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10권 발해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2. 유학과 한문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 1)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 2. 발해의 발전
        • 3. 발해국의 주민구성
      • Ⅱ. 발해의 변천
        • 1. 발해의 융성
        •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 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1. 신라와의 관계
        • 2. 당과의 관계
        • 3. 일본과의 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사회·경제구조
          • 1) 사회구조
          • 2) 경제구조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2. 유학과 한문학
        • 3. 예술
          • 1) 건축
          • 2) 미술
        • 4.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유학

 유학이 발해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기 시작한 것은 文王 때부터일 것이다. 714년에 학생을 파견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건국 초기부터 유학의 영향이 있었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유학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유학이 발해사회에 뿌리를 깊이 내리게 된 것은 대체로 문왕의 文治에 힘입은 것으로 여겨진다.

 문왕이 당나라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내부 정비를 추진함에 따라 각종 정치제도·都城구조·무덤양식 등에서 중국적 모습이 드러나게 되었다.392) 이와 궤를 같이 하면서 문왕은 사상면에서 유학과 불교를 진흥시키는 데에 주력하였는데, 여기서는 유학에 한정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문왕은 즉위한 다음해인 738년 6월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唐禮≫·≪三國志≫·≪晋書≫·≪三十六國春秋≫를 구하고자 하여 玄宗의 허락을 받았다.393) 여기서≪당례≫는 유교에 입각한 국가규범인 五禮를 담고 있던≪大唐開元禮≫를 가리키는데, 이것은 종전에 사용하던 貞觀禮와 顯慶禮를 정비하여 蕭嵩 등이 당의 玄宗 開元 20년(732)에 완성한 것이다.394) 반포된 지 6년 만에 문왕이 이를 수입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아 유교적 도덕규범과 사회규범을 토대로 발해사회를 이끌어 나아가고자 하였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서적들은 궁중 도서를 관장하던 文籍院에 소장되었을 것이고, 冑子監에서는 이를 교재로 삼아 교육을 하였을 것이다. 주자감은 당나라의 국자감에 상응하는 교육기관으로서, 이곳에는 책임자로 監長을 두었다.395) 冑子란 말은≪書經≫舜典에서 따온 것으로 ‘卿大夫 이상의 맏아들’을 의미한다고 한다. 따라서 명칭만으로도 주자감이 왕족과 귀족의 자제들을 교육시키던 곳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발해의 여러 제도를 살펴보면 유학과 관련된 명칭들이 다수 보인다. 궁중에서 후궁의 업무를 담당하던 巷伯局의 항백은≪詩經≫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문왕의 尊號인 “大興寶曆孝感金輪聖法大王”에도 불교 용어와 함께 孝感이란 유교적 단어가 들어 있다.

 무엇보다도 忠·仁·義·智·禮·信이라는 유교덕목을 6부의 명칭으로 삼은 것은 독창적인 것으로서 발해사회에 유학이 얼마나 깊숙히 침투해 있었는가를 실증해 주고 있다. 8세기 중반에 일본의 仲麻呂정권이 官號와 官制 등을 개혁하면서 이 6부의 명칭을 모방한 것도 눈여겨 볼 만하다.396)

 발해 지배층에 유학이 깊이 자리잡고 있었던 사실은 貞惠公主와 貞孝公主의 두 墓誌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397) 이 묘지는 중국의 유교 경전과 역사서들을 두루 섭렵하여 변려체 문장을 구사하고 있어서 당시 발해 지식인의 소양을 엿보게 한다.398) 인용된 경전만 하더라도≪尙書≫·≪春秋≫·≪左傳≫·≪詩經≫·≪易經≫·≪禮記≫·≪孟子≫·≪論語≫등이 있다. 유교적인 수사를 사용하여 국왕과 공주의 덕을 기리고 있는 몇 구절을 정효공주묘지에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399)

① 무릇 오래 전에 읽었던≪尙書≫를 돌이켜 보건대, 堯임금은 두 딸을 嬀水의 물굽이에 내려보내 舜임금에게 시집보냈고,≪左傳≫을 널리 상세히 보건대 周 天子가 딸을 齊나라에 시집보낼 때에 魯 莊公이 魯館을 지어 그 혼례를 주관하였다. 그러니 부녀자로서 갖추어진 덕이 밝고 밝으면 명예로운 이름이 어찌 후세에 전해지지 않을 것이며, 어머니로서 갖추어진 규범이 아름답고 아름다우면 先人들이 쌓은 은혜가 어찌 무궁하게 전해지지 않으리오.

② 생각건대 高王·武王의 조상들과 아버지 文王은 王道를 일으키고 武功에서 커다란 업적을 남겼다고 능히 말할 수 있으니, 만일 이들이 때를 맞추어 政事를 처리하면 그 밝기가 日月이 내려비치는 것과 같고, 기강을 세워 정권을 장악하면 그 어진 것이 천지가 만물을 포용하는 것과 같았다. 이들이야말로 우·순임금과 짝할 만하고 夏·禹임금과 닮았으며, 商 湯王과 같은 지혜를 배양하고 周 文王과 같은 韜略을 갖추었다.

③ (공주는) 일찍이 女師에게서 가르침을 받아 능히 그와 같아지려 하였고, 매번 漢 班昭를 사모하여 詩書를 좋아하고 禮樂을 즐겼다.…六行을 크게 갖추고 三從을 지켰다. 衛 共伯의 처 共姜의 맹세를 배웠고, 齊 杞梁의 처와 같은 애처러움을 품었다. 父王에게서 은혜받아 스스로 婦德을 품고 살았다(<貞孝公主墓誌幷序>).

 그렇지만 정효공주를 칭송하기 위해서 漢代의 고사를 잘못 인용한 예가 보이고 있고, 첫머리에 “貞孝公主墓誌銘” 또는 “貞孝公主墓銘幷序”라고 해야 할 것을 “貞孝公主墓誌幷序”라고 잘못 표기하고 있어서 미숙하였던 일면을 보여주기도 한다.400)

 문왕 이후로 발해사회는 유학이 널리 보급되었고, 지속적인 선진 문화의 유입에 따라 마침내 9세기에는 해동성국으로까지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정황을 보여주는 사료는 없다. 다만 다음의 두 가지 사례를 통하여 유학이 발해인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가를 가늠해 볼 수 있을 따름이다.

 우선 발해인의 姓名이다. 왕의 이름인 大元義·大言義·大明忠·大仁秀, 공주 이름인 貞惠와 貞孝, 귀족 이름인 大義信·大誠慶·大誠愼·大昭順·大禹謨·謁德·高仁·辛文德·高文信·烏孝愼·李居正·楊成規 등에는 추상적이고 유교적 덕목들인 충·인·의·신·효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은 외국에 오고간 國書이다. 국서는 비록 의례적이고 추상적이며 상투적인 말들로 가득 차있기는 하지만, 각각의 왕에 대한 평가는 어느 정도 실상을 보여주는 면이 있다. 특히 宣王이나 大彛震에 대한 평가는 주목할 만한 것이다. 선왕은 일본으로부터 “信義로 본성을 이루고, 禮儀로 立身하였다”401) “세속에는 禮樂을 전하고, 가문에는 衣冠을 이었다”402) “믿음은 金石과 같이 확고하고 절개는 소나무·대나무처럼 곧다”403)는 말을 들었다. 그리고 대이진은 중국으로부터 “대대로 忠貞을 이어받았고, 사람 됨됨이는 仁厚에 바탕을 두었다”404)는 평가를 받았다.

392)宋基豪,<발해 文王代의 개혁과 사회변동>(≪韓國古代史硏究≫6, 한국고대사연구회, 1993), 66∼69쪽.
393)≪唐會要≫권 36, 蕃夷請經史.

≪冊府元龜≫권 999, 外臣部 請求.

≪玉海≫권 153, 朝貢 外夷來朝 唐渤海遣子入侍 참조.
394)≪舊唐書≫권 21, 志 1, 禮儀 1.
395)監長을 하나의 직책으로 이해하여 당나라 祭酒에 상당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고(鳥山喜一 著·船木勝馬 編,≪渤海史上の諸問題≫, 風間書房, 1968, 77쪽), 監과 長의 두 개 직책으로 이해하여 각기 祭酒와 司業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金毓黻,≪渤海國志長編≫권 15, 職官考, 華文書局, 1934).
396)鈴木靖民,≪古代對外關係史の硏究≫(吉川弘文館, 1985), 38쪽.
397)鄒秀玉,<貞孝公主墓志反映出的儒家思想>(≪博物館硏究≫1983­3).
398)王承禮,<唐代渤海“貞惠公主墓志”和“貞孝公主墓志”的比較硏究>(≪社會科學戰線≫ 1982­1), 185∼186쪽.
399)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Ⅲ(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451∼465쪽 참조.
400)鄒秀玉,<渤海貞孝公主墓志幷序考釋>(≪延邊文物資料匯編≫, 1983), 68쪽·81쪽.
401)≪日本逸史≫권 28, 嵯峨天皇 弘仁 11년 정월 갑오.
402)≪日本逸史≫권 30, 嵯峨天皇 弘仁 13년 정월 계축.
403)≪日本逸史≫권 34, 淳和天皇 天長 3년 5월 신사.
404)≪文苑英華≫권 471, 與渤海王大彛震書.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