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Ⅱ. 문화5. 미술2) 석조물과 조각(2) 조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1. 중앙의 교육기관
          • 1) 국자감
            • (1) 국자감의 성립과 운영
              • 가. 성립 배경
              • 나. 설치 연혁
              • 다. 초기 국자감의 운영
            • (2) 예종의 교육개혁과 국자감
              • 가. 국자감의 위상 정립
              • 나. 삼사제도의 운영
              • 다. 국학 7재의 운영
            • (3) 학식의 제정과 성격
              • 가. 학식의 제정
              • 나. 성격
            • (4) 국자감의 직관과 학제 운영
              • 가. 직관
              • 나. 학제 운영
          • 2) 동·서학당
            • (1) 설립
            • (2) 운영과 성격
          • 3) 10학
          • 4) 사학 12도
            • (1) 설립
            • (2) 운영
            • (3) 성격
        • 2. 지방의 교육기관
          • 1) 향교
            • (1) 향교 설치의 배경
            • (2) 향교의 설치와 변천
            • (3) 향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와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2) 서경학교
            • (1) 설치 배경
            • (2) 서경학교의 설치
            • (3) 서경학교의 변천
            • (4) 서경학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관과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3) 서재
      • Ⅱ. 문화
        • 1. 과학과 기술
          • 1) 천문 역산
            • (1) 천문 역산의 제도
            • (2) 천문 관측
              • 가. 관측기구
              • 나. 관측기록
            • (3) 역법의 발전
          • 2) 지리
            • (1) 지도와 지리지
            • (2) 풍수지리학
          • 3) 의학
            • (1) 의료제도
            • (2) 의약 서적의 간행과 수입
            • (3) 의약의 교류
          • 4) 기술
        • 2. 문자와 언어
          • 1) 문자
          • 2)언어
        • 3. 사서의 편찬
          • 1) 7대실록·고려실록
            • (1) 7대실록
            • (2) 고려실록
          • 2)≪삼국사기≫
            • (1)≪삼국사기≫의 편찬
            • (2)≪삼국사기≫의 내용
              • 가. 본기
              • 나. 지
              • 다. 열전
            • (3)≪삼국사기≫의 성격
          • 3)≪편년통록≫과 기타 사서의 편찬
            • (1) 고려 전기 사서의 성격
            • (2)≪편년통록≫
              • 가. 성격과 그 이해
              • 나. 편찬 배경
              • 다. 내용과 분석
              • 라. 사학사적 의의
            • (3) 기타 사서의 편찬
              • 가.≪구삼국사≫
              • 나.≪고금록≫
              • 다.≪편년통재≫
              • 라.≪편년통재속편≫
        • 4. 문학
          • 1) 한문학
            • (1) 한문학의 본격화와 그 양상
              • 가. 본격화 과정
              • 나. 본격화의 양상
            • (2) 고려 전기 한문학에서의 상상력·의식·풍격
              • 가. 제1기(태조∼정종)
              • 나. 제2기(문종∼의종)
          • 2) 향가 및 그 잔영
          • 3) 설화문학
          • 4) 불교문학
        • 5. 미술
          • 1) 건축
            • (1) 건축활동
            • (2) 도성·궁궐
              • 가. 도성
              • 나. 궁궐
            • (3) 가람 배치
            • (4) 목조건축
          • 2) 석조물과 조각
            • (1) 석조물
              • 가. 석탑
              • 나. 석조부도
              • 다. 석등
              • 라. 석비
              • 마. 당간과 지주
            • (2) 조각
              • 가. 석불상
              • 나. 마애불상
              • 다. 동불상
              • 라. 철불상
              • 마. 소조불상
          • 3) 서화
            • (1) 회화
              • 가. 일반회화
              • 나. 불교회화
            • (2) 서예
          • 4) 공예
            • (1) 도자공예
              • 가. 고려 초기 도자-성립기
              • 나. 고려 중기 도자-전성기
            • (2) 금속공예
              • 가. 생활용품
              • 나. 불교공예품
              • 다. 장신구
            • (3) 목칠공예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가. 석불상

 고려 초기의 활기차고 거대한 석불로 灌燭寺石造彌勒菩薩立像(보물 제218호<사진 8>)을 들 수 있다. 높이 18.12m의 이 불상은 조성 연대를 광종 19년(968)경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역시 초기의 힘찬 기운이 잘 나타나 있는 예라 하겠다. 이와 같은 유형으로 大鳥寺石造彌勒菩薩立像(보물 제217호)과 禮山 揷橋石造菩薩立像(보물 제508호)을 들 수 있는데 이 두 불상 역시 후기로 떨어지지 않는 11∼12세기에 걸치는 조성으로 고려의 초기적인 기상이 잘 나타나 보인다.

<사진 8>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보물 제218호)     + 참고이미지

 이들 고려 전기에 조성된 세 석상을 살펴보면 머리 위에 쓰고 있는 원통형의 寶冠과 그 위에 얹어놓은 보개, 그리고 토속적인 인상을 주는 넓적한 相好, 石柱形과도 같은 胴體의 처리 등 여러 가지 공통된 점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들 불상은 대체로 대형화의 경향을 띠어서 웅장한 초기적 기운은 잘 나타나 있으나 반면에 조각적인 우수성은 감소되고 있다. 이것은 거구의 동체 처리와 각부 조각의 세세한 새김이 여의치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 3구의 석상은 모두 충남지역에서 조성한 것인데, 이와 같은 공통점은 곧 이 지방의 지역적 특색이 아닌가 한다. 앞에서도 말하였듯이 고려시대의 불상 조성은 선대에 비하여 보다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왕실은 물론 중앙 귀족이나 지방 호족들의 보호와 후원으로 불상이 조성되고 각 지방은 나름대로 토착성이 강한 지방적인 특색을 보이게 되었을 것이니, 이 3구의 불상이 바로 이러한 유례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듯 지방적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는 또 한 곳의 석조보살상들이 있는 데 溟州지방을 중심으로 조성된 석상들을 들 수 있다. 즉 江陵의 寒松寺址에서 출토된 寒松寺石造菩薩坐像(국보 제124호<사진 9>)을 비롯하여 寒松寺址 石佛坐像(보물 제81호) , 祥福寺址石佛坐像(보물 제84호) , 月精寺石造菩薩坐像(보물 제139호) 등이라 하겠다. 한송사지에서 출토된 2구는 대리석으로 조성하였고 신복사지와 월정사의 보살좌상은 화강암으로 조성하여 그 조성 석재는 같지 않으나 이들 머리 위에 쓰고 있는 원통형 보관에서 우선 공통점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작풍에서 약간 투박한 감은 느낄 수 있으나 상호와 동체 표현에 양감이 풍부하고, 명상에 잠겨있는 듯한 상호의 표정과 입가에 느껴지는 미소 등은 이들 4구의 보살상이 함께 보이는 특징이라 하겠다.

<사진 9>寒松寺 石造菩薩坐像 (국보 제124호)     + 참고이미지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