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10권 발해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3. 예술1) 건축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 1)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 2. 발해의 발전
        • 3. 발해국의 주민구성
      • Ⅱ. 발해의 변천
        • 1. 발해의 융성
        •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 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1. 신라와의 관계
        • 2. 당과의 관계
        • 3. 일본과의 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사회·경제구조
          • 1) 사회구조
          • 2) 경제구조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2. 유학과 한문학
        • 3. 예술
          • 1) 건축
          • 2) 미술
        • 4.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고분

 발해 고분들은 舊國의 소재지였던 중국 길림성 敦化市를 비롯하여 상경성·서고성·팔련성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그리고 서경의 관내였던 길림성 通化지구, 남경의 관내였던 함경도지역을 비롯하여 변방에 해당하는 吉林市지역·綏芬河유역·沿海州 일대에서도 고분들이 조사되었다.

 중국에서는 50여 곳에서 2천 기 가까이 발견되었고, 이 중에서 150기 이상이 발굴되었다. 북한에서는 1980년대 이후에 함경남북도 일대에서 발해 고분들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여 20여 곳에서 2천 기 가까이 확인하였고, 100여 기를 발굴하였다. 러시아 연해주에서는 2∼3곳에서 10기 미만의 극히 적은 숫자의 고분만이 발견되었는데 성터나 주거지·절터유적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조사가 부진한 실정이다.

 주요한 고분군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돈화시에 있는 六頂山고분군에는 모두 80여 기의 무덤이 있으며, 이 중에서 32기의 무덤이 발굴되었다. 특히 1949년에 정혜공주무덤이 발견됨으로써, 이곳에 발해 초기의 왕족과 귀족들이 묻혀 있음이 밝혀졌다.442)

 정혜공주무덤은 대형 石室封土墓로서 무덤 방향은 서쪽으로 약간 치우친 남향이다. 무덤 앞에 벽돌을 깐 11m 길이의 墓道가 있고, 여기서 羨道를 통하여 무덤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연도의 길이는 1.74m, 너비는 1.10m이다. 무덤 안에는 4면에 현무암 돌을 쌓아 반지하식의 玄室을 만들었고, 천정은 고구려 무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抹角藻井천정을 하였다. 현실은 남북 길이 2.80m∼2.94m, 동서 너비 2.66m∼2.84m이며, 전체 높이는 2.68m이다. 지상에는 1.5m 높이의 원형 봉토를 하였다. 이러한 무덤 양식은 발해 왕실이 건국 초기에 고구려 전통을 강하게 계승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 무덤에서는 墓誌 1점을 비롯하여 木棺 조각들, 암수의 돌사자 조각 각 1점, 도금된 구리못 4점 등이 출토되었다.

 다음으로 서고성에 가까운 화룡현 龍頭山고분군에서도 1980년에 정효공주무덤이 발견되어, 이 고분군에 있는 10여 기의 무덤이 역시 발해 왕실과 귀족들의 것임이 밝혀졌다.443)

 정효공주무덤은 남향인데 무덤 전체 크기는 남북 길이 약 15m, 동서 너비 약 7m이다. 벽돌과 판석으로 쌓았는데 현실·연도·墓門·묘도·탑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7.10m 길이의 계단식 묘도는 두 차례에 걸쳐 수축되었는데, 안으로 들어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고 끝 부분에 벽돌을 쌓아 무덤을 막았다. 그 뒤에는 石門이 있고 연도가 이어진다. 연도는 1.90m로서 바닥에 벽돌을 깔았고 墓誌를 세워 놓았다. 현실은 길이 3.10m, 너비 2.10m, 높이 1.90m로서 지면에서 약 4m되는 지하에 만들었고, 벽돌로 棺臺를 쌓았다. 현실 벽은 검은 벽돌로 쌓았고 그 위에 1∼2단의 평행고임을 하고 다시 한 번 2단의 평행고임을 한 뒤에 큰 판석을 덮었다. 현실 위에 쌓은 탑은 이미 무너져 한 변의 길이가 5.60m인 방형의 기초만 남아 있었다. 무덤 양식은 벽돌로 쌓는 당나라 방식과 돌로 공간을 줄여 나가면서 천정을 쌓는 고구려 방식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무덤 위에 탑을 쌓았는데 이는 발해의 독창적 방식이다. 무덤 앞에는 무덤을 관리하던 사람들이 기거하던 건물터가 있고, 산 아래에는 陵寺로 보이는 龍海절터가 있다. 무덤에서 남녀 각 1인의 유골이 수습되어 공주 부부의 합장 무덤임이 확인되었고, 이 밖에 벽화와 묘지·陶俑 조각·글씨가 새겨진 벽돌 등이 출토되었다.

 1971년에는 화룡현 八家子에 있는 河南屯古城 안에서 부부 무덤이 발굴되었다.444) 동서로 4.5m의 거리를 두고 나란히 있는 두 무덤은 長方形 塼築墳에 해당한다. 둘 다 남향으로서 크기는 길이 2.4m, 너비 1.4m, 높이 0.47m로 거의 동일하다. 현실 바닥에는 정방형 벽돌을 깔았고, 네 벽은 장방형 벽돌로 쌓아 백회로 틈을 메웠다. 발굴할 때 이미 파괴되어 있었는데, 주민들에 따르면 무덤 위에는 8개의 판석을 두 층으로 덮고 그 위에 동서 길이 약 28m, 남북 너비 약 20m, 높이 약 2m되는 커다란 봉토가 있었으며, 이 봉토 위에는 30여 개의 주춧돌이 동서 방향으로 줄지어 있었다고 한다. 주변에는 기와 조각들이 널려 있어서 무덤 위에 건물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무덤 주위에는 길이 500m되는 방형의 담이 쳐져 있어서 墓域을 이루고 있었다. 이 무덤에서는 순금제 허리띠를 비롯한 각종 화려한 장식물들이 출토되었다.

 상경 부근의 三陵鄕 三星村에서 확인된 三陵屯고분군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445) 고분군 주위에는 길이가 약 450m되는 日자형의 土壁이 둘러싸고 있고, 3기의 무덤이 북쪽 구역에 삼각형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있다. 이 가운데 1호묘는 일제시대에 조사가 이루어졌고, 2호묘는 1991년과 이듬해에 발굴되었다. 이 무덤들은 대체로 왕릉으로 추정되고 있다.

 1호묘는 반지하식으로 쌓았고 남향하고 있으며, 현실·연도·묘도로 구성되어 있다. 묘도는 약 7m로서 바닥을 경사지게 만들었고 길 좌우는 돌로 쌓았다. 현실 남벽 가운데에 낸 연도는 길이가 4m이다. 현무암을 정교하게 가공하여 서로 맞물리게 하면서 남북으로 긴 장방형의 현실을 쌓았는데 벽의 표면에는 회칠한 흔적이 있다. 현실 크기는 길이 3.9m, 너비 2.1m, 높이 2.4m이다. 천정은 꺾음식 천정을 하고 있고, 봉토 위에는 주춧돌이 동서로 길게 줄지어 각각 4개씩 있고 주변에 기와조각들이 널려 있어서 건물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호묘는 지하식으로서 남향하고 있고 역시 현실·연도·묘도로 구성되었다. 묘도는 13단의 흙 계단으로 되어 있는데 길이가 9.8m이고 너비는 2m이다. 연도는 현실 남벽 가운데에 있고 바닥에는 현무암 판석을 깔았으며 길이는 2.7m이다. 현실은 현무암으로 7층 정도를 쌓았는데 길이 3.90m, 너비 3.30m, 높이 2.45m이다. 현실 천정은 3층의 말각천정으로 하였고 연도는 1층의 평행고임천정을 하였다. 이 무덤에는 모두 15인의 인골이 출토되었고, 현실과 연도의 벽 및 천정에는 인물과 꽃그림이 그려져 있다.

 이상은 대형의 석실봉토묘나 전축묘로서 왕실이나 상층 귀족들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보다 낮은 계층의 무덤은 중형이나 소형의 석실묘·석곽묘·석관묘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계층에 속하는 것으로서 지방 세력가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것이 安圖縣 東淸고분군이다.

 이 고분군은 1990년과 이듬해에 걸쳐 모두 13기가 발굴되었다.446) 여기에는 土壙墓·積石墓·石壙墓(石槨墓)·石室墓 등의 여러 형식이 존재하고, 方壙積石墓·方壇石壙墓·方壇階梯積石墓·方壇階梯石室墓 등과 같은 새로운 유형도 조사되었다. 매장 습속에서도 1인장과 多人合葬이 있고, 1·2次葬이 모두 있으며, 火葬도 있어서 다양성을 보이고 있다. 이 고분군이 있는 곳은 발해의 중심지에서 벗어나 있으면서 상경에서 당나라로 가는 중간 경유지에 해당하므로, 중앙 귀족보다는 지방 세력가의 무덤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永吉縣 楊屯 大海猛유적이나 楡樹縣 老河深유적 등에서는 발해시대의 수혈식 토광묘들이 발굴되었다.447) 이러한 무덤들은 말갈적 전통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던 사실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발해에 편입되었던 말갈족의 고분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발해 무덤에는 흙무덤·돌무덤·벽돌무덤 등이 있다.448) 흙무덤은 발해 건국 이전부터 유행하던 양식으로 발해 초기까지 지속되었다. 돌무덤은 다시 석실묘·석곽묘·석관묘로 나눌 수 있는데, 석실봉토묘가 발해 고분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돌을 이용하여 무덤을 쌓는 방식은 기본적으로 고구려적인 것으로서, 특히 석실봉토묘는 고구려 후기의 양식을 거의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 정혜공주무덤이 대표적이다. 벽돌무덤은 당나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발해 중기 이후에 왕실에서 일부 받아들여졌지만 그 숫자는 많지 않다. 이러한 것으로는 정효공주무덤과 마적달무덤이 대표적이다. 특히 정효공주무덤의 벽은 벽돌로 쌓았으면서 천정은 돌로 평행고임을 하여 당나라 양식과 고구려 양식이 결합된 양상을 보여준다. 이 밖에 상경 부근의 삼릉둔 1호묘는 돌을 벽돌처럼 깎아서 축조하였다.

 매장방식으로는 單人葬·二人合葬·多人合葬이 모두 보인다. 2인합장은 부부합장의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인합장은 발해 매장습속의 특색인데, 大城子고분이나 大朱屯고분에서처럼 주인공과 陪葬者가 뚜렷하게 구별되는 예도 있다. 배장자는 적게는 1인에서 많게는 16인에 이른다. 이러한 배장자에는 주인공과 혈연관계에 있었던 가족뿐만 아니라, 그에 딸린 奴婢나 部曲들도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를 殉葬의 한 遺風으로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449)

 무덤에서 출토된 인골의 배치상태로 보아 1차장과 2차장이 모두 존재하며, 하나의 무덤에서 두 가지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2차장 인골은 대체로 追加葬에 의한 것이다. 1차장의 경우에는 木棺을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목관없이 직접 묻은 예도 보인다.

 발해 초기에는 육정산고분군에서처럼 火葬도 유행하였다. 이것은 시신을 관에 넣은 채 무덤 안에서 불에 태우는 방식이다. 이러한 풍습은 중기 이후에 점차 사라진다. 이 밖에 육정산고분군에서는 사람뼈와 함께 동물뼈들도 출토되었다. 동물뼈로는 말·소·개의 뼈들이 있다. 이것은 다른 나라의 고분들에서는 별로 보이지 않는 특이한 현상으로서 발해 초기에 유행하였다.

 한편 발해에서는 무덤 위에 건물을 짓던 풍습도 있었다. 삼릉둔 1호묘와 하남둔고분에서는 봉토 위에서 주춧돌이 발견되었고, 육정산고분군과 용두산고분군에서는 봉토에서 기와들이 다수 노출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불교가 성행하면서 탑으로 대체되었는데, 정효공주무덤과 마적달무덤은 승려의 무덤이 아닌 데도 그 위에 벽돌로 만든 탑이 세워져 있었다. 이러한 전통은 중국학자들이 말갈의 풍속을 계승한 것으로 주장하고 있으나, 이보다는 고구려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고구려나 백제고분에서 기와가 다수 발견되었고, 將軍塚 정상부에 있는 건물 난간의 흔적같은 것들이 이를 증명해준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442)王承禮,<敦化六頂山渤海墓淸理發掘記>(≪社會科學戰線≫1979­3).
443)延邊朝鮮族自治州博物館,<渤海貞孝公主墓發掘淸理簡報>(≪社會科學戰線≫1982­1).
444)郭文魁,<和龍渤海古墓出土的幾件金飾>(≪文物≫1973­8).
445)鄭永振,<1991年에 發掘한 三陵屯渤海壁畵墓와 高句麗壁畵墓와의 關係>(≪韓國上古史學報≫16, 1994).
446)鄭永振,<최근년간 중국동북지역에서의 발해유적 조사 발굴과 발해사연구동향>(≪韓國上古史學報≫9, 1992), 186∼188쪽.

박윤무,<안도동청발해무덤>(≪발해사연구≫2, 연변대학출판사, 1991).

연변박물관,<동청발해무덤발굴보고>(≪발해사연구≫3, 연변대학출판사, 1992).
447)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編,≪楡樹老河深≫(文物出版社, 1987), 119∼121쪽.

吉林市博物館,<吉林永吉楊屯大海猛遺址>(≪考古學集刊≫5, 1987).

吉林省文物工作隊·吉林市博物館·永吉縣文化局,<吉林永吉楊屯遺址第三次發掘>(≪考古學集刊≫7, 1991).

鄭永振,<高句麗·渤海·靺鞨 墓葬形制 比較硏究>(≪百濟硏究≫22, 1991), 187∼188쪽.
448)발해 무덤에 대한 자세한 형식 분류에 대해서는 다음 글들이 참조된다.

주영헌,≪발해문화≫(사회과학출판사, 1971), 65∼75쪽.

정영진,<발해무덤연구>(≪발해사연구≫1, 연변대학출판사, 1990).

박윤무,<발해석실봉토무덤에 대한 고찰>(≪발해사연구≫2, 연변대학출판사, 1991).
449)宋基豪,<발해의 多人葬에 대한 연구>(≪韓國史論≫11, 서울大, 1984).

엄장록·박룡연,<북대발해무덤연구>(≪발해사연구≫2, 연변대학출판사, 1991), 82∼85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