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5권 신문화 운동Ⅰ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2. 한국어 연구1) 언문일치의 첫걸음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1)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교육 수용론 대두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 (4) 변법개화파의 국민교육론 전개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의 성립
            • (1) 교육제도와 관리등용제도의 개혁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 정립
        • 2. 근대 교육의 발전
          • 1) 근대 교육의 이념
            • (1) 실용주의 교육 지향
            • (2) 자강주의 교육
              • 가. 국가자강주의
              • 나. 국민자강주의
              • 다. 민족자강주의
          • 2) 근대 학교의 설립
            • 가. 정부의 근대학교 설립
            • 나. 전·현직관료 및 황제 측근세력들의 사립학교 설립
            • 다. 개항장 상인 및 유지 신사들의 사립학교 설립
            • 라. 요호·부민·유생 층의 학교 설립
            • 마. 선교사들의 학교 설립
            • 바. 구국계몽단체·학회 및 관련인사들의 학교 설립
            • 사. 불교와 천도교 종단의 사립학교 설립
          • 3) 근대 학교의 교육내용
        • 3. 근대 교육의 확대
          • 1) 통감부의 교육 침략
            • (1) 우민화교육 방침
            • (2) 동화정책의 방법으로서의 보통학교 확장
            • (3) 일본어 보급
            • (4) 교과를 통한 친일교육
            • (5) 일본인 교원배치
          • 2) 민족사학의 발전과 설립 이념
            • (1) 민족사학의 발전
              • 가. 사인 중심의 사학발전
              • 나. 학회중심의 사학 발전
            • (2) 민족사학의 설립이념
          • 3) 여자 교육의 발전
            • (1) 미션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2) 관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3) 민간인 사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4) 고등교육의 성립
            • (1) 민립대학의 설치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가. 민립대학의 설치운동
              • 나. 식민지 통제를 위한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2) 기독교계 전문학교의 대학승격운동
              • 가. 이화학당의 연합기독교여자대학안
              • 나. 연희전문학교 중심의 종합대학안
          • 5) 교육내용의 추이
            • (1) 애국교과와 훈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2) 창가와 체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4. 교육구국운동의 추진
          • 1) 근대 교육의 성격
            • (1) 근대 교육의 성격
            • (2) 근대 민족 교육의 확대
          • 2) 구국교육운동의 실태
            • (1) 사립학교의 설립
            • (2) 설학취지문의 검토
            • (3) 간도지역의 민족교육운동
            • (4) 역사교육의 확대
            • (5) 체육교육의 보급과 운동회의 개최
            • (6) 애국가와 독립가의 보급
        • 5. 근대적 교과서의 편찬
          • 1) 근대 교육 성립기의 교과서
          • 2) 근대 교육의 발전과 교과서
            • (1) 근대학교의 교육내용<교과목>
            • (2) 정부의 교과서 편찬
            • (3) 민간인에 의한 교과서 편찬과 실태
            • (4) 교과서의 내용
          • 3) 통감부하의 교과서
            • (1) 일제의 교육침략정책
            • (2) 학제의 개편
            • (3) 통감부의 교과서 통제
              • 가. 통감부의 교과서 편찬 방향
              • 나. 교과서사용규정의 제정
              • 다. 교과용도서검정의 실시
              • 라. 교과서검정의 성격과 교과서검정의 실태
            • (4) 구국교육운동과 민간의 교과서 편찬
            • (5) 교과서의 실태
            • (6) 교과서 사용 실태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1. 근대 학문의 수용
          • 1) 서양 근대 학문의 세 수용통로
          • 2) 서양철학의 수용
          • 3) 사회진화론의 수용
          • 4) 사회과학의 수용
          • 5) 서양 인문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 2. 한국어 연구
          • 1) 언문일치의 첫걸음
            • (1) 두 문체의 대립
            • (2) 국한문체
            • (3) 국문체
          • 2) 초기의 국문 연구
            •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 (2) 리(이)봉운의≪국문졍리≫(국문정리)
            • (3) 주시경의<국문론>과 그 뒤의 연구
            • (4) 이능화의<국문일정의견>
          • 3) 국문연구소의 업적
            • (1) 국문연구소에 관한 자료
            • (2) 개설의 동기와 목적
            • (3) 직원과 운영
            • (4) 사업의 경과
            • (5)<국문연구 의정안>
            • (6) 각 위원의 연구안
          • 4) 문법의 연구
            • (1) 서양인의 연구
            • (2) 유길준의≪대한문전≫
            • (3) 주시경의≪국어문법≫
            • (4) 어윤적의 연구
            • (5) 김희상의≪초등국어어전≫
          • 5) 주시경의 국어 연구
        • 3. 한국사 연구
          • 1) 연구의 필요성
          •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 3) 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1)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침투
            • (2) 근대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1. 근대 문학의 발전
          • 1) 개화기의 시대적 과제와 문체, 문학장르의 관련
            • (1) 위정척사파
            • (2) 온건보수파
            • (3) 개화자강파
            • (4) 일본체험파
            • (5) 민중계몽파
            • (6) 친기독교 개화파
          • 2) 개화기의 시가 장르
            • (1) 애국·독립가
            • (2) ‘사회등’ 가사를 비롯한 우국가
            • (3) 민요 개작
            • (4) 개화기의 시조와 가사
            • (5) 신체시
          • 3) 개화기의 서사 장르
            • (1) 신소설
              • 가. ‘신소설’이란 명칭과 그 개념
              • 나. 신소설의 정신적 바탕과 소설 미학
              • 다. 신소설의 중요 작가와 작품
            • (2) 역사·전기 소설
            • (3) 토론체 소설
        • 2. 근대 예술의 발전
          • 1) 음악
            • (1) 한국음악사회 구성
            • (2) 근대음악사의 전개
              • 가. 제1기
              • 나. 제2기
              • 다. 제3기
              • 라. 제4기
            • (3) 새로운 과제
          • 2) 미술
          • 3) 연극과 영화
          • 4) 무용
            • (1) 무도의 등장
            • (2) 권번춤의 무대화와 가무극의 번성
          • 5) 체육
            • (1) 학교체육의 전개양상
              • 가. 제1기:근대체육의 태동기(1876∼1884)
              • 나. 제2기:근대체육의 수용기(1885∼1904)
              • 다. 제3기:근대체육의 정립기(1905∼1910)
            • (2) 근대 스포츠의 소개
              • 가. 육상경기
              • 나. 축구
              • 다. 야구
              • 라. 농구
              • 마. 테니스
              • 바. 수영
              • 사. 빙상
              • 아. 사이클
              • 자. 골프
            • (3) 체육단체 결성
              • 가. 대한체육구락부
              • 나. 황성기독청년회 운동부
              • 다. 대한국민체육회
              • 라. 대동체육구락부
              • 마. 대한흥학회 운동부
              • 바. 소년광창체육회
              • 사. 체조연구회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3) 국문체

 國文體는 종래의 언문체의 전통을 이은 것이었지만 단순한 계승에 그치지 않고 현저한 발전과 지위 향상이 있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문체의 지위 향상에 가장 공이 큰 것으로 기독교를 들지 않을 수 없다. 개화기 이전에 있어서 언문이 불교에 의해서 많이 보급되어 왔음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었는데, 기독교는 국문체로 성경을 비롯한 많은 책들을 번역하여 적극적인 선교에 힘썼던 것이다.

 우리 나라 최초의 민간지로 건양 원년(1896) 4월 7일에 간행된≪독립신문≫이 국문체를 채택한 것도 기독교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창간호 논설에 “모두 언문으로 쓰기는 남녀 상하 귀천이 모두 보게 함이요 또 귀절을 떼어 쓰기는 알아보기 쉽도록 함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특히 빈칸 띄어쓰기를 한 것은 놀라운 선견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은 이 신문을 창간하였고 줄곧 그 논설을 쓴 徐載弼의 생각이었다. 이보다 앞서 圈點 띄어쓰기를 한 예는 더러 있었으나 빈칸 띄어쓰기는≪독립신문≫이 처음이었다. 서재필은 국어학자는 아니었지만 미국에서 학문을 닦으면서 우리 나라 문자 개혁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독립신문≫간행에 즈음하여 그의 개혁안을 실천에 옮긴 것이었다. 국문에 관한 서재필의 생각은 그 창간호 논설에 분명히 나타나 있거니와,≪독립신문≫2권 92호(1897년 6월 10일)에 실린 그의 논설에서 더욱 분명하게 표명되었다. 이 논설에서 말과 글은 같아야 하는데 이는 국문으로만 달성될 수 있으며 국문의 표준화를 위하여 ‘옥편’ 즉 사전을 만들어야 함을 말하고 빈칸 띄어쓰기를 다시 한번 역설하였다. 이것은 언문일치의 이상을 천명하고 사전 편찬의 필요성을 주장한 첫 글로서 길이 기억될 역사적 문장이다.354)

 ≪독립신문≫에 이어≪일신문≫,≪뎨국신문≫등이 국문체로 발간되어 한때는 신문의 문체가 국문체로 굳어지는 느낌조차 있었다. 그러나 본래 국문체로 발간된≪대한황셩신문≫이 광무 2년(1898)≪皇城新聞≫으로 改題하고 국한문체를 택하게 되면서 신문에 국한문체가 일반화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당시의 지식층의 요구였던 것으로 믿어진다. 이 뒤에도 가령≪大韓每日申報≫가 국한문체로 내면서 따로≪國文報≫를 낸 것은 일반 민중을 위한 것이었으나, 점차 국문체는 신문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우리 나라의 고전문학을 보면 시가에서는 국한문이 주류를 이루어 왔고 소설에서는 국문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이 전통이 개화기에 와서도 그대로 이어졌으나, 부분적이기는 했으나 소설에 국한문이 등장한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예를 들면, 최초의 신소설 작품이라고 일컬어지는 李人稙의≪血의 淚≫는 국한문으로≪萬歲報≫(1906)에 연재되었다(다만 한자에는 한글로 음을 달았다). 우리 나라의 현대소설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20년대 초에도 국한문으로 쓰인 작품이 많이 있었음을 생각할 때, 이 경향도 제법 줄기찬 일면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차츰 국문으로 통일되어 고전문학 이래의 전통이 지켜진 것이다.

 개화기에 있어서 의식적으로 국문체의 확립을 위하여 힘을 기울인 학자는 周時經이었다. 그는 1898년에≪國語文法≫의 초고를 국한문체로 썼었다고 하니(1910년에 이 책을 낼 때에는 국문체로 고쳤으나 미처 못 고친 곳이 더러 있었다), 그의 국문체에 대한 신념은 그 뒤에 생긴 것이라고 해야겠다. 그의 최초의 저서인≪國文講義≫(속 제목은≪대한국어문법≫)는 1906년에 간행되었는데 그<略例>는 한문으로, 발문은 국한문체로, 본문은 국문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1907년에 그가≪西友≫2호에 기고한<국어와 국문의 필요>란 글은 국문체로 되어 있을 뿐 아니라, 내용도 이의 확립을 강조한 것이다. 이로 보아 주시경이 국문체에 대한 신념이 확고하게 된 것은 대체로 1907년경이 아니었던가 한다. 1914년에 간행된≪말의 소리≫는 그의 마지막 저술로서 그 자신이 써서 석판으로 인쇄하였는데, 잘 다듬어진 순수한 국문체로 되어 있다. 그런데 그는 국문체에 만족하지 않고 한걸음 더 나아가 ‘가로쓰기’를 꿈꾸고 있었다. 이 책의 맨 끝 페이지에 ‘가로쓰기’를 한 것이 있으며 더구나 그 내용은 ‘가로쓰기’가 글의 이상임을 명언하고 있다. ‘가로쓰기’에 대한 그의 시안은 이미 1909년에 국문연구소에 제출한 그의 최종<硏究案>에도 나타난다. 이렇게 볼 때 주시경은 문자문제에 있어서 매우 급진적인 이상주의자였음을 알 수 있다.

354)자세한 것은 李基文,<독립신문과 한글 문화>(≪周時經學報≫4, 1989) 참고.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