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2. 반일투쟁의 전개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1. 청의 간섭
          • 1) 청의 주차관 임명
          • 2) 청의 외교 및 내정간섭
          • 3) 청의 경제이권 확장
          • 4) 경제적 영향
        • 2. 조선의 대외관계
          • 1) 조·일관계
          • 2) 조·미관계
          • 3) 조·러관계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1. 통치기구의 재정비
        • 2. 민씨척족정권의 시정
        • 3. 독립외교의 추진
        • 4. 개화정책의 추진과 좌절
        • 5. 외국인 고문의 고빙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1. 개항 후의 국제무역
          • 1) 불평등조약 체계의 성립
            • (1) 일본에 의한 개항과 무관세무역
            • (2) 청의 속방화정책과 불평등조약체계의 성립
          • 2) 국제무역의 추이(1876∼1894)
            • (1) 개항 이전의 국제무역
            • (2) 일본의 독점무역기(1876∼1882)
            • (3) 청·일 경쟁무역기(1883∼1894)
              • 가. 청의 해관 주도와 일본 제일은행의 침투
              • 나. 국제무역의 확대
          • 3) 외국 상인의 침투와 조선 상인층의 대응
            • (1) 일본 독점무역기(1876∼1882)
            • (2) 청·일 경쟁무역기(1883∼1894)
              • 가. 청국상인의 침투
              • 나. 일본상인의 침투 확대
              • 다. 구미상인의 침투
            • (3) 조선상인층의 대응과 변모
              • 가. 조선정부의 상업정책과 객주상회소·상회사의 설립
              • 나. 외국상인 점포 철수운동
        • 2. 국내적 상품유통의 변동
        • 3. 방곡령실시의 사례와 원인
          • 1) 제1기(1876∼1884)
          • 2) 제2기(1884∼1894)
          • 3) 제3기(1895∼1904)
        • 4. 사회신분제의 동요
          • 1) 노비제의 변화
            • (1) 제도적 변화
            • (2) 노비 호구의 변화
          • 2) 중간신분층의 동향
          • 3) 양반 신분의 동향
            • (1) 양반 호구의 변화
            • (2) 양반 신분의 동요와 분화
        • 5. 개항기 지주제와 농업경영
          • 1) 개항 후 농업변동의 요인
            • (1) 통상무역의 확대와 농촌사회
            • (2) 정부 지배층의 농업문제 인식과 농업정책
          • 2) 지주제의 유형과 동향
          • 3) 농업생산과 지대의 변화
          • 4) 1894년 이후 지주제 전망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1. 동학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 1) 개항 이후 미곡수출의 증대와 지주경영의 강화
          • 2) 일·청상의 침투와 제국주의적 상품유통구조의 창출
          • 3) 부세운영의 변화와 농민몰락의 심화
          • 4) 향촌사회의 변동과 농민항쟁의 고양
        • 2. 동학교조 신원운동
          • 1) 동학교단의 조직과 운영
          • 2) 교조신원운동의 전개
            • (1) 공주취회
            • (2) 삼례취회
            • (3) 광화문복소와 척왜양방문 게시운동
            • (4) 보은취회와 금구취당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1. 동학농민군의 봉기
          • 1) 고부민란
            • (1) 고부민란의 배경
            • (2) ‘사발통문’ 거사계획
            • (3) 고부민란의 전개
            • (4) 관권의 대응
            • (5) 고부민란의 농민전쟁으로의 발전
          • 2) 전봉준의 기병과 격문
            • (1) 무장기포
            • (2) 고부점령
            • (3) 백산대회
        • 2. 동학농민군의 격전
          • 1) 관군의 남하와 황토현·장성전투
            • (1) 농민군의 진군과 감영군의 출동
            • (2) 황토현전투
            • (3) 경군의 남하와 농민군의 남행
            • (4) 장성전투
          • 2) 전주성의 점령과 화약
            • (1) 전주성 점령
            • (2) 완산전투
            • (3) 전주화약
        • 3. 동학농민군의 폐정개혁 요구
          • 1) 조세수취체제에 대하여
            • (1) 조세수취제도 전반에 관하여
            • (2) 전정에 관한 요구조항
            • (3) 군정에 관한 요구조항
            • (4) 환곡에 관한 요구조항
            • (5) 잡세·잡역에 관한 요구조항
            • (6) 전운영에 관한 조항
            • (7) 탐관오리에 관한 요구조항
          • 2) 무역·상업 문제에 대하여
            • (1) 일본의 경제적 침투에 대하여
            • (2) 국내상업문제에 대하여
          • 3) 기타 정치적 요구조항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1. 집강소의 설치
          • 1) 휴전과 집강소의 설치(5월 8일∼6월 15일경)
          • 2) 집강소 설치의 전면화(6월 15일경∼7월 5일)
          • 3) 집강소의 공인 (7월 6일∼10월)
        • 2. 집강소의 구성과 조직
        • 3. 집강소의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1. 동학농민군의 재기
          • 1) 남접농민군의 재기
          • 2) 북접농민군의 기포
        • 2. 반일투쟁의 전개
          • 1) 반일투쟁의 발발
          • 2) 남·북접 연합과 봉기의 확산
          • 3) 관군 및 일본군의 남하
          • 4) 농민군의 북상과 공주전투
          • 5) 항일연합전선의 추진
          • 6) 농민군의 후퇴와 농민전쟁의 좌절
        • 3. 동학농민전쟁의 역사적 의의
          • 1) 결합의 유대
          • 2) 경제적 지향
          • 3) 국가·민족·국민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남·북접 연합과 봉기의 확산

 전봉준의 재기포 결정이 북접과의 합의하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지만,1087) 전봉준은 北接과의 연합을 이끌어 내기 위해 북접에 함께 기포할 것을 요청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동학교단측의 영향을 강하게 받던 충청도 지역에서도 이미 1894년 3월 20일의 茂長起包를 전후한 시기부터 동학교도들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된 바 있다. 5월, 6월에 들어 민보군의 활동과 관군의 반격, 교단지도부의 기포 금지지시 등으로 소강상태를 맞았으나, 7월 초부터는 사실상 기포단계에 들어갈 만큼 다시금 활발해졌고, 곳곳에서 교단측의 태도에 반발하는 지도자들이 나타났다. 7월부터 다시 농민군의 활동이 활발해진 데는 충청도가 조선 왕조정부의 요청을 받고 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출병한 청나라 군대가 상륙한 곳으로 청일전쟁의 최초의 전장이었다는 사실과 깊은 관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충청도 농민군은 각지에서 양반가를 공격하는 등 雪憤行爲를 하거나 일부지역에서는 농민군집강소를 설치하고 개혁활동을 시도하는 한편 ‘斥化擧義’를 주장하는 등 반일구호를 본격적으로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7월 이후 전개된 충청지역 농민군의 활동은 중앙정국과 청일전쟁의 동향을 살피며 기본적으로는 관민상화의 질서 속에서 개혁활동을 추진하고자 하였던 전라도 지역 농민군의 활동양상과는 대조되는 것이다. 조정에서는 7월 9일 鄭敬源을 湖西宣撫使에 임명하여 호서지역을 순행하며 농민군을 귀화시키도록 하였다. 이에 대해 동학교단은 충청각지의 접주급 인물을 집강으로 임명하여 교도들의 기포와 설분행위를 금단하는 등 조정의 대책에 호응하였다.1088)

 7, 8월에 걸쳐 교도들에게 官令에 복종하고 교도 가운데 侵勒하거나 掘塚, 錢財 강탈 등을 자행하는 자가 있으면 교단에 알리거나 관에 고발토록 하는 내용이 포함된 通諭文을 잇따라 내렸다.1089)

 교단측이 농민군의 봉기를 금압한 것은 관군으로부터 무차별적인 탄압을 받아야 했던 교도들이나 기포를 주장하는 접주들로부터 반발을 야기하였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충청지역의 농민군이 남접에 호응하여 전면적으로 기포하는 데 커다란 제약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전봉준과 서장옥은 재기포를 결심한 뒤 북접에도 함께 기포할 것을 요청하였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북접의 통유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북접은 9월에도 전봉준과 徐璋玉이 “倡義를 빙자하여 평민을 침학하고 도인을 죽이는 것이 끝이 없다”고 비난하며, 남접을 토벌하라는 통유문을 돌린 바 있다.1090) 또 같은 9월에 관청과 일본군병참소에까지 전봉준과 서장옥이 “북접을 끼고 때를 틈타 함께 일어나려 했지만, 북접은 스승의 훈계를 각별히 따라 굳게 거절하고 따르지 않았다”라고 하며 북접을 남접과 차별화하고자 하는 글을 보냈다.1091)

 전봉준 등의 기포 동참요청에 대해 북접에서는 “남접을 토벌하라”는 극언까지 불사하며 반대하였으나, 이미 7월, 8월에 걸쳐 충청도와 경상도 등지에서는 교단의 지시를 무시하고 기포하는 동학교도가 점증하였고, 사실상 기포상태나 마찬가지일 정도로 농민군의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북접 산하의 접주들이나 농민군들이 이미 교단의 통제 밖에 있었음을 보여 준다. 또 측근들마저 동학교도들이 무고하게 살상당하는 참상을 보고하자, 드디어 9월 18일 崔時亨은 각포의 접주들을 청산에 불러 모으고 “교도들을 동원하여 전봉준과 협력하여”1092) “先師의 宿寃을 快伸하고 宗國의 急難에 同赴” 할 것을 지시하였다.1093) 함께 기포하자는 전봉준의 요청을 받아들인 것이다. 이에 따라 북접에서도 法所와 都所를 倡義所로 개칭하였으며, “우리 접주들은 힘을 합하여 倭賊을 쳐야겠다”는 통문을 돌리고 반일항쟁에 동참하게 된다.1094) 북접은 산하 각 지역에 기포령을 내렸으며, 이 무렵부터 각지에서 농민군들이 본격적인 기포를 시작하였다.

 영동지역에서는 일본군이 대구에 들어오고, 성환전투에서 청나라가 일본에 패하였다는 소문이 난 다음인 7월 12일 무렵부터 활동하고 있던 농민군이 9월 26일 정식으로 기포하였다.1095) 홍주·예산·서산·태안 등지에서도 이미 7월 초순부터 농민군들이 사방에서 일어나 활동하고 있었으며,1096) 홍주목사 이승우의 농민군 진압에 대응하여 대대적인 기포준비를 하고 있다가 9월 30일 북접으로부터 기포령이 떨어진 이후에 정식으로 기포하였다.1097)

 충청도와 마찬가지로 북접 영향하에 있던 경상도 지역에서도 지역에 따라서는 이미 3월 말부터 동학교도들의 활동이 활발해졌으며, 일본군의 경복궁 강점이 알려진 6월 말부터 활동이 격화되었다. 이어 8월에는 성주·예천 등지에서 농민군이 읍내를 공격하는 사실상의 기포가 이루어졌으며, 일본을 적대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병참대의 일본군과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1098) 김산지역 역시 3월 말부터 지주양반층은 농민군들로부터 시달림을 받고 있었으며 농민군은 8월 초부터는 곳곳에 모여 반관·반부민투쟁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었으나, 9월 25일 교단으로부터 기포하라는 통문이 도착하자 정식으로 기포하였다.1099)

 이에 따라 9월 하순이 되면 義兵이라 칭하며 국왕의 명에 항거하는 농민군의 봉기가 전라도와 충청도, 경상도 뿐만 아니라 강원도와 경기도, 황해도 등으로 확산되었고 평안도에서도 반일투쟁 양상이 전개되었다.1100)

1087)<全琫準供草>, 343쪽.
1088)배항섭,<충청지역 동학농민군의 동향과 동학교단-≪洪陽紀事≫와≪錦藩集略≫을 중심으로->(≪百濟文化≫23, 1994);<충청도지역 東學農民戰爭과 農民軍指導部의 성격>(≪동학농민전쟁과 농민군 지도부의 성격≫, 서경출판사, 1997), 44∼50쪽 참조.
1089)<天道敎會史草稿>(≪東學思想資料集≫壹), 458∼460쪽.
1090)<天道敎會史草稿>(≪東學思想資料集≫壹), 461쪽.
1091)<侍天敎歷史>(≪東學思想資料集≫參), 625쪽.
1092)<天道敎創建史>(≪東學思想資料集≫貳), 155쪽.
1093)<天道敎會史草稿>, 461쪽.
1094)≪駐韓日本公使館記錄≫1, 173쪽.
1095)<記聞錄>(≪東學農民戰爭史料叢書≫11), 554∼564쪽.
1096)<洪陽紀事>(≪東學農民戰爭史料叢書≫9), 96쪽.
1097)<昌山后人 曺錫憲歷史>(≪東學農民戰爭史料叢書≫10), 130∼132쪽.
1098)申榮祐,≪甲午農民戰爭과 嶺南保守勢力의 對應≫(延世大 博士學位論文, 1991), 59∼91쪽 및 이 글의 주 57)참조.
1099)<歲藏年錄>(≪東學農民戰爭史料叢書≫2), 256∼260쪽.
1100)≪日省錄≫, 고종 31년 9월 24일∼26일;<甲午實記>,≪東學亂記錄≫上, 35쪽. 각 지역별 농민군의 활동에 대한 최근의 연구로는 한국역사연구회,≪1894년 농민전쟁연구≫4, 1995 참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