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종이가 언제부터 이 땅에서 만들어지고, 또 사용되기 시작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물론 통일신라 훨씬 이전에 이미 그런 단계에 가있었음은 물론이다. 종이는 중국에서 4세기에 우리 나라에 도입되었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와 있기도 하다.1174) 특히 통일신라 당시의 종이에 대한 가장 중요한 문제 하나가 세계 최초의 목판인쇄물로 밝혀진 경주 불국사 석가탑 출토의<陀羅尼經> 종이가 과연 어떤 것이냐 하는 문제다. 일본 전문가들에 의해 이는 신라 종이라고 잠정적 결론이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중국 과학사 학자들은 그 인쇄물이 당나라에서 제작되어 신라 승려에 의해 신라로 가져가게 되었던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景德王 14년(755)의≪大方廣佛華嚴經≫1175)에는 닥나무 껍질을 벗겨서 맷돌에 갈아 종이를 만든다는 설명이 있어 통일신라 시기 닥나무로 종이 만들던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특히 신라 때의 白石垂紙는 품질이 뛰어났다고 전해지지만, 17세기 중국 기술서로 이름난≪天工開物≫에는 “조선의 백추지가 어떤 원료로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적혀 있다.1176)
예를 들면 聖德王 22년(723)에는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몇 가지 비단 등을 진상했는데, 그 가운데에는 朝霞紬와 魚牙紬란 것이 들어 있다. 특히 景文王 9년(869) 7월 신라는 당나라에 많은 사은품을 보냈는데, 그 가운데에는 大花 魚牙錦 10필, 소화 어아금 10필, 조하금 20필, 40升 白氎布 40필, 30승 紵衫段 40필 등의 옷감이 들어 있다.1177) 분명히 신라가 생산한 비단과 직물들을 가리키고 있으나, 그 상세한 내용을 알기는 어렵다. 하지만 어아금과 조하주등이 신라가 생산하여 중국에도 자랑할 만한 수준의 비단이었음은 금방 짐작할 수가 있다.
또 복식의 여러 가지 제한을 가한 당시 제도를 보면, 통일신라 시기의 복식에는 계급에 따른 제한이 심했는데, 신분에 따라 28승 이하에서 26승·25승·20승·18승·15승·13승·12승 등등의 옷감 종류를 그 정치한 정도에 따라 제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옷 색깔로도 구별하여 紫-緋-靑-黃 등의 색깔에 따라 신분 차이를 나타내고 있기도 하여1178) 당시 염색기술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통일신라 시기의 직물에 대한 정부기관으로는 彩典(뒤의 典彩署)·朝霞房·染宮·紅典·蘇芳典·攢染典·漂典·錦典(織錦房)·麻典(織紡局)·綺典(別錦房) 등을 꼽을 수 있을 것 같다.1179) 글자만으로 그 기능을 판단하기 쉽지 않기는 하지만, 직물을 만드는 기관이 여럿 있었다는 사실만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유리제품은 통일 이전의 옛 무덤으로 추정되는 제98호 고분(皇南大塚)을 비롯하여 瑞鳳塚·天馬塚·金冠塚 등등 경주의 고분에서 거의 다 출토된 바 있다. 이들은 명백하게 서역에서 수입해 들여 온 것으로 보이는데, 경주의 고분에서 출토된 이들 유리제품은 중국과 일본을 능가한다고 할 정도이다. 그리고 이들은 중국을 통하지 않고, 수입된 것으로 보이며, 거의 같은 시기에 들여 온 것 같다.1180) 유리는 삼국시대에 꽤 발달하여 독자적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그 기술이 통일신라시대에는 주로 舍利병을 만드는 데 응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도자기 또한 발달하기 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에 이미 백제 등에서 파견한 전문가가 일본에서 기와를 구워내는 기술을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지만, 통일신라에는 기와 담당관서까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瓦器典 또는 뒤의 陶登局이 그것이다.1181)
1174) | 전상운,<고대 과학기술의 발달>(≪한국사≫3, 국사편찬위원회, 1978), 408∼409쪽. |
---|---|
1175) | 호암미술관 소장 |
1176) | 宋應星,≪天工開物≫(崔炷 역, 전통문화사, 1997), 294쪽. |
1177) | ≪三國史記≫권 8, 新羅本紀 8, 성덕왕 22년·권 11, 新羅本紀 11, 경문왕 9년 7월. |
1178) | ≪三國史記≫권 33, 志 2, 服色. |
1179) | ≪三國史記≫권 38, 志 7, 職官 上·권 39, 志 8, 職官 中. |
1180) | 이인숙,≪한국의 고대 유리≫(창문, 1993), 24쪽. |
1181) | ≪三國史記≫권 39, 志 8, 職官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