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10권 발해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3. 예술1) 건축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 1)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 2. 발해의 발전
        • 3. 발해국의 주민구성
      • Ⅱ. 발해의 변천
        • 1. 발해의 융성
        •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 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1. 신라와의 관계
        • 2. 당과의 관계
        • 3. 일본과의 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사회·경제구조
          • 1) 사회구조
          • 2) 경제구조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2. 유학과 한문학
        • 3. 예술
          • 1) 건축
          • 2) 미술
        • 4.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사원과 탑

 발해에는 불교 신앙이 광범위하게 유포되어 있었으므로, 사원도 많이 조성되었다. 발해시대의 절터는 대체로 40여 곳이 확인되었다.433) 첫 도읍지가 있던 敦化지역에서 廟屯절터 1개, 上京의 성 안팎에서 10여 개, 中京지역에서 高産절터·龍海절터·仲坪절터 등 13개, 東京지역에서 馬滴達절터·新生절터 등 9개, 南京지역에서 梧梅里절터·開心寺절터의 2개, 연해주지역에서 아브리코스(Abrikos)절터·코프이토(Kopyto)절터 등 5개가 조사·발굴되었다. 이 밖에도 西古城과 大城子古城 등에도 사원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 대표적인 절터를 몇 개 들어보겠다. 상경성에서 발견된 절터는 성밖에서 발견된 2개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성 안에 자리잡고 있는데, 도성의 중앙대로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1933년과 이듬해 이 곳에서 6개의 절터를 발견하고 4개를 발굴하였다.434) 그리고 1963년과 이듬해에 중국과 북한학자들이 공동으로 도합 9개의 절터를 조사하였고,435) 그 뒤에 몇 군데의 절터를 추가로 확인하였다.

 상경성 1호 절터를 보면 본전과 좌우의 곁채가 회랑으로 연결된 구조를 하고 있다. 이렇게 본전 좌우에 곁채를 두고 있는 것은 기후가 추운 곳에서 승려들의 動線을 최대한 짧게 하고, 외부 동선을 내부로 끌어들이기 위한 공간 구성으로 여겨진다.436) 본채는 우리 나라의 일반 사찰과 마찬가지로 안칸과 바깥칸으로 구분되면서 안칸에 凹자형의 불단이 만들어져 있는데 불단에는 9개의 불상을 안치하였던 받침돌이 있다. 본채의 주변에서 綠釉를 칠한 치미와 8개의 귀면와가 발견되어 본전의 건물 양식이 팔작집이었음을 반영하고 있다.

 현지에서 南大廟로 불리는 상경성 2호 절터에는 청나라 때에 지은 興隆寺가 들어서 있어서 구체적인 구조를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 곳에는 발해 석등이 남아 있고, 석등 뒤의 三聖殿 안에는 발해시대의 석불이 전해지고 있어서 중요하다.

 상경성 9호 절터는 외성의 북쪽 벽 밖에서 발견되었다. 이 곳에서는 본전만 발굴되었는데 역시 안칸과 바깥칸으로 구분되면서 凹자형 불단이 만들어져 있다. 불단 위에는 5개의 불상 받침돌이 있다. 이 절터에서도 귀면와 8개와 치미 등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1호 절터의 본전과 마찬가지로 팔작집 구조를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중경이 있던 서고성 부근의 東南山에도 발해시기의 것으로 보이는 절터가 있는데 이 절터도 안칸과 바깥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和龍縣 德化鄕 高産村에서도 단일 건물로 된 8각형 정자 모양의 절터가 발견되었다.437)

 함경남도 신포시 오매리 절골유적에서 발견된 건축지는 고구려 문화층과 발해 문화층으로 나뉘어져 있다.438) 그리고 발해시대의 건물들은 두 차례에 걸쳐 축조된 것이다. 절골 절터유적으로 불리고 있는 1차 건물들은 동서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2차 건물들로는 몇 개의 온돌장치만이 알려졌을 뿐이다. 절터유적에 속하는 것으로는 북쪽 1호 건물지와 금산 건물지가 대표적이다. 앞의 것은 동쪽의 본채와 서쪽의 부속건물로 이루어졌는데 온돌장치가 시설되어 있었다. 뒤의 것은 이 유적에서 조금 떨어진 금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데, 온돌장치와 함께 무기류가 발견되어 초소 역할을 하였던 곳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해주에서 발굴된 코프이토절터와 아브리코스절터는 크로우노브카(Krou-

 novka)강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솟아 있는 얕은 야산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439) 강의 오른쪽에 있는 코프이토절터는 산 정상 부근에 있는데, 건물은 거의 직사각형 평면을 띠고 있다. 절 밖에는 건물에 바짝 붙여서 판석으로 쌓은 낮은 벽이 돌려져 있다.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북쪽과 동쪽에는 낮은 돌담으로 둘러싸인 정원이 조성되어 있고, 북서쪽 모퉁이에 입구가 있었다.

 강의 왼쪽에 있는 아브리코스절터는 산의 북쪽 경사면에 형성된 낮은 대지 위에 있다. 두 절의 거리는 500m∼700m 정도 떨어져 있다. 건물터는 한 변이 7m인 정사각형으로 정면은 북서쪽을 바라보고 있다. 주춧돌은 5개씩 5열로 모두 25개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절 주위에는 돌담이 돌려져 있었다.

 크라스키노성터 안에서 발견된 절터는 건물터의 크기가 12m×11m로서 정면은 남쪽을 향하고 있다. 이 곳에는 주춧돌이 6개씩 5열로 배치되어 모두 30개가 놓여 있었다. 1994년에는 이 절터에서 탑자리가 조사되기도 하였다.

 이상의 분포 상황에서 알 수 있듯이 발해 절터는 통치의 중심지였던 5경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원 중에는 왕실이나 귀족의 무덤에 딸린 절도 있는데, 龍海절터는 貞孝公主무덤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馬滴達절터도 마적달塔墓 부근에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절터에 대한 정밀조사가 진행되지 않아서 이들 절터의 절대연대를 확정하기가 어렵다. 다만 최근에 조사된 함경북도 명천군 開心寺절터에서는 宣王 9년(826)에 세워졌다는 명문이 발견되었다고 한다.440) 그리고 아브리코스사원은 이미 폐기된 코프이토사원의 기와를 가져다가 다시 사용하여 건축한 것이 확인됨으로써 두 절의 선후 관계가 밝혀졌다.441)

 한편 탑자리도 여러 군데에서 발견되었다. 잘 알려진 것으로는 정효공주 무덤탑, 馬滴達塔, 靈光塔의 3개가 있다. 이 밖에 八連城 제1절터, 上京城 안의 土臺子, 東寧縣 大城子고성, 신포시 오매리 절골, 크라스키노절터 등에서도 탑자리가 발견되었다.

 탑 가운데에는 영광탑만이 제대로 남아 있다. 이 탑은 길림성 長白朝鮮族自治縣 縣城 서북쪽의 塔山 정상에 있다. 5층의 벽돌탑으로서 제일 아래층의 높이가 약 2.8m, 둘레가 12.4m이고 전체 높이는 13m 정도이다. 탑의 내부는 상하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마적달탑은 7층의 벽돌탑이었지만 1921년에 무너졌다고 한다. 정효공주무덤탑도 역시 벽돌탑이었다. 그런데 이 탑들은 승려의 舍利를 안치하는 탑이 아니라 일반인의 시신을 매장한 墓塔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탑 아래에 玄室을 만들고, 그 곳에 시신을 안치한 것이다. 그리고 정효공주무덤의 예로 보아 이 탑의 주인공들은 불교와 밀접한 왕실 내지 귀족들이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사리탑도 발견되었다. 팔련성 제1절터에서 사리장치의 일부로 보이는 心礎石이 발견된 적이 있다. 대성자고성에서는 1972년에 금동제 사리함이 발견되었는데, 그 안의 작은 銀盒에 6顆의 사리가 들어 있었다. 상경성 토대자에서도 1975년에 은합에서 시작하여 石函까지 모두 7겹으로 싸여 있는 사리함이 발견되었다. 이 중에서 漆匣은 가는 銀絲로 꽃무늬가 상감되어 있고, 은합에는 구름무늬와 四天王像이 새겨져 있었으며, 마지막 함에는 유리병 속에 사리 5과가 들어 있었다.

433)宋基豪,<渤海佛敎의 展開過程과 몇 가지 特徵>(≪伽山李智冠스님華甲紀念論叢 韓國佛敎文化思想史≫上, 1992), 713∼714쪽.

박룡연,<고고학방면으로부터 본 발해의 불교문화>(≪발해사연구≫4, 연변대학출판사, 1993), 239∼242쪽.

에.붸. 샤브꾸노프, 앞의 글(1994), 48쪽.
434)東亞考古學會,≪東京城-渤海國上京龍泉府址の發掘調査-≫(東方考古學叢刊 甲種 第五冊, 1939), 31∼38쪽.
435)조중공동고고학발굴대,≪중국 동북지방의 유적 발굴 보고(1963∼1965)≫(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179∼181쪽과 194∼198쪽.

≪東京城≫보고서의 절터 편호와 이 책의 편호가 서로 달라 혼동하기 쉬운데, 각각의 대응표는 다음과 같다. 이 글에서는 뒤의 것을 따랐다.

  ≪東京城≫  ≪유적 발굴 보고≫

   1호 절터     2호 절터

   2호 절터     6호 절터

   3호 절터     3호 절터

   4호 절터     5호 절터
436)이병건,<발해시대 사찰건축 연구>(建國大 建築工學科 碩士學位論文, 1991), 22쪽.
437)何明,<吉林和龍高産渤海寺廟址>(≪北方文物≫1985­4).
438)장상렬, 앞의 글(1992), 256∼257쪽.
439)연해주의 절터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 정리되어 있다.

에.붸. 샤브꾸노프 엮음·송기호·정석배 옮김, 앞의 책, 123∼138쪽.
440)리준걸,<함경남북도 일대의 발해 유적 유물에 대한 조사 보고>(≪조선고고연구≫1986­1), 34쪽.
441)E.V. Shavkunov 著·宋基豪 譯,<沿海州의 발해 문화 유적>(≪白山學報≫30·31, 1985), 462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