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5권 신문화 운동Ⅰ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2. 한국어 연구3) 국문연구소의 업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1)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교육 수용론 대두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 (4) 변법개화파의 국민교육론 전개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의 성립
            • (1) 교육제도와 관리등용제도의 개혁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 정립
        • 2. 근대 교육의 발전
          • 1) 근대 교육의 이념
            • (1) 실용주의 교육 지향
            • (2) 자강주의 교육
              • 가. 국가자강주의
              • 나. 국민자강주의
              • 다. 민족자강주의
          • 2) 근대 학교의 설립
            • 가. 정부의 근대학교 설립
            • 나. 전·현직관료 및 황제 측근세력들의 사립학교 설립
            • 다. 개항장 상인 및 유지 신사들의 사립학교 설립
            • 라. 요호·부민·유생 층의 학교 설립
            • 마. 선교사들의 학교 설립
            • 바. 구국계몽단체·학회 및 관련인사들의 학교 설립
            • 사. 불교와 천도교 종단의 사립학교 설립
          • 3) 근대 학교의 교육내용
        • 3. 근대 교육의 확대
          • 1) 통감부의 교육 침략
            • (1) 우민화교육 방침
            • (2) 동화정책의 방법으로서의 보통학교 확장
            • (3) 일본어 보급
            • (4) 교과를 통한 친일교육
            • (5) 일본인 교원배치
          • 2) 민족사학의 발전과 설립 이념
            • (1) 민족사학의 발전
              • 가. 사인 중심의 사학발전
              • 나. 학회중심의 사학 발전
            • (2) 민족사학의 설립이념
          • 3) 여자 교육의 발전
            • (1) 미션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2) 관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3) 민간인 사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4) 고등교육의 성립
            • (1) 민립대학의 설치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가. 민립대학의 설치운동
              • 나. 식민지 통제를 위한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2) 기독교계 전문학교의 대학승격운동
              • 가. 이화학당의 연합기독교여자대학안
              • 나. 연희전문학교 중심의 종합대학안
          • 5) 교육내용의 추이
            • (1) 애국교과와 훈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2) 창가와 체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4. 교육구국운동의 추진
          • 1) 근대 교육의 성격
            • (1) 근대 교육의 성격
            • (2) 근대 민족 교육의 확대
          • 2) 구국교육운동의 실태
            • (1) 사립학교의 설립
            • (2) 설학취지문의 검토
            • (3) 간도지역의 민족교육운동
            • (4) 역사교육의 확대
            • (5) 체육교육의 보급과 운동회의 개최
            • (6) 애국가와 독립가의 보급
        • 5. 근대적 교과서의 편찬
          • 1) 근대 교육 성립기의 교과서
          • 2) 근대 교육의 발전과 교과서
            • (1) 근대학교의 교육내용<교과목>
            • (2) 정부의 교과서 편찬
            • (3) 민간인에 의한 교과서 편찬과 실태
            • (4) 교과서의 내용
          • 3) 통감부하의 교과서
            • (1) 일제의 교육침략정책
            • (2) 학제의 개편
            • (3) 통감부의 교과서 통제
              • 가. 통감부의 교과서 편찬 방향
              • 나. 교과서사용규정의 제정
              • 다. 교과용도서검정의 실시
              • 라. 교과서검정의 성격과 교과서검정의 실태
            • (4) 구국교육운동과 민간의 교과서 편찬
            • (5) 교과서의 실태
            • (6) 교과서 사용 실태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1. 근대 학문의 수용
          • 1) 서양 근대 학문의 세 수용통로
          • 2) 서양철학의 수용
          • 3) 사회진화론의 수용
          • 4) 사회과학의 수용
          • 5) 서양 인문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 2. 한국어 연구
          • 1) 언문일치의 첫걸음
            • (1) 두 문체의 대립
            • (2) 국한문체
            • (3) 국문체
          • 2) 초기의 국문 연구
            •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 (2) 리(이)봉운의≪국문졍리≫(국문정리)
            • (3) 주시경의<국문론>과 그 뒤의 연구
            • (4) 이능화의<국문일정의견>
          • 3) 국문연구소의 업적
            • (1) 국문연구소에 관한 자료
            • (2) 개설의 동기와 목적
            • (3) 직원과 운영
            • (4) 사업의 경과
            • (5)<국문연구 의정안>
            • (6) 각 위원의 연구안
          • 4) 문법의 연구
            • (1) 서양인의 연구
            • (2) 유길준의≪대한문전≫
            • (3) 주시경의≪국어문법≫
            • (4) 어윤적의 연구
            • (5) 김희상의≪초등국어어전≫
          • 5) 주시경의 국어 연구
        • 3. 한국사 연구
          • 1) 연구의 필요성
          •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 3) 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1)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침투
            • (2) 근대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1. 근대 문학의 발전
          • 1) 개화기의 시대적 과제와 문체, 문학장르의 관련
            • (1) 위정척사파
            • (2) 온건보수파
            • (3) 개화자강파
            • (4) 일본체험파
            • (5) 민중계몽파
            • (6) 친기독교 개화파
          • 2) 개화기의 시가 장르
            • (1) 애국·독립가
            • (2) ‘사회등’ 가사를 비롯한 우국가
            • (3) 민요 개작
            • (4) 개화기의 시조와 가사
            • (5) 신체시
          • 3) 개화기의 서사 장르
            • (1) 신소설
              • 가. ‘신소설’이란 명칭과 그 개념
              • 나. 신소설의 정신적 바탕과 소설 미학
              • 다. 신소설의 중요 작가와 작품
            • (2) 역사·전기 소설
            • (3) 토론체 소설
        • 2. 근대 예술의 발전
          • 1) 음악
            • (1) 한국음악사회 구성
            • (2) 근대음악사의 전개
              • 가. 제1기
              • 나. 제2기
              • 다. 제3기
              • 라. 제4기
            • (3) 새로운 과제
          • 2) 미술
          • 3) 연극과 영화
          • 4) 무용
            • (1) 무도의 등장
            • (2) 권번춤의 무대화와 가무극의 번성
          • 5) 체육
            • (1) 학교체육의 전개양상
              • 가. 제1기:근대체육의 태동기(1876∼1884)
              • 나. 제2기:근대체육의 수용기(1885∼1904)
              • 다. 제3기:근대체육의 정립기(1905∼1910)
            • (2) 근대 스포츠의 소개
              • 가. 육상경기
              • 나. 축구
              • 다. 야구
              • 라. 농구
              • 마. 테니스
              • 바. 수영
              • 사. 빙상
              • 아. 사이클
              • 자. 골프
            • (3) 체육단체 결성
              • 가. 대한체육구락부
              • 나. 황성기독청년회 운동부
              • 다. 대한국민체육회
              • 라. 대동체육구락부
              • 마. 대한흥학회 운동부
              • 바. 소년광창체육회
              • 사. 체조연구회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6) 각 위원의 연구안

 위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국문연구소의<보고서>는<국문연구 의정안>과 마지막까지 남은 8위원의 최종 연구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안은<의정안>의 내용을 밑받침하는 기초 자료로서<의정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뿐 아니라, 그 당시의 학자들의 가장 중요한 연구 업적으로 높이 평가되는 것이다. 이 연구안은 ‘國文硏究’라는 표제 밑에 4책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개화기에 있어서 우리 나라 학자들의 연구가 자못 높은 수준에 도달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4책을 검토해 보면, 처음 3책은 어윤적·이능화·주시경 3인의 안이요 나머지 1책이 권보상을 비롯한 5인의 안이다. 처음 3인의 연구안은 분량도 많을 뿐 아니라 그 내용도 훌륭하여 이 시대의 국문연구를 대표하고 있다고 해도 조금도 지나침이 없다.

 여기서 각 위원의 연구안의 내용을 자세하게 소개하는 것은 너무나 번거로운 일이어서 피하기로 하고 각 연구안의 현저한 특징만을 지적해 두기로 한다.

가. 어윤적

 학부 학무국장으로 국문연구소 위원을 겸하고 있었던 어윤적의 학문에 대한 관심은 주로 역사에 있었으나360) 국문에 대해서도 당시로서는 매우 높은 식견을 가지고 있었다. 위의<국문연구 의정안>에 대한 검토에서 우리는 그의 학설이 가장 많이 반영된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국문연구소에 있어서의 그의 영향력이 매우 컸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것은 그가 국문에 대한 자못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실증적 태도로 그의 학설을 세웠으므로 당시의 학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독단이 적었다는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나라 단군시대에 문자가 있었다고 하나 이것은 ‘推想的 空論’에 불과하다고 배척한 점, 훈민정음의 기원에 대해서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훈민정음 서문에서 鄭麟趾가 말한 “象形而字倣古篆”이 가장 믿을 만하며 이 古篆은 곧 梵字라고 하기도 하나 고전은 어디까지나 한자를 말한 것이라고 주장한 점 등이 그의 견실한 학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대한 어윤적의 견해는≪訓民正音≫원본이 발견되기 이전에 있어서 가장 정곡을 얻은 것으로 크게 주목할 만한 것이다. 그는 무릇 문자구조의 원리에는 ‘象形’과 ‘演義’가 있는데 훈민정음에서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ㅇ’, ‘ㅁ’ 등을 만든 것은 상형이요, ‘ㄱ’에 획을 더하여 ‘ㅋ’, ‘ㅅ’을 병서하여 ‘ㅆ’을 만든 것은 연의라고 하였다. 연의란 말은 그가 생각해 낸 것이지만, 위의 설명은≪訓民正音解例≫(制字解)의 설명에 부합하는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그는 ‘ㅇ’이 모든 초성의 근본이요, ‘ㆍ’가 모든 중성의 근본이라고 보았다. 여기서 ‘ㆍ’를 중성의 근본이라고 한 것은≪훈민정음해례≫의 설명과 일치하는 것이며, 초성에 대해서까지 ‘ㅇ’을 근본이라고 본 것은 지나친 것이었다. 그는 훈민정음의 制字를 태극과 음양의 이치로 설명하려 했던 것이다.

 制字上 ‘ㆍ’를 중성의 근본이라고 보는 그의 관점은 ‘ㆍ’가 모든 모음 중에서 가장 자연스럽게 나는 음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하였다. 이 때문에 ‘ㆍ’는 다른 모음들과 혼돈되기 쉽다는 것이다. 이리하여 그는 ‘ㆍ’가 ‘ㅣㅡ’의 합음이라는 주시경의 설을 부정하였으나 ‘ㆍ’자를 폐지하자는 점에 있어서는 주시경과 의견을 같이하게 된 것이다.

 한편 모든 초성을 종성으로도 써야 한다는 주장에 있어서도 어윤적은 주시경과 의견을 같이하였다. 그는 명사, 형용사, 동사 등에 ‘承接詞’(조사 또는 어미)가 붙는 경우 이들의 표기를 항상 고정되게 하려면 ‘ㅈ, ㅊ, ㅋ, ㅌ, ㅍ, ㅎ’과 같은 받침도 써야 한다고 하였다. 이것은 주시경의 설명 방식과는 다르다는 점에서 주목된다(주시경의 설명에 대해서는 뒤에 언급될 것이다). 그의 설명 방식이 오히려 그 뒤 우리 나라에서 일반화된 설명 방식과 일치하는 것이다.

나. 이능화

 법어학교장으로 다방면에 관심을 보여 많은 저서를 낸 이능화는 세계의 언어와 문자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졌으며 국문연구소의 일에 대단한 열성을 보였었다.361)

 그는 훈민정음의 梵字 기원설을 강력히 주장하여 훈민정음과 범자에서 모양이 비슷한 글자들을 예를 들기까지 하였다. 이 주장은 국문연구소 위원들의 찬동을 얻지 못했었다.

 한편 그는 ‘ㆍ’를 없애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강력히 내세웠다. 그는 ‘ㆍ’는 본래 ‘ㅏ’와 혼동되었으나 외국에도 글자는 다르지만 발음은 같은 예가 있으므로 ‘ㆍ’를 없앨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이 밖에도 몇 가지 이유를 들었으나 수긍할 만한 것이 못 된다. 그러나 이 주장이 관철되어<국문연구 의정서>에서 ‘ㆍ’를 없애지 않기로 한 것은 옥의 티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제5제에 대한 이능화의 주장은 매우 독특하였다. 그는 ①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은 ‘常用初終聲字’로, ②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은 ‘活用初終聲字’로, ③ ‘ㆁ ㆆ ㅿ ㅱ ㅸ ㆄ ㅹ ㆅ’ 등은 ‘備考初終聲字’로 나누었다. 확실하지는 않으나 ①은 제한 없이 언제나 쓴다고 한 것을 보면 ②에는 어떤 제한을 생각하고 있었던 것 같다. 이 밖에도 그의 주장에는 쉽사리 수긍하기 어려운 것이 적지 않다.

다. 주시경

 국문연구소 위원으로 주시경이 누구보다도 열성적으로 활약했음은 그의 연구안이 양으로 가장 많다는 사실에서도 드러난다. 주시경의 저서들이 전하기는 하지만, 그의 연구안은 국문에 관한 그의 연구를 종합한 것으로 그의 학문을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그의 연구안에서 먼저 주목되는 것은 그가 훈민정음의 制字 원리에 대해서 정면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은 사실이다(그의 다른 저서들에서도 이것을 볼 수 없다). 아마도 그는 이 문제에 대해서 확고한 결론을 얻지 못했던 것 같다.

 이미 저 위에서 지적한 것처럼 국문에 대한 주시경의 주장은 ‘ㆍ’의 본래의 발음은 ‘ㅣ’와 ‘ㅡ’의 합음으로서 이것은 폐지해야 마땅하다는 것과, 된소리는 ‘ㄲ ㄸ ㅃ ㅆ ㅉ’로 표기해야 한다는 것과 받침으로 ‘ㄷ ㅈ ㅊ ㅋ ㅌ ㅍ ㅎ’ 등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 연구안에서 우리는 주시경의 새로운 받침 이론에 관한 가장 세련된 서술을 볼 수 있다. 모든 음은 ‘本音’ 외에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臨時의 音’을 가지고 있는데, 어느 나라 말이든지 그 본음으로 적는 것이 원칙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의 핵심이다. 즉 ‘찾고’에서 ‘ㅈ’이 제대로 발음되지 않으나 이것은 ‘임시의 자연한 音理’에 의한 것이며 이 경우 本音은 엄연히 ‘ㅈ’이라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ㅈ ㅊ ㅋ ㅌ ㅍ ㅎ’ 등의 받침을 쓰고 있는 것은 주로 주시경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정작 그의 ‘본음’, ‘임시의 음’에 관한 이론이 그 뒤 우리 학계에서 잊혀지고 만 것은 애석한 일이다. 왜냐하면 이것은 국어의 음운체계에 대한 매우 깊은 통찰에서 우러난 것으로 이 이론을 더욱 발전시켰더라면 현대 국어학의 빛나는 업적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라. 권보상

 국문연구소 위원에 임명될 때 내부 서기관이었다는 것 이외에 權輔相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그런데 그는 국문연구소 개설 이래 충실한 위원으로 일했으며 그의 연구안은 23장의 짧은 것이기는 하지만 자세히 읽어 보면 매우 주목되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국문의 기원에 대해서 그는 ‘古篆’의 뜻을 매우 넓게 해석하였다. 즉 漢文, 梵字, 蒙文 등을 모방하고 이들을 일괄하여 고전이라고 했음에 틀림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모방이란 것은 ‘考察的 感念’을 준 것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훈민정음은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독창적 문자체계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중성 ‘ㆍ’에 관한 권보상의 이론은 주로 어윤적과 이능화의 주장을 반박한 것인데, 매우 날카로운 데가 있다. 이 이론에서 우리는 그가 언어와 문자의 구별에 대한 명백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발견한다. 국어가 있은 뒤에 이것을 표기하기 위하여 국문이 생겼는데, ‘ㆍ’가 중성의 처음이라고 해서 이것이 모음의 근본이라 하는 것은 잘못임을 그는 밝혔다.

 받침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도 그는 이론상으로는 모든 초성을 종성에 쓰는 것이 옳음을 분명히 하고, 그러나 이것을 일반화시킴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님을 지적하였다. 그가 특히 문법 교육이 필요함을 지적한 점은,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아도 타당한 것이다.

 된소리 표기를 된시옷으로 하자는 것을 빼고는, 권보상은 대체로 주시경과 의견이 일치했으나, 그는 이론적, 실제적으로 독자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음이 주목된다. 특히 그가 위에서도 지적한 것처럼 언어와 문자의 차이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구안의 다른 부분에서 드러나는 것이지만, 언어는 변화한다는 사실과 문자 표기는 보수성을 지닌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음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인식은 당시의 다른 학자들에게서는 볼 수 없는 것이었다.

마. 송기용

 宋綺用은 국문연구소 창설 이래 한 번도 연구안 제출을 게을리한 일이 없는 충실한 위원이었으나 독창적인 학설은 별로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 된소리 표기에 대해서는 주시경의 의견을 그대로 따랐고 ‘ㆍ’를 없애는 것도 옳지 않고 ‘=’를 만드는 것도 옳지 않다고 한 것은 이능화의 학설을 따른 것이었다. 그리고 받침 표기에 대해서도 대체로 주시경의 의견을 따랐으나 “隨機應用하자”고 한 점에서 차이를 보여준다.

바. 지석영

 <신정국문>당시의 지석영의 의견과 조금도 다름이 없다. 그의 의견은 전반적으로 보수적임을 특징으로 하여 어윤적이나 주시경과는 거의 모든 문제에서 대립을 보였다. 그의 주장은<의정안>에서 완전히 무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된소리 표기로 된시옷을 주장하면서, 지석영이 ‘ㅅㄱ’의 ‘ㅅ’은 본래 ‘ㅅ’이 아니라 한문에서 같은 글자를 생략할 때 쓰는 부호 ‘<’라고 한 것은 기발하지만 옳지 않은 착상이었다. 그리고 자신이 새로 만든 ‘=’자에 대해서도 그의 설명은 너무나 빈약했다. 심지어 그는 그 용법이나 용례를 하나도 들지 않고 있다.

사. 이민응

 학부 서기관으로 나중에 국문연구소 간사와 위원을 겸했으며 국문연구소<보고서>도 李敏應의 글씨로 되어 있는데, 정작 그의 연구안은 제4제와 제5제 두 문제에 관한 것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 내용을 보면 그는 지석영의 의견을 추종하고 있다.

아. 이돈구

 특별히 독창적이라고 할 만한 의견이 없다. 그는 주시경의 영향을 많이 받은 듯하다. 그리하여 된소리 표기에 ‘ㄲ ㄸ ㅃ ㅆ ㅉ’을 쓸 것과 모든 초성을 종성으로 쓰기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ㆍ’에 대해서는 폐지하자는 설이 매우 타당하나 좀더 연구하여 본음을 밝힐 것을 주장하였다.

360)魚允迪은≪東史年表≫(초판 1915, 재판 1935)의 편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361)李能和의 저서로는≪朝鮮佛敎通史≫,≪朝鮮基督敎及外交史≫,≪朝鮮女俗考≫,≪朝鮮巫俗考≫,≪朝鮮解語花史≫등이 있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