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5권 조선 후기의 문화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4. 과학과 기술1) 조선 후기의 전통 과학기술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1. 성리학
          • 2) 인물성논쟁의 쟁점과 전개
          • 3) 경학의 심화
          • 4) 의리론의 전개
          • 5) 유기론과 유리론의 대두와 쟁점
        • 2. 양명학
          • 1) 양명학의 이해
        • 3. 천주교의 수용과 전파
          • 1) 천주학과 보유론적 천주신앙
          • 2) 천주신앙 실천과 초기교회의 발전
          • 3) 천주교박해와 지하교회로의 발전
          • 4) 역사적 변인으로서의 조선천주교
        • 4. 불교계의 동향
          • 1) 승단내의 수학경향
          • 5) 국가적 활동
        • 5. 민간신앙
          • 1) 도교·도참신앙
          • 2) 기타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1. 학술의 진흥
          • 3) 규장각의 학술활동
            • (1) 설치와 조직
            • (2) 학술활동
        • 2. 실학의 발전
          • 1) 실학사상의 성립
            • (1) 실학개념의 정립
            • (2) 실학사상의 형성 배경
          • 2) 실학사상의 전개
            • (2) 정치개혁론
            • (3) 대외인식과 역사관의 변화
            • (4) 경제·사회사상의 특성
          • 3) 실학의 연구과정과 성격
            • (1) 연구의 전개과정에 대한 검토
        • 3. 국학의 발달
          • 1) 국어학
          • 2) 언어학
            • (3) 근대국어의 변화
          • 3) 지리학
            • (1) 지리학 발달의 배경
            • (2) 공간관의 변화와 지도학의 발달
            • (3) 지역연구와 계통지리학의 발달
            • (4) 자연지리학의 발달과 환경에 대한 인식
          • 4) 역사학의 발달
          • 5) 백과전서학의 발달
        • 4. 과학과 기술
          • 1) 조선 후기의 전통 과학기술
          • 2) 실제 과학기술의 발달상태
          • 3) 근대 과학기술의 수용-실학과 과학기술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1. 문학
          • 1) 국문시가와 한시
            • (1) 시조
            • (2) 가사
          • 2) 서사문학
            • (1) 한문소설
            • (2) 국문소설
        • 2. 미술
          • 1) 회화
            • (2) 새로운 화법의 수용과 전개
          • 2) 서예
          • 3) 조각
            • (1) 홍성기의 조각
          • 4) 공예
            • (1) 도자공예
            • (2) 목칠공예
          • 5) 건축
        • 3. 음악
          • 1) 궁중음악의 변천과 새 경향
          • 2) 민속악과 민간풍류의 새로운 전통
            • (1) 성악의 발전
            • (2) 기악의 발전
          • 3) 악조와 음악양식 및 기보법
            • (3) 악보와 기보법의 변천
        • 4. 무용·체육 및 연극
          • 1) 무용
            • (1) 궁중무
            • (3) 민속무
          • 2) 체육
            • (1) 편사
          • 3) 연극
            • (1) 산대나희
            • (4) 민속극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과거와 자격시험

 과학기술 관련기관과 과학자·기술자의 차별화과정은 그들의 교육과 천거과정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이 땅에 과거제도가 정식으로 도입되어 정착한 것은 고려 초기부터의 일이었다. 고려 광종 9년(958)에 중국에서 귀화한 雙冀가 처음으로 시험관이 되어 進士 2명, 明經 3명, 卜業 2명을 선발한 것이 과거제도에 의한 첫 선발이었던 것이다. 고려 초의 과거제에는 진사·명경 이외에 잡과로 7가지 전문분야가 있었는데, 그 가운데 卜業·醫業·明算은 과학기술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목종 11년(1008)까지의 과거합격자 가운데 28명이 이 분야 합격자인데 복업 6명, 의업 7명, 명산 15명 등이었다. 같은 기간 동안 진사 235명과 명경 99명의 합격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지만, 과학기술분야도 과거제도의 한 부분을 차지하였다는 것이 인정된다.585)

 그러나 이런 관행은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고려 중기 이후에는 이미 잡과는 과거제도의 일부에서 분리되어 각 관련기관에서 시험을 관장하도록 바뀌어 갔다. 그리고 이런 형식은 그대로 조선시대에 계승되었다. 오늘로 치면 천문학·의학·수학 등이 포함되는 당시의 雜學은 유교가 굳게 자리잡기까지는 그렇게 박대받은 것만은 아니었다. 따라서 조선 초까지는 잡학을 연구하는 양반학자들이 제법 많았고, 세종 때에 천문학과 의학 등에 크게 업적을 남긴 학자들은 대개 사대부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러면서도 잡학이 사대부가 종사해야 할 본령이 아니라는 의식은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었다. 따라서 잡과는 조선시대에도 고려 중기 이후의 예를 따라서 관련기관이 직접 시험을 담당하는 방식을 취했다.

 잡학은 중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잡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제대로 양반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이론이 점차 자리잡게 된 것은 조선 초의 일이었다. 예를 들면 성종 24년(1493) 예조판서 成俔은 관상감·사역원·전의감·혜민서 등의 관원을 양반층에서 제외한다는 당시의 결정에 반대하고 나선 일이 있었다. 이 논의에서 임금은 성현의 의견을 존중하여 잡과에 대한 대우를 전과 같이할 것을 명령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런 논의가 거듭되어 오는 동안 이미 잡과에 대한 차별대우가 자리잡고 있었다는 사실을 거꾸로 증명해 주는 사건으로 보인다.

 ≪經國大典≫에 의하면 과거에는 문과·무과 이외에 잡과를 인정하고, 그 안에 譯科·醫科·陰陽科·律科의 네 분야를 정해 놓고 있다. 잡과는 3년에 한 번씩 열리는 式年試와 增廣試에서만 시행되고, 문과·무과와는 달리 잡과는 해당 관아에서 직접 그 시험을 담당하게 되어 있었다. 과학기술분야에서 과거제도에 직접 편입되어 있는 분야는 위의 의과와 음양뿐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밖에도 다른 잡학분야의 取才가 각 담당관서에서 시행되었는데, 그들 후보자에 대한 교육도 함께 그 기관에서 담당했음은 물론이다. 여하튼 이들 잡학분야의 시험은 1년에 4회 실시되어 각 기관에서 교육한 학생들 가운데 합격자를 선발했는데, 그 학생정원은 의학의 수백명을 제외하면, 관상감이 45명, 호조가 算學 15명으로 되어 있었다. 의학생의 수는 서울 80명(전의감 50, 혜민서 30)과 지방관서에 수백명이 배속되었고, 관상감의 학생 45명은 각각 천문학 20명, 지리학 15명, 명과학 10명으로 구성되었다.

 지금 남아 있는 이 잡과시험의 합격자 명단으로는≪醫科榜目≫·≪譯科榜目≫·≪籌學入格案≫등이 있는데, 이들 기록은 연산군 4년(1498)을 거슬러 오르지 못한다. 연산군시대 이후 언젠가 처음으로 이런 합격자 명단을 만들 때의 사람들이 그들의 과거를 거슬러 오르는데 대체로 15세기 말을 그 상한선으로 알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바로 이 때쯤부터 그들 사이의 강한 동류의식이 형성되었음을 증언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우리 나라의 중인층은 15세기 말부터 양반층과는 다른 그 아래 신분층으로 확고하게 자리잡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과거의 일부로 인정되고 있던 잡과 가운데 두 분야의 경우만 살펴보더라도 의과와 음양과의 교육이 아주 고도의 전문교육만으로 일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유교사회에서의 지도자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바로 폭넓은 인문학적 교양 그것이었다. 이런 뜻에서는 전의감과 관상감을 중심으로 벌어진 과학교육이란 전문과목으로만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런 사실 때문에 과학자들은 양반과 같은 계층으로 인정받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들을 중인이라는 양반 아래층을 구성하는 신분으로 인정한 것은 자연스런 일이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중인층은 고도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기 마련이었다. 다만 그들에게 주어진 교육이 유교정신이 높이 평가하는 그런 교양주의적 교육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정식 사대부로는 여겨질 수 없었을 따름이다. 그러나 실제 생산기술을 담당하는 대부분의 기술·기능분야에서는 제대로 된 교육이란 있을 수 없었고, 바로 이런 차이 때문에 실제의 생산기술·기능자들에게는 중인보다도 낮은 신분이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경국대전≫공전에는 수많은 匠人의 종류가 나열되어 있다. 아직 기계공업이 없던 조선시대에는 거의 대부분의 공업생산은 수공업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고, 이 수공업은 서울의 여러 관아에서 일하는 京工匠과 서울 밖의 지방관아에서 일하는 外工匠으로 나눌 수 있었다.≪경국대전≫에 의하면 이들은 약 130종으로 분류할 수 있고, 경공장이 2,800명, 외공장이 약 3,800명 정도였다. 예를 들면 인쇄를 담당한 校書館에는 均字匠·印出匠·刻字匠·鑄匠·彫刻匠·冶匠·紙匠·木匠 등 기능자들이 모두 102명 배치되었다.

 이들 工匠은 조선시대 수공업생산을 도맡은 대단히 중요한 인력이었지만, 이들은 어느 방법에서도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했고, 또 이들의 기능과 기술을 검정할 시험이란 있을 수 없었다. 또 사회계층 가운데 이들 공장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란 가장 낮은 것이었다. 명목상 공장은 천인들이 대부분이었고, 양인도 공장이 될 수 있었지만, 어떤 경우건 이들에 대한 사회적 대우는 가장 낮았다.

 오늘날과 같은 의미의 과학기술교육이란 있을 수 없는 일이었지만, 조선시대의 과학교육은 관상감과 전의감에서의 교육과 취재가 가장 잘 제도화된 경우이고, 실제 생산기술 담당자들인 공장에 대해서는 전혀 제도화된 교육이란 없었던 것이다.

585)朴星來,<朝鮮儒敎社會의 中人 技術敎育>(≪大東文化硏究≫17, 1983).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