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Ⅱ. 문화5. 미술4) 공예(1) 도자공예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1. 중앙의 교육기관
          • 1) 국자감
            • (1) 국자감의 성립과 운영
              • 가. 성립 배경
              • 나. 설치 연혁
              • 다. 초기 국자감의 운영
            • (2) 예종의 교육개혁과 국자감
              • 가. 국자감의 위상 정립
              • 나. 삼사제도의 운영
              • 다. 국학 7재의 운영
            • (3) 학식의 제정과 성격
              • 가. 학식의 제정
              • 나. 성격
            • (4) 국자감의 직관과 학제 운영
              • 가. 직관
              • 나. 학제 운영
          • 2) 동·서학당
            • (1) 설립
            • (2) 운영과 성격
          • 3) 10학
          • 4) 사학 12도
            • (1) 설립
            • (2) 운영
            • (3) 성격
        • 2. 지방의 교육기관
          • 1) 향교
            • (1) 향교 설치의 배경
            • (2) 향교의 설치와 변천
            • (3) 향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와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2) 서경학교
            • (1) 설치 배경
            • (2) 서경학교의 설치
            • (3) 서경학교의 변천
            • (4) 서경학교의 운영실태
              • 가. 시설과 재원
              • 나. 교수관과 생도
              • 다. 교육과정과 수업년한
          • 3) 서재
      • Ⅱ. 문화
        • 1. 과학과 기술
          • 1) 천문 역산
            • (1) 천문 역산의 제도
            • (2) 천문 관측
              • 가. 관측기구
              • 나. 관측기록
            • (3) 역법의 발전
          • 2) 지리
            • (1) 지도와 지리지
            • (2) 풍수지리학
          • 3) 의학
            • (1) 의료제도
            • (2) 의약 서적의 간행과 수입
            • (3) 의약의 교류
          • 4) 기술
        • 2. 문자와 언어
          • 1) 문자
          • 2)언어
        • 3. 사서의 편찬
          • 1) 7대실록·고려실록
            • (1) 7대실록
            • (2) 고려실록
          • 2)≪삼국사기≫
            • (1)≪삼국사기≫의 편찬
            • (2)≪삼국사기≫의 내용
              • 가. 본기
              • 나. 지
              • 다. 열전
            • (3)≪삼국사기≫의 성격
          • 3)≪편년통록≫과 기타 사서의 편찬
            • (1) 고려 전기 사서의 성격
            • (2)≪편년통록≫
              • 가. 성격과 그 이해
              • 나. 편찬 배경
              • 다. 내용과 분석
              • 라. 사학사적 의의
            • (3) 기타 사서의 편찬
              • 가.≪구삼국사≫
              • 나.≪고금록≫
              • 다.≪편년통재≫
              • 라.≪편년통재속편≫
        • 4. 문학
          • 1) 한문학
            • (1) 한문학의 본격화와 그 양상
              • 가. 본격화 과정
              • 나. 본격화의 양상
            • (2) 고려 전기 한문학에서의 상상력·의식·풍격
              • 가. 제1기(태조∼정종)
              • 나. 제2기(문종∼의종)
          • 2) 향가 및 그 잔영
          • 3) 설화문학
          • 4) 불교문학
        • 5. 미술
          • 1) 건축
            • (1) 건축활동
            • (2) 도성·궁궐
              • 가. 도성
              • 나. 궁궐
            • (3) 가람 배치
            • (4) 목조건축
          • 2) 석조물과 조각
            • (1) 석조물
              • 가. 석탑
              • 나. 석조부도
              • 다. 석등
              • 라. 석비
              • 마. 당간과 지주
            • (2) 조각
              • 가. 석불상
              • 나. 마애불상
              • 다. 동불상
              • 라. 철불상
              • 마. 소조불상
          • 3) 서화
            • (1) 회화
              • 가. 일반회화
              • 나. 불교회화
            • (2) 서예
          • 4) 공예
            • (1) 도자공예
              • 가. 고려 초기 도자-성립기
              • 나. 고려 중기 도자-전성기
            • (2) 금속공예
              • 가. 생활용품
              • 나. 불교공예품
              • 다. 장신구
            • (3) 목칠공예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나. 고려 중기 도자-전성기

 고려의 귀족정치는 12세기 전반의 예종·인종년간에 이르러 완성을 보게되며 고려의 문화는 황금기를 맞게 된다. 이들은 好文의 왕들로 관학을 진흥시키고 궁내에 청연각과 보문각 등의 학문연구 기관을 설치하여 문풍이 크게 일어나고 유학이 발달하였다. 그리고 예의·격식 등 유학적인 제도를 정하고 내치에도 힘을 기울인 시기로,≪三國史記≫등이 편찬된 것도 이 때였다. 이러한 시기에 고려 청자 역시 발전을 거듭하여 비색청자로 대표되는 청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청자로는 陶器大盒에서 숙종 10년(1105)이 하한인 海東通寶(1097∼1105,<사진 5>)와 함께 참외모양의 몸체를 지닌 청자호가 발견되었다(<사진 6>).592) 瓜形으로 여덟 곳에 홈을 돌린 풍만한 항아리인데, 녹갈색의 유약을 발라 내화토 받침의 굽다리를 하고 있으며 바닥의 평평한 접시 모양의 뚜껑이 발견되었다. 水原 石浦里 고분에서 政和通寶(1111∼1117)와 함께 출토된 靑瓷陰刻鳳凰紋盌과 靑瓷陽刻草花紋盌은 예종 12년(1117)경에 음각의 봉황문과 양각의 초화문이 존재함을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인종 원년(1123) 송나라 사신의 수행원으로 고려의 개경에 한 달 동안 머물다 본국으로 돌아가 인종 2년에 저술한 徐兢의 견문록인≪高麗圖經≫의 청자에 관한 다음의 기록이 주목된다.

<사진 5>질그릇 큰합과 소합들, 靑瓷壺 그리고 海東通寶(1097∼1105)     + 참고이미지
연대박물관 소장

<사진 6>靑瓷瓜形甁(1146, 仁宗 長陵 출토)     + 참고이미지
높이 22.5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陶尊:도기의 색이 푸른 것을 고려인들은 이를 翡色이라고 한다. 근년에 들어와 제작이 공교해지고 광택이 더욱 아름다워졌다. 술병의 형태는 참외와 같은데 위에는 작은 뚜껑이 있고 연꽃 위에 오리가 엎드려 있는 모양이다. 또한 완·접시·잔·항아리·꽃병·탕잔도 잘 만들었는데 모두 그릇의 일정한 격식을 모방했으므로 생략하고 그리지 않겠으며, 술병만이 다른 그릇과 다르므로 특별히 이를 알려 둔다.

陶爐:狻猊出香(사자모양의 향로) 역시 비색이다. 위에는 쭈그리고 있는 짐승이 있고 아래에는 연꽃으로 이를 받치고 있다. 여러 기물 가운데 이 물건만이 가장 精絶하고 그 나머지는 越州 古秘色이나 汝州 新窯器와 대개 비슷하다(≪高麗圖經≫권 32, 器皿).

 인종 원년 고려인들은 청자를 비색청자라 불렀으며 그 무렵 청자를 만드는 솜씨가 교묘해지고 빛깔이 매우 아름다웠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술항아리의 몸체가 참외와 같고 뚜껑은 연잎에 오리가 엎드린 것 같다고 하였다. 그리고 완이나 접시·꽃병·茶甌·잔 등은 중국의 일정한 기명제도를 본받고 있으며, 대체로 월주의 고비색과 汝州의 新窯의 기명과 비슷하다고 하였다. 이로 본다면 고려의 비색 청자는 예종 15년(1120) 가까운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인종의 長陵에서<皇統六年銘仁宗諡冊>과 함께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靑瓷瓜形花甁·靑瓷方形臺·靑瓷菊瓣形盒·靑瓷有蓋盌(이상 국립중앙박물관 소 장)의 자료가 있다.593) 이들은 담청록색의 翡色釉가 고르게 施釉되어 낸 빛깔이 깊고 순수하며 氷裂이 없다. 태토는 정제되어 있고 기형은 적정한 비례를 갖고 있다. 이들은 과다한 음각·양각의 문양이 없으며 깔끔하고 이지적이며 순수하다. 이러한 청자 기형은 북송대의 景德鎭窯에서 구어낸 청백 자주전자·瓜形병·花形접시·托盞, 定窯에서 구어낸 매병·완·대접·병 등에 그 비슷한 예들이 있어, 고려청자가 그들의 기법과 관련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594) 그러나 그 기형은 조금씩 다르며 그 중에서 고려인들의 기호에 맞는 것을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접시·완의 굽다리는 定窯·景德鎭窯·汝窯의 기명을 본받고 있음이 주목된다.

 또한 12세기 전반까지 널리 제작되었던 지방의 많은 요들이 康津 沙堂里窯와 扶安 柳川里窯에 집중되기 시작되어, 해남·고창·서산·용인·인천 등지의 대부분의 요는 사라지고 있다. 아마도 고려의 중앙집권화 과정에서 대표적인 강진·부안의 요만을 집중적으로 키우려는 의도 때문으로 생각된다.595) 강진과 부안에서 만들어진 도자들이 조운을 통해 배로 개경에 올려져 고려왕실과 관청·귀족 소용의 도자로 사용되었으며, 이들 요지들은 모두 漕倉이 있는 바닷가 가까이에 위치하여 陶瓷土와 물과 나무가 무성한 곳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이 시기에 백자·흑자도 있었으며, 그 그릇 모양은 청자를 닮았고, 도기 역시 회흑색의 단단한 질그릇이 계속 제작되었다.

592)延世大博物館, 앞의 책.
593)野守健, 앞의 글, 1∼34쪽에는 傳仁宗長陵出土品으로 4점의 靑瓷가 소개되어 있다.
594)佐藤雅彦,<宋代陶瓷>(≪中國陶瓷史≫, 平凡社, 1978), 113∼140쪽.
595)尹龍二,<韓國靑瓷陶窯址槪要:그 分布와 構造에 對하여>(≪扶安鄕川里窯高麗陶瓷≫, 梨大博物館, 1983).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