시에 화답하는 칠언율시가 수록되어 있다.≪신당서≫예문지 4에<張喬詩集>2권이 등재되어 있어 어진 선비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저명한 시인이다. 그는 進士에 급제하였으나 황소의 난을 만나 향리 가까운 九華山(安徽 貴池 東南)에 은거하였다. 당시 구화산은 신라승 金地藏(喬覺, 696∼794)0891) 이후 불교성지로 이름나 있어서 많은 신라인·신라승들이 순례, 留錫한 곳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장교는 金夷魚·朴球·朴充 등 신라인 문사뿐만 아니라 雅覺·頭陀僧을 비롯하여 이름모를 禪僧에게 送詩로 석별의 정을 나누기도 하였다.0892) 이와 같이 장교는 당문사의 누구보다도 신라인 유학생·유학승들과 광범위하게 친교를 맺고 있었다. 이점에 특히 주의해 볼 만하다.

 300년에 가까운 장기간에 걸친 唐文化의 수용과 축적으로 신라사회의 지적 분위기는 唐風으로 물들어 갔고, 신라 말기의 혼란을 극복하면서 고려사회의 성립과 그 국가운영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지식인 가운데 중국유학생, 특히 빈공과 출신자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다시금 주목되는 일이다.

0875)≪三國史記≫권 5 新羅本紀 5, 선덕왕 9년·≪新唐書≫권 44, 志 34, 選擧 上·≪新唐書≫권 198 列傳 123, 儒學 上 및≪唐會要≫권 35, 學校.
0876)申瀅植, 앞의 책, 354∼359쪽.

金世潤,<新羅下代渡唐留學生에 대하여>(≪韓國史硏究≫37, 1982), 150∼152쪽.
0877)≪唐會要≫권 36, 附學讀書.
0878)≪東文選≫권 84, 送奉使李中父還朝序.

安鼎福,≪東史綱目≫권 5上, 眞聖女王 3년.
0879)嚴耕望,<新羅留學生與僧徒>(≪歷史語言硏究所集刊≫外編 제4종, 中央硏究院, 1961), 653쪽.
0880)≪三國史記≫권 11, 新羅本紀 11, 문성왕 2년·≪舊唐書≫권 199 上, 列傳 149 上, 東夷 新羅·≪新唐書≫권 220, 列傳 145, 東夷 新羅·≪唐會要≫권 95, 新羅.
0881)嚴耕望, 앞의 글, 653쪽.
0882)安鼎福,≪東史綱目≫권 5 上, 진성여왕 3년.
0883)金世潤, 앞의 글, 160쪽.
0884)申瀅植, 앞의 책, 448쪽.
0885)≪新唐書≫권 60, 志 50, 藝文 4.
0886)李基東,<新羅下代 賓貢及第者의 出現과 羅唐文人의 交驩>(≪全海宗博士華甲紀念 史學論叢≫, 一潮閣, 1979), 640쪽. 嚴耕望은 離家時年 12, 登科時年 19, 歸本國時年 30으로 보고 있다(앞의 글, 649쪽).
0887)≪全唐詩≫9함 7책. 최치원도 자주 그에게 시를 지어 바치기도 했다(崔致遠,≪桂苑筆耕集≫권 17).
0888)今西龍,<新羅崔致遠傳>(≪新羅史硏究≫, 近澤書店, 1933), 375쪽.
0889)顧氏編遺十卷, 苕川總載十卷, 纂新文苑十卷, 啓事一卷 賦二卷, 集遺具錄十卷(≪新唐書≫권 60, 志 50, 藝文 4).
0890)≪舊唐書≫권 178, 列傳 128, 鄭畋.
0891)≪宋高僧傳≫권 20, 唐池州九華山化城寺 地藏傳
0892)≪全唐詩≫10함 1책.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