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Ⅴ. 문화2. 불교철학의 확립2) 불교신앙의 일반화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가. 궁중수공업
              • 나. 관영수공업
              • 다. 궁중ㆍ관영수공업관사의 변화
            • (2) 민간수공업
              • 가. 농민수공업
              • 나. 귀족의 수공업 경영
              • 다. 사원의 수공업 경영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가. 남자
              • 나. 여자
            • (2) 의복
              • 가. 포
              • 나. 바지
              • 다. 저고리(단의와 내의)
              • 라. 치마, 허리끈과 옷끈
              • 마. 반비
              • 바. 배당
              • 사. 표
              • 아. 요대
              • 자. 버선·버선목
              • 차. 화·화대·이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가. 원측의 유식학
              • 나. 서명학파
              • 다. 법상종 승려들의 유식학
            • (2) 원효 교학
              • 가. 생애와 활동
              • 나. 기신론 철학
              • 다. 교판
            • (3) 화엄교학
              • 가. 의상의 생애와 활동
              • 나. 의상의 화엄사상
              • 다. 화엄종과 의상 화엄의 계승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가. 신라 통일 이전의 한문학
              • 나. 8세기 승려들의 시문
              • 다. 9세기 신라 한문학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가. 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나.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 다. 8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라. 9세기의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가. 시대개관
              • 나. 범종
              • 다. 사리장엄구
              • 라. 장신구 및 생활용구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가. 토기
              • 나.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가. 탑파
              • 나. 부도
              • 다. 석등
              • 라. 당간과 당간지주
              • 마. 석련지와 석련대
              • 바. 석비와 탑비
              • 사. 석교
            • (5) 성곽
              • 가. 왕경의 성곽과 구성문제
              • 나. 소경과 주성
              • 다. 축성기법의 예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가. 삼현과 삼죽의 기원
              • 나. 거문고의 수용과 옥보고
              • 다. 삼현과 삼죽의 악조 및 악곡
              • 라. 옥보고의 창작곡과 악가무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가. 당악과 당악기의 등장
              • 나. 불교음악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3) 미륵신앙

 미륵신앙에는 먼 훗날 이 땅이 거의 낙토가 되어 미륵불이 세상에 내려와 중생들을 설법하여 구제할 때 참가하기를 희구하는 下生신앙과 현재 도솔천에 머무르고 있는 미륵을 믿어 그의 정토인 도솔천에 태어나기를 바라는 上生신앙의 두 가지가 있다.

 그런데 유식사상을 확립한 인도의 無着의 서원에 따라 도솔천에 머무르는 미륵이≪유가사지론≫등 유식 5부 대론을 설하였다고 하였기 때문에 인도와 중국의 유식학파나 법상종에서는 미륵신앙을 중심 신앙으로 삼아왔다. 이는 신라 법상종에서도 마찬가지여서 미륵신앙은 법상종에서 두드러진 신앙 사례를 보였다. 중고기의 미륵신앙이 미래불로서의 미륵에 대한 신앙이었던 데 비해 중대의 미륵신앙은 도솔정토에 상생하고자 하는 상생신앙이 주 내용을 이루었다.1117)

 상생신앙은 미륵의 相好를 만들거나 미륵의 名號를 부르는 염불 그리고 오계와 팔계 구족계 十善法을 갖추어 지키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비록 번뇌는 완전히 끊지 못해 해탈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해도 지극한 마음을 가지면 신통을 얻고 미륵의 형상을 염불 칭명하면 도솔천에 상생할 수 있으며, 계를 범하거나 악행을 저질렀더라도 미륵의 명호를 듣고 참회하면 청정해질 수 있다고 한다. 미타신앙에 비해 자력적인 미륵상생신앙을 갖기 위해서는 승려라든가 귀족 이상의 수행능력이 있는 경우에 가능했을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미륵상생신앙을 믿고 그렇지 못한 기층민들은 미타신앙을 신봉하는 추세를 보였을 것이다. 그로 인해 법상종 사원에서는 미륵과 미타 두 가지 신앙을 함께 수용하여 미륵은 금당에 주존으로 봉안하고 강당에 미타를 봉안하는 양립적인 신앙구조를 보이게 된다.

 法相宗에서는 무착이 도솔천에 상주하는 미륵보살의 가르침에 의해 도솔천에 상천하여 친견하고 대승교의를 받아≪유가사지론≫등을 역출하였다고 하여,≪유가사지론≫을 소의로 하는 유식논사들은 도솔천에 상생하여 미륵보살을 친견하겠다는 미륵상생 신앙을 추구하게 된다.

 미륵삼부경으로 불리는≪上生經≫·≪成佛經≫·≪下生經≫의 경전에 대해 원측·원효·경흥·의적·태현 등이 주석을 베풀어, 중대 미륵신앙은 이들 미륵정토교학에 입각한 실천 수행이 주 내용을 이루었다. 미륵정토에 대한 견해는 신문왕대에 國老로 활동한 경흥에게서 볼 수 있는데, 경흥은 원효의 미타정토 우월론에 대해 미륵정토도 그에 못지 않음을 강조하였다.1118)

 구체적으로 미륵이 하생하여 龍華三會 설법으로 구제하는 대상을 원효는 소승 阿羅漢이라 하였는데 경흥은 대소승 제자로 확대 해석하였다. 또 원효가≪상생경≫이 대승이고≪하생경≫과≪성불경≫은 소승으로 본 데 비해 경흥은 미륵삼부경이 모두 대소승에 해당한다고 보아 미륵신앙의 대상을 넓혀 놓았다. 대신에 미타신앙에 대해서는 원효가 모든 중생의 성불을 인정하여 범부를 위한 견해를 분명히 한 데 비해 경흥은 定性이승의 성불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리고 원효가 미타의 극락이 미륵의 도솔천보다 왕생하기 쉽고 더 뛰어나다고 하였는데 경흥은 미륵신앙도 그에 못지 않다고 주장하였다.1119)

 신라의 미륵신앙 사례는 여러 가지 양상을 보였다. 太賢은 남산 茸長寺에 머무르며 항상 석조미륵장육상을 돌며 예배하였다. 경덕왕을 위해 안민가를 지어 왕과 신·민의 신분질서를 강조한 忠談은 남산 三花嶺의 미륵세존에게 매년 重三·重九日에 차를 공양하였다. 이들은 도솔정토의 미륵에 대한 신앙을 보여준 것이다.

 金志誠은 돌아간 부모를 위하여 甘山寺에 미륵보살상(719)과 아미타불상(720)을 조성하였다. 김지성이 생전에 조성한 감산사 미륵상은 돌아간 부모 외에 국왕과 개원 이찬 및 형제·자매·처·승려 등 생존자들이 공양자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사후에 조성한 아미타불은 국왕과 개원 이찬 그리고 후처 이외에는 망부모·망제·망매·전처 등 사망자들이 중심을 이루어 대조를 보인다. 이는 미륵상생신앙이 미타신앙에 비해 현세적인 것으로 수용되었던 것을 말해준다.

 白月山에는 努肹夫得과 怛怛朴朴 두 수도자가 있었는데 성덕왕 8년(709)에 現身 成道하여 경덕왕 16년(757)에 남사를 창건하고 23년에 미륵과 미타상을 조성하였다. 月明은 죽은 누이를 위해 향가를 지어 미타정토에 왕생할 것을 기원하였는데, 경덕왕 19년에 해가 둘로 나타나자 兜率歌를 지어 도솔천의 미륵보살에게 기원하여 이변을 해결하였다.1120)

 김지성과 백월산의 두 수도자 및 월명의 신앙은 모두 미륵과 미타가 연관된 신앙 내용을 보여주며 시기적으로 경덕왕 일대에 집중된 것이 특이하다. 이로 보면 중대 법상종계 미륵상생신앙은 미타신앙과 깊이 연관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1121)

 백월산 남사의 관음이 부득이 현신성도하고 미륵정토로 왕생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맡는 것은 미륵상생신앙과 관음신앙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眞表가≪占察經≫에 의거하여 말법중생이 여러 장애에 부딛혀 決定信을 얻지 못하고 수학에 전념하지 못할 때 宿世의 선악과 현재의 苦樂 吉凶을 점찰하여 마음을 깨우치고 의심나는 것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고 선도하였던 占察信仰은 미륵상생신앙과 지장신앙이 연결된 것을 보여준다. 말법시대에 모든 중생을 구제하는 서원을 세운 지장보살은 無佛의 시대에 석가와 미륵을 이어주는 의미를 지니므로 쉽게 법상종에 수용될 수 있었을 것이다. 진표는 이 지장보살의 교화를 받는 방편으로 점찰계행에 의한 참회법을 내세우고 이것이 도솔천에 왕생하는 지름길이라고 여겨 점찰신앙을 선도하였다.

 경덕왕대에 집중적으로 보이는 미륵상생신앙은 강력한 중대 왕권의 몰락과 함께 쇠퇴하고 말았다. 다만 진표가 주도하던 미륵상생신앙만이 점찰법을 근간으로 지방 사회에서 명맥을 계승해가 고려로 연결되었다.

1117)金南允,<新羅 彌勒信仰의 전개와 성격>(≪역사연구≫2, 역사학연구소, 1993), 21∼25쪽.
1118)安啓賢,<新羅僧 憬興의 彌勒淨土往生思想>(≪震檀學報≫25·26·27합집, 1964; 앞의 책, 1987).
1119)安啓賢,<元曉의 彌陀淨土往生思想>·<元曉의 彌勒淨土往生思想>·<憬興의 彌陀淨土往生思想>·<憬興의 彌勒淨土往生思想>(위의 책).
1120)金煐泰,<新羅 白月山 二聖 說話의 硏究>(≪趙明基博士華甲記念 佛敎史學論叢≫, 1965;앞의 책, 1987, 530∼531쪽).
1121)金惠婉,<新羅中代의 彌勒信仰>(≪溪村閔丙河敎授停年紀念 史學論叢≫, 1988), 37∼38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