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Ⅴ. 문화2. 불교철학의 확립1) 교학의 발달(3) 화엄교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가. 궁중수공업
              • 나. 관영수공업
              • 다. 궁중ㆍ관영수공업관사의 변화
            • (2) 민간수공업
              • 가. 농민수공업
              • 나. 귀족의 수공업 경영
              • 다. 사원의 수공업 경영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가. 남자
              • 나. 여자
            • (2) 의복
              • 가. 포
              • 나. 바지
              • 다. 저고리(단의와 내의)
              • 라. 치마, 허리끈과 옷끈
              • 마. 반비
              • 바. 배당
              • 사. 표
              • 아. 요대
              • 자. 버선·버선목
              • 차. 화·화대·이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가. 원측의 유식학
              • 나. 서명학파
              • 다. 법상종 승려들의 유식학
            • (2) 원효 교학
              • 가. 생애와 활동
              • 나. 기신론 철학
              • 다. 교판
            • (3) 화엄교학
              • 가. 의상의 생애와 활동
              • 나. 의상의 화엄사상
              • 다. 화엄종과 의상 화엄의 계승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가. 신라 통일 이전의 한문학
              • 나. 8세기 승려들의 시문
              • 다. 9세기 신라 한문학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가. 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나.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 다. 8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라. 9세기의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가. 시대개관
              • 나. 범종
              • 다. 사리장엄구
              • 라. 장신구 및 생활용구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가. 토기
              • 나.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가. 탑파
              • 나. 부도
              • 다. 석등
              • 라. 당간과 당간지주
              • 마. 석련지와 석련대
              • 바. 석비와 탑비
              • 사. 석교
            • (5) 성곽
              • 가. 왕경의 성곽과 구성문제
              • 나. 소경과 주성
              • 다. 축성기법의 예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가. 삼현과 삼죽의 기원
              • 나. 거문고의 수용과 옥보고
              • 다. 삼현과 삼죽의 악조 및 악곡
              • 라. 옥보고의 창작곡과 악가무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가. 당악과 당악기의 등장
              • 나. 불교음악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나. 의상의 화엄사상

 의상의 화엄사상은 화엄학의 핵심을 간추려 모아 상징적인 圖印으로 형상화시켜 그에 대한 자신의 해설을 붙인≪一乘法界圖≫에 잘 드러나 있다.1083) 이 체계적인 저술을 통해 의상은 새로운 불교철학 형성에 노력하던 당시 신라 불교계에 元曉가 이룩한 사상체계와 더불어 통일 이전보다 한 단계 진전된 사상 체계를 제시하는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일승법계도≫는 화엄종의 宗旨인 一乘法界緣起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의상은 법계연기의 핵심 개념에 통하면서 또 한편으로 실제적 수행의 면모를 지니는 210자의 法界圖詩를 엮었다. 나아가 그는 법계도시를 더욱 상징적으로 형상화시킨 法界圖印을 만들어 모든 세계의 법을 다 포용해 들이고자 했다. 즉 의상은 화엄철학의 정수인 法界緣起를 이 하나의≪法界圖≫로 집약시켜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1084)

 법계도시는 첫 구절을 “원융하여 두 모습이 없는 法性은(法性圓融無二相) 이름도 없고 모양도 없어 깨달아 알 수 있는 경지에 다름 아니다(無名無相絶一切 證智所知非餘境)”라고 시작한다. 그리고 이어서 “심오하고 미묘한 眞性은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연을 따라 이루어진다(眞性甚深極微妙 不守自性隨緣成)”라고 하였다. 이 구절의 의미를 의상은 緣起의 本體라고 풀이하였다.

 다음에 “하나 안에 일체가 있고 일체 안에 하나가 있으며(一中一切多中一) 하나가 곧 일체요 일체가 곧 하나인(一卽一切多卽一)” 이치 곧 一多가 相入相卽한다고 한 것은 緣起陀羅尼 理法의 작용을 엮은 것이다. 또 “한 티끌 속에 十方世界를 모두 머금고 있고(一微塵中含十方) 일체의 모든 티끌이 또한 그렇다(一切塵中亦如是)”는 이치는 현상면에서, “한없는 긴 시간이 한 생각이요(無量遠劫卽一念) 한 생각이 곧 무량한 시간이며(一念卽是無量劫) 九世 十世의 과거 현재 미래가 相卽한다(九世十世互相卽 仍不雜亂隔別成)”는 것은 세상의 시간에 따라, 그리고 “처음 發心할 때 곧바로 깨달음을 얻어(初發心時便正覺) 생사와 열반이 항상 함께 한다(生死涅槃常共和)”는 것은 계위에 따라, 각각 연기의 이치를 밝힌 것이다.

 그래서 전체적으로는 “理와 事를 따로 나누어 볼 수 없어(理事冥然無分別) 스스로 깨달은 十佛과 화엄의 行願의 주체인 普賢보살의 경지인(十佛普賢大人境)” 것이다. 이러한 연기의 이치는 조금의 걸림도 없는 진실의 세계인 무장애세계를 그 무대로 한다.

 법계도시의 마지막 귀절은 “마침내 실제의 중도 자리에 앉으니 옛부터 부동하여 부처라 하네(窮坐實際中道床 舊來不動名爲佛)”이다. 첫 귀절의 ‘無二相’은 마지막 귀절의 ‘中道’와, ‘諸法不動’은 ‘舊來不動’과 정확한 대응을 보임으로써, 처음과 끝이 긴밀하게 상응하는 치밀한 구성을 잘 나타낸다.

法界圖詩

 一中多 多中一 그리고 一卽多 多卽一의 相入相卽의 연기다라니법은 화엄 법계연기설의 핵심으로서, 의상은 數十錢 등의 비유를 들어 상세하게 풀이하였다. 微塵과 十方世界의 걸림없는 융통을 말하는 ‘事’는 법계연기의 공간적 전개이다. 一念과 無量劫의 융통 그리고 중첩되는 과거·현재·미래의 九世와 총체적인 十世로 엮은 ‘世’는 법계연기의 시간적 전개이다. 初發心한 보살과 正覺을 이룬 부처 그리고 生死와 涅槃의 융통을 六相說로 풀이한 ‘位’는 수행의 因果를 보인 것이다.1085) 그리고 이들을 전체적으로 보면, 理와 事가 무분별하여 모든 自性에 고착됨이 없이 연에 따라 이루어지는 연기의 도리가 된다.

 의상의 스승 지엄은 법계연기의 相入相卽의 이치를 十門玄이라는 열가지 항목으로 설명하였다. 그런데 의상은 이 내용을 집약시켜 一多의 相入相卽, 微塵과 十方, 一念과 無量劫, 初發心과 正覺 및 生死와 涅槃으로 구성된 陀羅尼 理用·事·世時·位의 4가지 범주로 정리하여≪법계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원효가 普法의 특징으로 세운 大小·促奢·動靜·一多의 四門 체계와 유사한 구성이기도 하였다.1086) 이는 지엄 교학보다 요점이 집약되면서 일승의 의의를 충분히 드러내는 성과가 신라 교학에서 전개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일과 다의 상입상즉을 밝힌 구절 즉 “一中一切多中一 一卽一切多卽一”이다. 의상 자신의 표현도 이 범주를 “다라니 즉 연기법의 이법의 작용”이라고 하고 있다. 이 中과 卽의 이론을 가지고 다양한 현상세계와 동일한 이치의 세계를 연결하려는 시도는, 하나에서 열까지의 개체들인 동전에 비유하는 數十錢喩로 구체적으로 설명될 만큼 法界緣起의 핵심을 이루는 연기다라니법의 대의이다. 그리고 나머지 범주는 이의 시간 공간적 전개이다.

 의상은 지엄이 화엄경 구절에 근거하여 토대를 세운 一과 多의 相入相卽의 논리를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법계연기의 핵심으로 집약시켰다. 이 一多의 相入相卽을 핵심으로 하는 의상의 연기설은 당시 불교교학의 진전 과정에서 볼 때 상당한 의의를 갖는 것이었다. 이는 의상이≪법계도≫에서 상입상즉의 대의를 설명하기 위해 數十錢喩를 적극 채용하여 구체화시킨 것이 화엄사상의 중요한 교학체계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의상은 六相說의 의리가 연기의 무분별한 이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그로 인해 一卽一切의 논리에 이른다고 함으로써 이를 법계연기의 중심 교설로 정착시켰다. 그는 六相이 不卽不離하고 不一不異하여 항상 中道임을 이끌어 一乘과 三乘이 궁극적으로 主伴相成하여 利益衆生하며 오직 中道에 있음을 강조하였다.1087)육상은 삼승 방편으로서 차별의 제법상을 일으키나 원교일승에서는 그 차별이 없어져 하나로 되므로 이 육상원융사상은 의상 교학의 융섭적인 성격을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1088)

 의상은 여기에다 利他行과 아울러 修行方便과 得益의 修行門을 추가하여 강한 실천적 성격을 드러내 보였다. 이는 법계도시를 圖印으로 형상화시켜 실제적 수행에 쓰이도록 한 것과 마찬가지로 의상이 지녔던 화엄 법계연기설의 이해 태도를 잘 드러내준다.

 의상은 一切緣生法의 本義 곧 연기의 핵심을 中道義로 파악하였다. 緣으로 이루어진 일체의 제법은 연을 따라 이루어졌으므로 어느 하나도 일정한 自性이 없다. 自性이 없으므로 자재롭지 못하고 生하되 不生하고 不住하니 이것이 中道이다. 因緣所生法의 도리인 空=中道義는 無分別을 의미한다.1089) 緣成의 一切 제법은 어느 것도 일정한 自性이 없어서 不卽不離하고 不一不異한 것인데, 그 도리가 양 극단을 융섭하는 無分別의 이치인 중도인 것이다.1090) 의상의 화엄사상은 후학들에 의해 橫盡法界觀으로 특정지워져 법장의 堅盡法界觀과 비교되었다. 연기된 제법상의 차별을 인정하고 그 하나하나의 의미를 부각시키는 법장의 수진법계관에 대해 의상은 근본적인 하나를 중시하고 그 하나의 이해로써 전체를 파악하려는 횡진법계관을 가졌는데 이는 곧 性起論적인 융섭사상이었다는 것이다.1091) 의상은 연기된 제법의 生과 不生, 無說과 言說을 융합하여 空觀을 융회적인 것으로 발전시킴으로써 中觀을 성립시킨 것이었다.1092)

 의상이 제시한 화엄 연기사상은 원효의 방대한 불교사상의 체계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었고, 이후 전개되는 신라교학의 왕성한 연구 분위기의 문호를 여는 뚜렷한 성과였다.

 한편으로 의상의 화엄사상은 唯識說과 中道空觀說을 나란히 등장시키는데 그침으로써 그와 꾸준히 교유하던 元曉와는 달리 당대 불교사상의 제일 선결 과제였던 중관과 유식의 대립을 극복하고자한 사유구조를 체계적으로 밝히지 못한 한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의상이 가장 관심있게 추진한 것은 그들 대립되는 과제에 대한 외면이 아니라 그들을 포용하는 학설을 상징화시켜 華嚴一乘의 원융한 논리를 천명하고는, 보다 중점적으로 실천적인 敎化에 매진하는 것이었다.

 이는 의상이 상입상즉의 화엄 연기사상을 中道의 뜻으로 파악한 것과 관련이 있다. 중도의 본래 입장은 모든 것을 독립자존적인 고정적 존재로 한정짓지 않고 상대적으로 성립해 있다고 보는 것이고, 따라서 세간의 常과 無常 그리고 有邊과 無邊의 절대부정적인 不可得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도는 부정을 위한 부정이 아니라 참된 知見을 지향한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실천성이 짙게 내포되어 있다. 교화 중심의 의상의 교단 활동은 이러한 배경에서만이 그 의미를 바르게 평가할 수 있다.1093)

1083)義相,≪一乘法界圖≫(≪韓國佛敎全書≫2, 8쪽中).
1084)李箕永,<華嚴一乘法界圖의 根本精神>(≪新羅伽倻文化≫4, 嶺南大, 1972 ;≪新羅佛敎硏究≫, 韓國佛敎硏究院, 1982, 465∼506쪽).
1085)義相,≪一乘法界圖≫(≪韓國佛敎全書≫2, 3쪽中).
1086)元曉,<晉譯華嚴經疏序>(≪韓國佛敎全書≫1, 995쪽上).
1087)義相,≪一乘法界圖≫(≪韓國佛敎全書≫2, 1쪽下).
1088)김두진, 앞의 책, 142∼151쪽.
1089)義相,≪法界圖≫(≪韓國佛敎全書≫2, 6쪽中).
1090)鄭炳三, 앞의 글(1993b), 52∼57쪽.
1091)金杜珍,<義湘의 橫盡法界觀>(≪擇窩許善道先生停年紀念 韓國史學論叢≫, 1992;앞의 책, 191∼202쪽).
1092)金杜珍,<義湘의 中道實際思想>(≪歷史學報≫139, 1993;앞의 책, 164∼170쪽).

이러한 융합사상은 성기론적 입장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1093)鄭炳三, 앞의 책, 148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