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Ⅴ. 문화3. 과학과 기술의 발달2) 땅의 과학과 기술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가. 궁중수공업
              • 나. 관영수공업
              • 다. 궁중ㆍ관영수공업관사의 변화
            • (2) 민간수공업
              • 가. 농민수공업
              • 나. 귀족의 수공업 경영
              • 다. 사원의 수공업 경영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가. 남자
              • 나. 여자
            • (2) 의복
              • 가. 포
              • 나. 바지
              • 다. 저고리(단의와 내의)
              • 라. 치마, 허리끈과 옷끈
              • 마. 반비
              • 바. 배당
              • 사. 표
              • 아. 요대
              • 자. 버선·버선목
              • 차. 화·화대·이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가. 원측의 유식학
              • 나. 서명학파
              • 다. 법상종 승려들의 유식학
            • (2) 원효 교학
              • 가. 생애와 활동
              • 나. 기신론 철학
              • 다. 교판
            • (3) 화엄교학
              • 가. 의상의 생애와 활동
              • 나. 의상의 화엄사상
              • 다. 화엄종과 의상 화엄의 계승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가. 신라 통일 이전의 한문학
              • 나. 8세기 승려들의 시문
              • 다. 9세기 신라 한문학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가. 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나.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 다. 8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라. 9세기의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가. 시대개관
              • 나. 범종
              • 다. 사리장엄구
              • 라. 장신구 및 생활용구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가. 토기
              • 나.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가. 탑파
              • 나. 부도
              • 다. 석등
              • 라. 당간과 당간지주
              • 마. 석련지와 석련대
              • 바. 석비와 탑비
              • 사. 석교
            • (5) 성곽
              • 가. 왕경의 성곽과 구성문제
              • 나. 소경과 주성
              • 다. 축성기법의 예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가. 삼현과 삼죽의 기원
              • 나. 거문고의 수용과 옥보고
              • 다. 삼현과 삼죽의 악조 및 악곡
              • 라. 옥보고의 창작곡과 악가무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가. 당악과 당악기의 등장
              • 나. 불교음악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4) 쇠붙이의 기술

 금속기술의 발달은 지금도 많이 남아 있는 그 방면의 작품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수많은 범종·불상 그리고 그 밖의 여러 가지 공예품에서 이를 알 수 있는 것이다. 그 밖에 장신구·마구·무기 등의 여러 가지 금속제품이 제작 사용되었고, 일부 남아 전해진다.

 통일신라 때의 대표적 금속기술 유물 가운데 지금 가장 유명한 경우로는 범종을 들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범종으로는 지금까지 모두 11개 만이 알려져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강원도 오대산의 上院寺鐘으로 聖德王 24년(725)에 만들었고, 그 다음이 惠恭王 7년(771)에 만든 聖德大王神鐘(일명 에밀레종)이다. 상원사종은 종 꼭대기에 새겨 놓은 명문에 의하면 놋쇠 3,300鋌을 써서 만들었다고 되어있고, 성덕대왕신종은 역시 종에 새겨진 글에 의하면 12만 근의 구리로 만들었다고 되어 있다. 지금 측정한 값으로는 상원사종은 1,290kg의 무게를 가지고 있고, 성덕대왕신종은 약 20톤 가까운 무게로 추정되어 있다. 또 신라의 종 이후 한국종의 주석(Sn) 합금량은 12∼18%로 밝혀져 있다.1182)

 이미 오래 전부터 한국종은 이웃 일본과 중국의 범종과는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음은 주목된 바 있다. 특히 한국종에만 특이하게 꼭대기 부분에 음통·음관, 또는 甬筒이라고도 불리워 온 원통이 달려 있다. 그 과학적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도 확연한 설명이 인정되어 있지 않지만, 종소리를 좋게 해주는 어떤 음향학적 역할을 한 것이라 생각되고 있다. 특히 1,051글자의 긴 설명을 새겨 놓은 성덕대왕신종의 鐘銘에는 이 종을 실제로 만드는 데 관여했던 기술자 4명의 이름이 남아 있다. 그들은 鑄鍾大博士 大奈痲 朴從鎰, 次博士 奈麻 朴賓奈, 나마 朴韓味, 大舍 朴負岳 등이다. 그런데 이들 기술직보다 앞에 새겨진 더 고위직의 일반사무 담당자로 보이는 이름 9명은 모두 김씨이고, 이들 기술직 4명은 모두가 박씨라는 사실이다.

 지금은 남아 있지 않지만, 이 시기의 가장 큰 종은 경덕왕 13년(754)에 제작되었던 皇龍寺鐘이었다. 그것은 무게가 거의 50만 근(497,531근)이나 되고, 높이 1장 3촌, 두께 9치였다고 기록은 전한다.1183) 이 시기에 여러 가지 큰 불상이 제작될 수 있었던 것도 같은 금속기술의 발전 때문에 가능했다. 그보다 2세기나 앞서서 불교진흥을 위해 진력한 진흥왕이 세운 황룡사에는 큰 규모의 불상이 세워졌다. 皇龍寺丈六像은 진흥왕 27년(566) 황룡사가 완공된 지 8년 후인 진흥왕 15년에 완성되었는데, 여기에는 35,007근의 구리와 도금을 위한 금 10,198푼(分)이 들어갔다고≪삼국사기≫와≪삼국유사≫가 아주 똑같은 자료를 기록해 전하고 있다.1184)

 불교는 小獸林王 2년(372) 고구려에 처음 전해진 다음 이웃 백제와 신라에도 전해졌다. 그런데 불상을 제작하여 남아 있는 경우로는 법흥왕 26년(539) 고구려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여래입상이 처음이다. 우리 나라에는 이것보다 더 일찍 만들었던 불상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진흥왕 35년에 완성되었다는 황룡사장륙상은 당시로서는 아주 대단한 거작이었다. 35,007근의 구리와 10,198푼의 황금을 사용한 이 불상보다도 훨씬 큰 불상으로는 芬皇寺藥師銅像을 들 수 있다. 이것은 경덕왕 14년에 만든 것으로, 황룡사장륙상보다 거의 열배나 되는 크기였는데, 무게가 30만 6,700근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그 제작기술자가 本彼部의 强古乃末이라고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1185)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통일신라 시기에는 금속기술이 발달하여 이런 대규모의 범종과 불상을 제작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특히 경덕왕 13년에는 50만 근 짜리 황룡사종을 만들고, 바로 다음해인 경덕왕 14년에는 30만 근 짜리 분황사약사동상을 제조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일본에서는 天智天皇 9년(670)에 물레방아를 이용한 풀무로 온도를 높여 야철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186) 8세기 통일신라 시기에는 冶鐵이 큰 규모로 실시되고 있었음을 이런 대형 종과 불상의 제작에서 알 수가 있다. 이런 금속기술을 이용하는 기관으로는 鐵鍮典(뒤의 築冶房)이 있었다.1187)

1182)廉永夏≪韓國의 鐘≫(서울大 出版部, 1991), 39·43쪽.
1183)≪三國遺事≫권 3, 塔像 4, 皇龍寺鐘.
1184)≪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진흥왕 14년·27년·35년·36년.

≪三國遺事≫권 3, 塔像 4, 皇龍寺丈六.
1185)≪三國遺事≫권 3, 塔像 4, 芬皇寺藥師.
1186)≪日本書紀≫권 27, 天智 9년.
1187)≪三國史記≫권 39, 志 8, 職官 中.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