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5권 신문화 운동Ⅰ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2. 한국어 연구2) 초기의 국문 연구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1)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교육 수용론 대두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 (4) 변법개화파의 국민교육론 전개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의 성립
            • (1) 교육제도와 관리등용제도의 개혁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 정립
        • 2. 근대 교육의 발전
          • 1) 근대 교육의 이념
            • (1) 실용주의 교육 지향
            • (2) 자강주의 교육
              • 가. 국가자강주의
              • 나. 국민자강주의
              • 다. 민족자강주의
          • 2) 근대 학교의 설립
            • 가. 정부의 근대학교 설립
            • 나. 전·현직관료 및 황제 측근세력들의 사립학교 설립
            • 다. 개항장 상인 및 유지 신사들의 사립학교 설립
            • 라. 요호·부민·유생 층의 학교 설립
            • 마. 선교사들의 학교 설립
            • 바. 구국계몽단체·학회 및 관련인사들의 학교 설립
            • 사. 불교와 천도교 종단의 사립학교 설립
          • 3) 근대 학교의 교육내용
        • 3. 근대 교육의 확대
          • 1) 통감부의 교육 침략
            • (1) 우민화교육 방침
            • (2) 동화정책의 방법으로서의 보통학교 확장
            • (3) 일본어 보급
            • (4) 교과를 통한 친일교육
            • (5) 일본인 교원배치
          • 2) 민족사학의 발전과 설립 이념
            • (1) 민족사학의 발전
              • 가. 사인 중심의 사학발전
              • 나. 학회중심의 사학 발전
            • (2) 민족사학의 설립이념
          • 3) 여자 교육의 발전
            • (1) 미션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2) 관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3) 민간인 사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4) 고등교육의 성립
            • (1) 민립대학의 설치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가. 민립대학의 설치운동
              • 나. 식민지 통제를 위한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2) 기독교계 전문학교의 대학승격운동
              • 가. 이화학당의 연합기독교여자대학안
              • 나. 연희전문학교 중심의 종합대학안
          • 5) 교육내용의 추이
            • (1) 애국교과와 훈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2) 창가와 체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4. 교육구국운동의 추진
          • 1) 근대 교육의 성격
            • (1) 근대 교육의 성격
            • (2) 근대 민족 교육의 확대
          • 2) 구국교육운동의 실태
            • (1) 사립학교의 설립
            • (2) 설학취지문의 검토
            • (3) 간도지역의 민족교육운동
            • (4) 역사교육의 확대
            • (5) 체육교육의 보급과 운동회의 개최
            • (6) 애국가와 독립가의 보급
        • 5. 근대적 교과서의 편찬
          • 1) 근대 교육 성립기의 교과서
          • 2) 근대 교육의 발전과 교과서
            • (1) 근대학교의 교육내용<교과목>
            • (2) 정부의 교과서 편찬
            • (3) 민간인에 의한 교과서 편찬과 실태
            • (4) 교과서의 내용
          • 3) 통감부하의 교과서
            • (1) 일제의 교육침략정책
            • (2) 학제의 개편
            • (3) 통감부의 교과서 통제
              • 가. 통감부의 교과서 편찬 방향
              • 나. 교과서사용규정의 제정
              • 다. 교과용도서검정의 실시
              • 라. 교과서검정의 성격과 교과서검정의 실태
            • (4) 구국교육운동과 민간의 교과서 편찬
            • (5) 교과서의 실태
            • (6) 교과서 사용 실태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1. 근대 학문의 수용
          • 1) 서양 근대 학문의 세 수용통로
          • 2) 서양철학의 수용
          • 3) 사회진화론의 수용
          • 4) 사회과학의 수용
          • 5) 서양 인문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 2. 한국어 연구
          • 1) 언문일치의 첫걸음
            • (1) 두 문체의 대립
            • (2) 국한문체
            • (3) 국문체
          • 2) 초기의 국문 연구
            •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 (2) 리(이)봉운의≪국문졍리≫(국문정리)
            • (3) 주시경의<국문론>과 그 뒤의 연구
            • (4) 이능화의<국문일정의견>
          • 3) 국문연구소의 업적
            • (1) 국문연구소에 관한 자료
            • (2) 개설의 동기와 목적
            • (3) 직원과 운영
            • (4) 사업의 경과
            • (5)<국문연구 의정안>
            • (6) 각 위원의 연구안
          • 4) 문법의 연구
            • (1) 서양인의 연구
            • (2) 유길준의≪대한문전≫
            • (3) 주시경의≪국어문법≫
            • (4) 어윤적의 연구
            • (5) 김희상의≪초등국어어전≫
          • 5) 주시경의 국어 연구
        • 3. 한국사 연구
          • 1) 연구의 필요성
          •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 3) 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1)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침투
            • (2) 근대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1. 근대 문학의 발전
          • 1) 개화기의 시대적 과제와 문체, 문학장르의 관련
            • (1) 위정척사파
            • (2) 온건보수파
            • (3) 개화자강파
            • (4) 일본체험파
            • (5) 민중계몽파
            • (6) 친기독교 개화파
          • 2) 개화기의 시가 장르
            • (1) 애국·독립가
            • (2) ‘사회등’ 가사를 비롯한 우국가
            • (3) 민요 개작
            • (4) 개화기의 시조와 가사
            • (5) 신체시
          • 3) 개화기의 서사 장르
            • (1) 신소설
              • 가. ‘신소설’이란 명칭과 그 개념
              • 나. 신소설의 정신적 바탕과 소설 미학
              • 다. 신소설의 중요 작가와 작품
            • (2) 역사·전기 소설
            • (3) 토론체 소설
        • 2. 근대 예술의 발전
          • 1) 음악
            • (1) 한국음악사회 구성
            • (2) 근대음악사의 전개
              • 가. 제1기
              • 나. 제2기
              • 다. 제3기
              • 라. 제4기
            • (3) 새로운 과제
          • 2) 미술
          • 3) 연극과 영화
          • 4) 무용
            • (1) 무도의 등장
            • (2) 권번춤의 무대화와 가무극의 번성
          • 5) 체육
            • (1) 학교체육의 전개양상
              • 가. 제1기:근대체육의 태동기(1876∼1884)
              • 나. 제2기:근대체육의 수용기(1885∼1904)
              • 다. 제3기:근대체육의 정립기(1905∼1910)
            • (2) 근대 스포츠의 소개
              • 가. 육상경기
              • 나. 축구
              • 다. 야구
              • 라. 농구
              • 마. 테니스
              • 바. 수영
              • 사. 빙상
              • 아. 사이클
              • 자. 골프
            • (3) 체육단체 결성
              • 가. 대한체육구락부
              • 나. 황성기독청년회 운동부
              • 다. 대한국민체육회
              • 라. 대동체육구락부
              • 마. 대한흥학회 운동부
              • 바. 소년광창체육회
              • 사. 체조연구회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초기의 국문 연구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池錫永은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牛痘를 실시한 의학자로 널리 알려졌으나 일찍부터 국문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1896년 11월에<국문론>을 발표했는데,355) 이것은 이 방면의 최초의 글이었다. 특히 이 글 첫머리에서 “우리 나라 사람은 말을 하되 분명히 기록할 수 없고 국문이 있으되 전일하게 하지 못하여” 이것을 개선할 필요성을 역설한 것은 앞으로 전개될 국문 연구의 시작을 알리는 선언 같은 느낌을 준다. 그러나 그 내용은 음의 고저를 표기해야 한다는 주장을 편 것이다. 이 주장은 그의<大韓國文說>(1905)에 이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국문체계의 통일안을 작성하여 정부에 소청한 것이 재가되어 1905년 7월 19일에 공포를 보게 되었던 것이다. 이것이 유명한<新訂國文>이었다. 이<신정국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ㄱ. 五音象形辨

 국문 初聲字들의 制字原理를 발음기관의 상형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것은 물론 池錫永의 독창적인 학설이 아니요, 오래 전부터 있어온 것이며 姜瑋의≪擬定國文字母分解≫(1869)에도 이런 설명이 보인다. ㄴ. 初中終三聲辨

 崔世珍의≪訓蒙字會≫범례의 체계에 의거한 것이다. 다만 ‘中聲獨用十一字’ 속에 그가 새로 만든 ‘=’자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 ‘ㆍ’자는 제외되었다. 한편≪訓蒙字會≫의 ‘初聲獨用八字’에서 ‘ㅿㆁ’을 빼어 ‘初聲獨用六字’(ㅈㅊㅋㅌㅍㅎ)로 하였다. ㄷ. 合字辨

 이것도≪訓蒙字會≫을 그대로 따른 것으로,≪훈몽자회≫에서는 ‘각’자를 예로 들었는데, 여기서는 ‘강’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 다를 뿐이다. ㄹ. 高低辨

 上聲과 去聲 및 長音에 대해서 글자 오른쪽에 점을 찍도록 규정한 것이다.≪小學諺解≫의 범례에서 암시를 받은 것인데, 이미 우리 나라 사람들이 구별하지 못하는 ‘東’과 ‘動’의 聲調의 차이를 표시하려 한 것은 지나친 일이었으나, ‘눈’[雪]과 ‘눈’[眼]의 차이를 구별하려 한 것은 좋은 착안이었다. ㅁ. 疊音刪正辨

 ‘ㆍ’를 없앰으로써 당연히 ‘…’ 등 14자가 없어짐을 확인한 것이다. ㅂ. 重聲釐正辨

 된소리의 표기를 관습대로 ‘ㅺ ㅼ ㅽ ㅾ’와 같이 된시옷으로 할 것을 규정한 것이다. 개화기에는 일반적으로 된소리는 ‘ㄲ ㄸ ㅃ ㅆ ㅉ’로 표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유력했는데(姜瑋·李鳳雲·周時經) 池錫永은 이것을 따르지 않았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신정국문>은 국문체계의 개혁안이라고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매우 보수적인 것이었다. 받침으로 8자만을 사용할 것과 된소리 표기에 된시옷을 사용할 것을 규정한 것은 그 대표적인 것이다. 개혁이라고 한다면 ‘ㆍ’를 없애고 ‘=’를 새로 만든 것뿐이다. 이것은 ‘ㆍ’는 ‘ㅣㅡ’의 合音이라는 주시경의 주장의 영향을 받은 것인데, ‘ㆍ’를 없앤 것은 주시경의 뜻과 같지만 ‘ㅣㅡ’ 합음을 나타내는 ‘=’를 새로 만든 것은 그의 뜻과 어긋난 것이었다. 말하자면<신정국문>은 정작 개혁해야 할 것은 아니하고, 엉뚱하게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 당시의 식자들 사이에 큰 물의를 일으키게 했던 것이다.

 이<신정국문>은 개화기에 있어서 국문체계의 재확립을 위한 최초의 공적 노력으로서 하나의 역사적 사건임에 틀림없다. 그리하여 그 시행을 위한 노력도 상당히 있었던 흔적이 엿보이나,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위에서도 지적했듯이 새로 만든 ‘=’자가 큰 불씨가 되었을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만족할 만한 체계가 제시되어 있지 못하였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의 힘을 합하여 새로운 국문체계의 확립을 위한 노력을 하게 하는 하나의 계기를 마련한 것은<신정국문>이 가져온 뜻밖의 소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즉 학부에 국문연구소가 설치된 것은 이<신정국문>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355)≪대죠션독립협회보≫1권 1호, 1896년 11월.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