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Ⅱ. 문화5. 미술2) 석조물과 조각(2) 조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1. 중앙의 교육기관
          • 1) 국자감
            • (1) 국자감의 성립과 운영
              • 가. 성립 배경
              • 나. 설치 연혁
              • 다. 초기 국자감의 운영
            • (2) 예종의 교육개혁과 국자감
              • 가. 국자감의 위상 정립
              • 나. 삼사제도의 운영
              • 다. 국학 7재의 운영
            • (3) 학식의 제정과 성격
              • 가. 학식의 제정
              • 나. 성격
            • (4) 국자감의 직관과 학제 운영
              • 가. 직관
              • 나. 학제 운영
          • 2) 동·서학당
            • (1) 설립
            • (2) 운영과 성격
          • 3) 10학
          • 4) 사학 12도
            • (1) 설립
            • (2) 운영
            • (3) 성격
        • 2. 지방의 교육기관
          • 1) 향교
            • (1) 향교 설치의 배경
            • (2) 향교의 설치와 변천
            • (3) 향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와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2) 서경학교
            • (1) 설치 배경
            • (2) 서경학교의 설치
            • (3) 서경학교의 변천
            • (4) 서경학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관과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3) 서재
      • Ⅱ. 문화
        • 1. 과학과 기술
          • 1) 천문 역산
            • (1) 천문 역산의 제도
            • (2) 천문 관측
              • 가. 관측기구
              • 나. 관측기록
            • (3) 역법의 발전
          • 2) 지리
            • (1) 지도와 지리지
            • (2) 풍수지리학
          • 3) 의학
            • (1) 의료제도
            • (2) 의약 서적의 간행과 수입
            • (3) 의약의 교류
          • 4) 기술
        • 2. 문자와 언어
          • 1) 문자
          • 2)언어
        • 3. 사서의 편찬
          • 1) 7대실록·고려실록
            • (1) 7대실록
            • (2) 고려실록
          • 2)≪삼국사기≫
            • (1)≪삼국사기≫의 편찬
            • (2)≪삼국사기≫의 내용
              • 가. 본기
              • 나. 지
              • 다. 열전
            • (3)≪삼국사기≫의 성격
          • 3)≪편년통록≫과 기타 사서의 편찬
            • (1) 고려 전기 사서의 성격
            • (2)≪편년통록≫
              • 가. 성격과 그 이해
              • 나. 편찬 배경
              • 다. 내용과 분석
              • 라. 사학사적 의의
            • (3) 기타 사서의 편찬
              • 가.≪구삼국사≫
              • 나.≪고금록≫
              • 다.≪편년통재≫
              • 라.≪편년통재속편≫
        • 4. 문학
          • 1) 한문학
            • (1) 한문학의 본격화와 그 양상
              • 가. 본격화 과정
              • 나. 본격화의 양상
            • (2) 고려 전기 한문학에서의 상상력·의식·풍격
              • 가. 제1기(태조∼정종)
              • 나. 제2기(문종∼의종)
          • 2) 향가 및 그 잔영
          • 3) 설화문학
          • 4) 불교문학
        • 5. 미술
          • 1) 건축
            • (1) 건축활동
            • (2) 도성·궁궐
              • 가. 도성
              • 나. 궁궐
            • (3) 가람 배치
            • (4) 목조건축
          • 2) 석조물과 조각
            • (1) 석조물
              • 가. 석탑
              • 나. 석조부도
              • 다. 석등
              • 라. 석비
              • 마. 당간과 지주
            • (2) 조각
              • 가. 석불상
              • 나. 마애불상
              • 다. 동불상
              • 라. 철불상
              • 마. 소조불상
          • 3) 서화
            • (1) 회화
              • 가. 일반회화
              • 나. 불교회화
            • (2) 서예
          • 4) 공예
            • (1) 도자공예
              • 가. 고려 초기 도자-성립기
              • 나. 고려 중기 도자-전성기
            • (2) 금속공예
              • 가. 생활용품
              • 나. 불교공예품
              • 다. 장신구
            • (3) 목칠공예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나. 마애불상

 이 시기에 조성된 마애불에서 좌불상의 예로는 北漢山舊基里磨崖釋迦如來 坐像(보물 제215호<사진 10>), 月出山磨崖如來坐像(국보 제144호), 大興寺北彌勒庵磨崖如來坐像(보물 제48호) , 法住寺磨崖如來倚像(보물 제216호), 槐山院豊里磨崖佛坐像(보물 제97호) 등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마애입불상으로는 德周寺磨崖佛(보물 제406호), 天原 三台里磨崖佛(보물 제407호), 咸陽 馬川面磨崖如來立像(보물 제375호), 洪城 新耕里磨崖石佛(보물 제355호), 三川寺址磨崖如來立像(보물 제657호) 등을 들 수 있다.

<사진 10>북한산 구기리 磨崖釋迦如來 (坐像 보물 제215호)     + 참고이미지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진 마애불 중 명문이 있어서 조성 연대를 알 수 있는 마애불로는 廣州 校里太平二年銘磨崖藥師如來坐像(보물 제981호;경종 2년, 977), 利川 太平興國六年銘磨崖半跏像(보물 제982호;경종 6년, 981), 高靈 開浦洞雍熙二年銘觀音菩薩坐像(성증 4년, 985) 등으로 이들의 각 세부는 이 시기의 표준이 된다고 하겠다.

 광주 교리의 불상은 素髮의 머리 위에 肉髻를 얹었고 갸름한 얼굴에 눈은 가늘게 떴으며 입은 작은 편으로 꼭 다물었으나 입가에는 미소를 띠고 있다. 귀는 큼직하고 목에는 三道가 표시되지 않았으며 양쪽 어깨는 약간 쳐진듯 둥글게 표현되었다. 法衣는 右肩偏袒으로 옷깃이 한번 접혔는데 옷주름은 가는 돌출선으로 표시되어 유려하며 사실적이다. 手印은 오른손을 들어올려서 엄지와 중지를 맞대었고 왼손은 결가부좌한 무릎 위에서 약항아리를 들었는데 병에 시달리는 중생을 구하려는 자비스러움을 나타내고 있다. 光背는 3중원으로 두광과 신광을 나누었는데 주위에 화염문을 조식하였다. 대좌는 4각형으로 복련 위에 이중대석이 있고 그 위에 4개의 기둥으로 상좌대석을 받들고 있는데 5판의 앙련대가 있고 각 판내에는 화문이 조식되어 있다. 부드러운 상호, 균형이 잡힌 몸매, 그리고 화려한 대좌 등이 신라 불상의 여운을 보이는 우수한 불상이다.

 이천 반가상에서의 특징은 오른손을 가슴에 올려 내장하여 연줄기를 잡고 있으며 왼손은 왼쪽 다리 위에 손바닥을 위로 하여 편히 놓고 있다. 오른쪽 발은 자연스럽게 내리고 있으나 발끝을 외향시켜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며 족좌는 화사한 연화좌이다. 왼쪽 발은 오른쪽 무릎에 놓았으므로 通式의 반가형과는 반대이다. 그러나 이 불상에서 보관과 통견한 법의 등이 주목을 끈다.

 고령의 불상에서는 보관과 보발, 연화좌 등이 주목되며 특히 頭·身光으로 이루어진 광배가 인상적이다. 양쪽 어깨에 걸친 天衣는 선각으로 처리하였으나 유려하게 흘러 양쪽 무릎을 덮고 있다. 수인에서는 왼손으로 연줄기 하나를 잡고 있는데 그 줄기는 두광에까지 올라가 연꽃을 피우고 있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