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Ⅴ. 문화2. 불교철학의 확립2) 불교신앙의 일반화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가. 궁중수공업
              • 나. 관영수공업
              • 다. 궁중ㆍ관영수공업관사의 변화
            • (2) 민간수공업
              • 가. 농민수공업
              • 나. 귀족의 수공업 경영
              • 다. 사원의 수공업 경영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가. 남자
              • 나. 여자
            • (2) 의복
              • 가. 포
              • 나. 바지
              • 다. 저고리(단의와 내의)
              • 라. 치마, 허리끈과 옷끈
              • 마. 반비
              • 바. 배당
              • 사. 표
              • 아. 요대
              • 자. 버선·버선목
              • 차. 화·화대·이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가. 원측의 유식학
              • 나. 서명학파
              • 다. 법상종 승려들의 유식학
            • (2) 원효 교학
              • 가. 생애와 활동
              • 나. 기신론 철학
              • 다. 교판
            • (3) 화엄교학
              • 가. 의상의 생애와 활동
              • 나. 의상의 화엄사상
              • 다. 화엄종과 의상 화엄의 계승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가. 신라 통일 이전의 한문학
              • 나. 8세기 승려들의 시문
              • 다. 9세기 신라 한문학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가. 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나.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 다. 8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라. 9세기의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가. 시대개관
              • 나. 범종
              • 다. 사리장엄구
              • 라. 장신구 및 생활용구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가. 토기
              • 나.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가. 탑파
              • 나. 부도
              • 다. 석등
              • 라. 당간과 당간지주
              • 마. 석련지와 석련대
              • 바. 석비와 탑비
              • 사. 석교
            • (5) 성곽
              • 가. 왕경의 성곽과 구성문제
              • 나. 소경과 주성
              • 다. 축성기법의 예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가. 삼현과 삼죽의 기원
              • 나. 거문고의 수용과 옥보고
              • 다. 삼현과 삼죽의 악조 및 악곡
              • 라. 옥보고의 창작곡과 악가무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가. 당악과 당악기의 등장
              • 나. 불교음악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관음신앙

 관음신앙은 미타신앙과 함께 중대에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신앙이다. 미타신앙이 내세적인데 비해 관음신앙은 현세적인 신앙이다.≪法華經≫普門品에는 중생들이 물과 불 또는 악귀나 원적 등의 일곱 가지 어려움에 처했거나 탐욕·성냄·어리석음의 三毒에 헤매일 때, 그리고 자식을 갖고자 하는 등의 온갖 현실적인 바람을 가졌을 때 일심으로 관세음보살을 부르면 관세음보살이 즉시 그 소리를 관찰하고 바라는 바를 모두 들어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부딪히는 갖가지 어려움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관음을 부르는 신앙은 절실한 것이었다.

 그런데 신라사회에 이 관음신앙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의상은 洛山寺에 관음의 眞身이 직접 머무르며 설법을 하고 있다는 眞身常住 신앙을 전개하였다. 이는 남방 해안에 있는 보타락가산에 관음이 상주설법한다는≪화엄경≫의 經說에 따라 신라 해안에 그 실재처를 마련한 것으로, 앞서 자장이 오대산을 문수도량으로 설정했던 것과 같은 신라불국토설의 연장에서 전개한 신앙이었다. 이를 통해 신앙인들은 신라땅에 항상 머무르고 있다는 관음을 보다 현실감 있게 부르고 그 감응을 기대할 수 있었을 것이다.1113)

 金仁問은 무열왕의 둘째 아들로 통일전쟁기에 주로 당에 머물며 외교적 역할을 수행하던 인물이었는데, 그가 당에서 돌아오기 어렵게 되자 사람들은 무사히 신라에 돌아오게 해 달라고 仁容寺에 관음도량을 베풀어 기원하였다. 그러나 그는 돌아오지 못하고 죽고 말았다. 그래서 그가 죽은 후에는 도량을 미타도량으로 바꾸어 극락왕생을 빌었다.

 憬興은 三郞寺에 있을 때 병이 들어 낫지를 않았다. 그러다가 南巷寺 十一面觀音의 應現으로 씻은 듯이 병이 나을 수 있었다. 國仙 夫禮郞은 북쪽 해안에서 납치되어 돌아올 길이 없었다. 양친이 栢栗寺 관음이 영험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가서 기도하였더니 잃어버렸던 두 가지 보물과 낭도와 함께 살아서 돌아왔다. 나라에서는 이 소식을 듣고 백률사에 田地 萬頃을 내리고 夫禮郞을 大角干으로 삼았다. 長春은 경덕왕 때 바다에서 장사를 하며 살았는데 어느날 바다에 나간지 오랜 시간이 지나도록 소식이 없었다. 그래서 모친인 寶開가 敏藏寺 관음에게 빌어서 중국에서 살아 돌아올 수 있었다.

 경덕왕대에 눈먼 希明은 분황사 千手관음에게 눈을 뜨게 해달라고 기도하여 光明을 얻었다. 洛山寺의 知莊이던 調信은 지방의 유력자인 金昕의 딸과 인연을 맺게 해 달라고 낙산사 관음에게 빌었으나 낭자는 다른 사람과 혼인을 하여 뜻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신은 이를 원망하여 잠이 들었는데 꿈 속에서 바라던 바 대로 인연을 맺어 살다가 나이 들어 헤어지는 것으로 끝맺었다. 꿈을 깨고 나서 덧없음을 깨닫고 세속의 모든 일을 버리고 집을 털어 淨土寺를 창건하여 수도하였다. 崔殷諴은 나이 오래도록 후사가 없어 衆生寺 관음에게 빈 끝에 아들 崔丞魯를 낳았다. 그런데 아이를 얻던 그때 후백제의 견훤이 서울에 침공하여 갓난아이를 다시 관음상에 맡겨놓고 피란갔다 오니 그때까지도 잘 살아 있었다.

 이와 같은 관음의 신앙사례들은 모두 현실세계에서 겪게 되는 바람에 대한 관음의 대응을 말하고 있다.1114) 이런 현실적인 성격 때문에 신라사회에서 관음신앙은 신분에 관계 없이 고루 수용될 수 있었다.1115)

 이러한 현실 구제적 관음신앙에는 變化觀音도 등장한다. 경흥이 병이 들어 낫지를 않았는데 남항사의 십일면관음이 응현하여 씻은 듯이 나을 수 있었다. 希明은 눈이 멀어 芬皇寺의 千手관음에게 빌어 눈을 뜰 수 있었다.

 이와는 달리 미타와 연관된 관음신앙 사례들이 있다. 문무왕 때 서방 왕생을 기약하며 수도하던 廣德과 嚴莊에게 관음이 芬皇寺의 寺婢인 廣德의 妻로 응현하여 득도를 도와주었다. 白月山에서 수도하던 努肹夫得과 怛怛朴朴 두 사람은 産氣 임박한 낭자로 화현한 관음의 시험을 거쳐 그 도움으로 미륵과 미타로 成道할 수 있었다. 아간 貴珍의 家婢인 郁面은 주인의 수행도량에 함께 참여하여 주인보다 먼저 서방극락에 왕생할 수 있었다.

 이들 신앙사례는 미타의 脇侍로서 서방극락에의 왕생을 보좌하는 관음의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觀無量壽經≫에서 서술하듯이 왕생인의 임종시에 아미타불을 따라 來迎하는 관음에의 신앙을 보는 것이다.

 현실구제나 미타협시와도 다른 것이 眞身常住 신앙이다. 의상은 낙산사에 관음 진신이 산다는 말을 듣고 치열한 구도 정진 끝에 관음의 진신을 참배하였다. 그리고는 관음의 지시에 따라 낙산사를 지었다. 여기에는 불국토신앙의 정착이 중심이 되어 있지만 동시에 구도적인 관음신앙의 모습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이와 약간 유사한 것으로서 月精寺의 信孝가 老婦로 화현한 관음의 인도로 수행에 정진하는 설화가 있다.

신앙사례 관계인물 신앙내용 연 대 기 타
仁容寺 觀音道場 金仁問 獄中 귀환 기원 문무왕(690경) 死後 彌陀道場
洛山寺 眞身觀音 義相 眞身親見 문무왕 元曉 不見(女人應現)
十九應身 廣德 嚴莊 극락왕생 보조 문무왕 廣德妻(芬皇寺婢) 응현
南巷寺 十一面觀音 憬興 治病 신문왕 尼僧 응현
栢栗寺 大悲 國仙夫禮郞 被賊 귀환 효소왕 2년(693) 승려 응현
白月山 南寺 夫得 朴朴 得道(미륵 미타) 성덕왕 8년(709) 낭자 응현
五臺社 寶川태자 眞身예배 輔國 성덕왕 오대 중 동대
敏藏寺 寶開 長春 海難 귀환 경덕왕 4년(745) 승려 응현
彌陀寺 念佛 郁面 貴珍 得道(미타) 경덕왕14년(755) 觀音之徒 寺婢 轉生
芬皇寺 千手大悲 希明 得明 경덕왕  
洛山寺 夢中 調信 金昕娘 婚姻기원 불응 9세기 응현 정토사 창건
月精寺 五類聖衆 信孝 修道處 지시 9세기 老婦 응현 참회 수도
衆生寺 大悲 崔殷諴 崔丞魯 得男 亂中보호 경애왕 3년(927)  

<표 3>신라 관음신앙 사례

 이상에서 본 것처럼 신라 관음신앙은 현실구제의 성격을 띠는 獨尊的 신앙이 주된 양상을 이루며 현세적인 성격을 강하게 내보인다. 한편으로는 미타정토 왕생과 연결된 내세적 성격도 보이나 이 경우도 현세적 성격이 짙게 배어난다. 시기적으로는 성덕왕대까지 상층 신분의 신앙 사례가 다수 확인되나 8세기 이후 하층신분의 신앙 사례가 더 많이 등장한다. 관음신앙은 국가의 안녕과 개인적 현세이익을 보장받고자 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내세적 경향도 공존하였다. 특히 관음은 여러 내용의 女人으로 응현하는데, 이는 친근성의 표현이자 大地神인 女神과의 연계를 생각하게 하는 의미있는 문제이다.1116)

1113)鄭炳三, 앞의 글(1982), 32∼53쪽.
1114)金煐泰,<新羅의 觀音思想>(≪佛敎學報≫13, 1976; 앞의 책, 236∼237쪽).
1115)洪承基,<觀音信仰과 新羅社會>(≪湖南文化硏究≫8, 全南大, 1978)에서는 시대와 신분에 따라 관음신앙을 구분하여, 통일 이후에 신봉 계층이 진골귀족으로부터 양인 이하의 신분층으로 바뀌고, 신앙 성격도 통일 이후에는 초현세적 기능이 현실적인 고뇌 해결 기능보다 약간 크게 된다고 보았다.
1116)金哲埈,<東明王篇에 보이는 神母의 性格>(≪柳洪烈博士華甲記念論叢≫, 1971;≪韓國古代社會硏究≫, 서울大 出版部, 1990, 61∼62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