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5권 조선 후기의 문화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4. 불교계의 동향1) 승단내의 수학경향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1. 성리학
          • 2) 인물성논쟁의 쟁점과 전개
          • 3) 경학의 심화
          • 4) 의리론의 전개
          • 5) 유기론과 유리론의 대두와 쟁점
        • 2. 양명학
          • 1) 양명학의 이해
        • 3. 천주교의 수용과 전파
          • 1) 천주학과 보유론적 천주신앙
          • 2) 천주신앙 실천과 초기교회의 발전
          • 3) 천주교박해와 지하교회로의 발전
          • 4) 역사적 변인으로서의 조선천주교
        • 4. 불교계의 동향
          • 1) 승단내의 수학경향
          • 5) 국가적 활동
        • 5. 민간신앙
          • 1) 도교·도참신앙
          • 2) 기타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1. 학술의 진흥
          • 3) 규장각의 학술활동
            • (1) 설치와 조직
            • (2) 학술활동
        • 2. 실학의 발전
          • 1) 실학사상의 성립
            • (1) 실학개념의 정립
            • (2) 실학사상의 형성 배경
          • 2) 실학사상의 전개
            • (2) 정치개혁론
            • (3) 대외인식과 역사관의 변화
            • (4) 경제·사회사상의 특성
          • 3) 실학의 연구과정과 성격
            • (1) 연구의 전개과정에 대한 검토
        • 3. 국학의 발달
          • 1) 국어학
          • 2) 언어학
            • (3) 근대국어의 변화
          • 3) 지리학
            • (1) 지리학 발달의 배경
            • (2) 공간관의 변화와 지도학의 발달
            • (3) 지역연구와 계통지리학의 발달
            • (4) 자연지리학의 발달과 환경에 대한 인식
          • 4) 역사학의 발달
          • 5) 백과전서학의 발달
        • 4. 과학과 기술
          • 1) 조선 후기의 전통 과학기술
          • 2) 실제 과학기술의 발달상태
          • 3) 근대 과학기술의 수용-실학과 과학기술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1. 문학
          • 1) 국문시가와 한시
            • (1) 시조
            • (2) 가사
          • 2) 서사문학
            • (1) 한문소설
            • (2) 국문소설
        • 2. 미술
          • 1) 회화
            • (2) 새로운 화법의 수용과 전개
          • 2) 서예
          • 3) 조각
            • (1) 홍성기의 조각
          • 4) 공예
            • (1) 도자공예
            • (2) 목칠공예
          • 5) 건축
        • 3. 음악
          • 1) 궁중음악의 변천과 새 경향
          • 2) 민속악과 민간풍류의 새로운 전통
            • (1) 성악의 발전
            • (2) 기악의 발전
          • 3) 악조와 음악양식 및 기보법
            • (3) 악보와 기보법의 변천
        • 4. 무용·체육 및 연극
          • 1) 무용
            • (1) 궁중무
            • (3) 민속무
          • 2) 체육
            • (1) 편사
          • 3) 연극
            • (1) 산대나희
            • (4) 민속극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이력과정의 확립

 조선 후기 불교계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履歷이라 부르는 僧伽교육과정의 확립이다. 조선 말기에 정리된 자료를 통해 볼 수 있는 과정은 대략 10년 정도의 기간 동안에 기초적인 의례에서부터 고도의 경전과 禪語錄까지 수학하도록 되어 있으니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235)

沙彌科 (1년) 十戒 朝暮誦呪 般若心經 初心文 發心文 自警文 (沙彌律儀 緇門警訓) 四集科 (2년) 禪源諸詮集都序 大慧書狀 法集別行錄節要 高峰禪要 四敎科 (4년) 首楞嚴經 起信論 金剛經 圓覺經 大敎科 (3년) 華嚴經 禪門拈頌 傳燈錄 (十地論 禪家龜鑑 法華經) [隨意科]   기타 任其本人之根基 以爲隨意所修

 이러한 이력과정은 조선 후기 불교 전반에 미친 영향과 마찬가지로 서산의 사상경향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서산의 사상경향은 그가 지은 碧松智嚴의 행장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서산은 지엄이≪大慧語錄(書狀)≫과≪高峰語錄(禪要)≫을 수학하였다고 밝히고 있다.236)≪서장≫은 臨濟義玄의 12대손으로 간화선을 제창한 大慧宗杲(1089∼1163)의 저술이고≪선요≫는 임제의 18대손인 高峰原妙(1238∼1295)의 저술로서 모두 임제종풍을 선양한 것들이다. 그런데 지눌이 지은<초심문>을 비롯하여 그가 견성하였다는≪대혜어록≫이나 중요하게 여겼던≪도서≫와≪절요≫그리고≪화엄경≫등은 이력과정의 바탕에 지눌의 사상경향이 깃들어 있음을 느끼게 한다.

 서산은≪서장≫과≪선요≫와 같은 중국 조사의 어록을 배우는 것을 성리학을 집대성한 程子와 朱子가 孔孟을 계승함에 비유하고 있다.237) 그런데 서산이 활동하던 시기는 退溪 李滉(1501∼1570)과 栗谷 李珥(1536∼1584)가 나서 성리학을 완전히 이해하고 조선화해 가는 때이었다. 이와 같은 성리학의 진전이 불교계에 미친 영향을 서산의 언설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주자성리학의 이해에서 한 단계 나아가 조선성리학의 문호를 연 율곡은 성리학의 이념을 학습하기 위한 교재를 체계화시켜 小學에서 시작하여 大學·論語·孟子·中庸·詩經·禮經·書經·易經·春秋의 5書 5經 그리고 선현의 性理之書로 이어지는 순서를 제시하였다.238) 이와 같은 성리학교재의 체계화는 불교의 이력과정 정립에 큰 영향을 미쳤으리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인 성리학 수학이 서당에서 7년을 배우고 그 다음에 지방의 鄕校나 서울의 四部學堂에서 5년 정도를 배우며 이어서 成均館에서 3년을 배우는 기간과 이력의 기간도 대체로 일치한다.

 이와 아울러 고려할 것은≪釋門喪儀抄≫와 같은 승가의례서의 정리이다. 碧巖覺性이 지은 이 책은 승려의 服喪에서부터 제문에 이르기까지 상·제례의 내용을 조목별로 하나하나 체계화한 것이다.239) 이와 거의 유사한 내용의≪釋門家禮抄≫가 懶庵眞一에 의해 편찬되었는데 벽암의 편찬과 동일한 것일 가능성도 있다. 이들 의례서는 성리학적 질서유지와 교화를 위한 규범으로서 성리학의 의례서가 집중적으로 편찬되고 일반민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의례가 영향을 미치었던 이 시기에≪朱子家禮≫와 같은 예서의 체계에 자극되어 승가의 의례를 정비한 것이었다.

 이력과정이 어느 시기에 확정되었는지 분명한 자료는 없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서산의 사상경향과 성리학의 영향 그리고 서산의 제자인 鞭羊彦機가 화엄·법화·원각·능엄·반야·범망 등의 경전과 전등록·염송·선요·서장·도서 등의 전적을 간행하여 여러 산사에 홍포한 사실240)을 종합해 보면 서산에서 그의 직계제자에 이르는 시기에 이력의 대체적인 윤곽은 거의 자리잡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편양이 경전을 간행할 때에도 포함되어 있고 지엄이 임종하기 전에≪法華經≫方便品을 강의하였다고 서산이 기록한 것을 보면 이 시기에는≪법화경≫을 중시하는 경향이 병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후기에는≪법화경≫이 기본 이력과정에서 제외된다. 이것은 송대에 성리학을 집대성한 程朱 등의 성리학자들이 화엄의 理事說과 法界觀에 대해 언급한 것들241)이 조선의 성리학자들에게 인식되고 나서 화엄을 불교철학의 으뜸으로 여기는 추세가 불교계에도 반영되어 생긴 결과가 아닌가 추측된다.

 후기의 교단은 강원과 선원, 염불원 등이 갖추어진 총림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강원에는 法主(또는 講士)라고 불리던 講主를 중심으로 講師·仲講·論講 등의 직임을 맡은 승려가 이력과정을 이끌었으며, 이들의 원활한 수학을 위해 外護역할을 맡은 院主·化主·別座·米監·書記·園頭·供司·菜供·負木 등과 內護역할을 맡은 秉法·鍾頭·侍者·看病·知賓·淨桶·淨頭·剃頭·磨糊·奉茶 등의 소임이 조직되어 있었다. 한편 禪院에는 禪主를 중심으로 首座·立繩·維那·侍佛 등의 직임과 외호역할을 맡은 원주·화주·별좌·미감·서기·원두·공사·채공·부목 등의 소임 그리고 내호역할을 맡은 秉法·獻食·司察·時警·侍奉·看病·知賓·淨桶·淨頭·剃頭·磨糊·鍾頭·奉茶 등의 소임이 조직되어 수행하였다.242)

 그리고 염불이 성행하여 1만일 동안 칭명 염불하며 정토왕생을 희구하는 萬日念佛會가 자주 베풀어졌다. 연담유일이 영조 49년(1773)에 열린 蓮池萬日會에 대한 기록을 남긴 것243)이 그 구체적 사례인데, 이 밖에도 건봉사와 망월사 등에서 수차 만일염불회가 개최되었다. 특히 건봉사는 순조와 철종년간 그리고 고종 말년에 이르기까지 세 번이나 만일회가 개최된 대표적인 염불도량이었다.

235)李能和,≪朝鮮佛敎通史≫하(新文館, 1919), 989∼990쪽.

이 자료는 1911년 寺刹令시행에 따라 1912년 各寺本末寺法이 제정되자 제8장 僧規의 行解에 普通科와 專門科를 두고 전문과는 必須科目과 隨意科目으로 나눈 중에 필수과목의 내용이다. 수학기간이나 과목은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서 사미과를 3년으로 하는 경우나 대교과를 3년 6개월로 하는 경우에는 ( ) 안의 과목을 추가하였다(위의 책, 1147∼1149쪽).
236)休靜,≪三老行蹟≫, 碧松堂大師行蹟(≪韓國佛敎全書≫7, 752쪽 하).

그러나 다른 판본에는 이 내용 대신≪도서≫와≪절요≫로 후학들을 지도하였다고 하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되어 있어 이들 기술이 四集을 염두에 두고 빚어진 차이가 아닌가 생각된다(위의 책, 753쪽 纂註).

若導初學 則先以禪源集別行錄 立如實知見 次以禪要語錄 掃除知解之病 而指示活路也(李能和, 위의 책 상, 450쪽은 이를 게재한 것이다).
237)休靜, 앞의 책, 753쪽 상.
238)李 珥,≪栗谷全書≫권 27, 擊蒙要訣 讀書章 4 (≪韓國文集叢刊≫45, 85∼86쪽).
239)覺性,≪釋門喪儀抄≫상·하(≪韓國佛敎全書≫8, 237∼243쪽).
240)彦機,≪鞭羊堂集≫권 2, 經板後跋(≪韓國佛敎全書≫8, 255쪽 중).
241)侯外廬 主編,<中唐華嚴宗和禪宗的唯心主義思想>(≪中國思想通史≫권 4, 北京, 1961).
242)南都泳,<韓國寺院敎育制度>中(≪歷史敎育≫28, 1980), 35∼36쪽 및 63∼64쪽.
243)有一,≪林下錄≫권 3, 蓮池萬日會序(≪韓國佛敎全書≫10, 261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