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5권 신문화 운동Ⅰ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3. 한국사 연구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1)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교육 수용론 대두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 (4) 변법개화파의 국민교육론 전개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의 성립
            • (1) 교육제도와 관리등용제도의 개혁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 정립
        • 2. 근대 교육의 발전
          • 1) 근대 교육의 이념
            • (1) 실용주의 교육 지향
            • (2) 자강주의 교육
              • 가. 국가자강주의
              • 나. 국민자강주의
              • 다. 민족자강주의
          • 2) 근대 학교의 설립
            • 가. 정부의 근대학교 설립
            • 나. 전·현직관료 및 황제 측근세력들의 사립학교 설립
            • 다. 개항장 상인 및 유지 신사들의 사립학교 설립
            • 라. 요호·부민·유생 층의 학교 설립
            • 마. 선교사들의 학교 설립
            • 바. 구국계몽단체·학회 및 관련인사들의 학교 설립
            • 사. 불교와 천도교 종단의 사립학교 설립
          • 3) 근대 학교의 교육내용
        • 3. 근대 교육의 확대
          • 1) 통감부의 교육 침략
            • (1) 우민화교육 방침
            • (2) 동화정책의 방법으로서의 보통학교 확장
            • (3) 일본어 보급
            • (4) 교과를 통한 친일교육
            • (5) 일본인 교원배치
          • 2) 민족사학의 발전과 설립 이념
            • (1) 민족사학의 발전
              • 가. 사인 중심의 사학발전
              • 나. 학회중심의 사학 발전
            • (2) 민족사학의 설립이념
          • 3) 여자 교육의 발전
            • (1) 미션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2) 관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3) 민간인 사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4) 고등교육의 성립
            • (1) 민립대학의 설치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가. 민립대학의 설치운동
              • 나. 식민지 통제를 위한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2) 기독교계 전문학교의 대학승격운동
              • 가. 이화학당의 연합기독교여자대학안
              • 나. 연희전문학교 중심의 종합대학안
          • 5) 교육내용의 추이
            • (1) 애국교과와 훈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2) 창가와 체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4. 교육구국운동의 추진
          • 1) 근대 교육의 성격
            • (1) 근대 교육의 성격
            • (2) 근대 민족 교육의 확대
          • 2) 구국교육운동의 실태
            • (1) 사립학교의 설립
            • (2) 설학취지문의 검토
            • (3) 간도지역의 민족교육운동
            • (4) 역사교육의 확대
            • (5) 체육교육의 보급과 운동회의 개최
            • (6) 애국가와 독립가의 보급
        • 5. 근대적 교과서의 편찬
          • 1) 근대 교육 성립기의 교과서
          • 2) 근대 교육의 발전과 교과서
            • (1) 근대학교의 교육내용<교과목>
            • (2) 정부의 교과서 편찬
            • (3) 민간인에 의한 교과서 편찬과 실태
            • (4) 교과서의 내용
          • 3) 통감부하의 교과서
            • (1) 일제의 교육침략정책
            • (2) 학제의 개편
            • (3) 통감부의 교과서 통제
              • 가. 통감부의 교과서 편찬 방향
              • 나. 교과서사용규정의 제정
              • 다. 교과용도서검정의 실시
              • 라. 교과서검정의 성격과 교과서검정의 실태
            • (4) 구국교육운동과 민간의 교과서 편찬
            • (5) 교과서의 실태
            • (6) 교과서 사용 실태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1. 근대 학문의 수용
          • 1) 서양 근대 학문의 세 수용통로
          • 2) 서양철학의 수용
          • 3) 사회진화론의 수용
          • 4) 사회과학의 수용
          • 5) 서양 인문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 2. 한국어 연구
          • 1) 언문일치의 첫걸음
            • (1) 두 문체의 대립
            • (2) 국한문체
            • (3) 국문체
          • 2) 초기의 국문 연구
            •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 (2) 리(이)봉운의≪국문졍리≫(국문정리)
            • (3) 주시경의<국문론>과 그 뒤의 연구
            • (4) 이능화의<국문일정의견>
          • 3) 국문연구소의 업적
            • (1) 국문연구소에 관한 자료
            • (2) 개설의 동기와 목적
            • (3) 직원과 운영
            • (4) 사업의 경과
            • (5)<국문연구 의정안>
            • (6) 각 위원의 연구안
          • 4) 문법의 연구
            • (1) 서양인의 연구
            • (2) 유길준의≪대한문전≫
            • (3) 주시경의≪국어문법≫
            • (4) 어윤적의 연구
            • (5) 김희상의≪초등국어어전≫
          • 5) 주시경의 국어 연구
        • 3. 한국사 연구
          • 1) 연구의 필요성
          •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 3) 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1)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침투
            • (2) 근대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1. 근대 문학의 발전
          • 1) 개화기의 시대적 과제와 문체, 문학장르의 관련
            • (1) 위정척사파
            • (2) 온건보수파
            • (3) 개화자강파
            • (4) 일본체험파
            • (5) 민중계몽파
            • (6) 친기독교 개화파
          • 2) 개화기의 시가 장르
            • (1) 애국·독립가
            • (2) ‘사회등’ 가사를 비롯한 우국가
            • (3) 민요 개작
            • (4) 개화기의 시조와 가사
            • (5) 신체시
          • 3) 개화기의 서사 장르
            • (1) 신소설
              • 가. ‘신소설’이란 명칭과 그 개념
              • 나. 신소설의 정신적 바탕과 소설 미학
              • 다. 신소설의 중요 작가와 작품
            • (2) 역사·전기 소설
            • (3) 토론체 소설
        • 2. 근대 예술의 발전
          • 1) 음악
            • (1) 한국음악사회 구성
            • (2) 근대음악사의 전개
              • 가. 제1기
              • 나. 제2기
              • 다. 제3기
              • 라. 제4기
            • (3) 새로운 과제
          • 2) 미술
          • 3) 연극과 영화
          • 4) 무용
            • (1) 무도의 등장
            • (2) 권번춤의 무대화와 가무극의 번성
          • 5) 체육
            • (1) 학교체육의 전개양상
              • 가. 제1기:근대체육의 태동기(1876∼1884)
              • 나. 제2기:근대체육의 수용기(1885∼1904)
              • 다. 제3기:근대체육의 정립기(1905∼1910)
            • (2) 근대 스포츠의 소개
              • 가. 육상경기
              • 나. 축구
              • 다. 야구
              • 라. 농구
              • 마. 테니스
              • 바. 수영
              • 사. 빙상
              • 아. 사이클
              • 자. 골프
            • (3) 체육단체 결성
              • 가. 대한체육구락부
              • 나. 황성기독청년회 운동부
              • 다. 대한국민체육회
              • 라. 대동체육구락부
              • 마. 대한흥학회 운동부
              • 바. 소년광창체육회
              • 사. 체조연구회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한국의 역사학에서 근대적인 성격을 부분적으로나마 띠고 나타나는 것은 갑오개혁 이후다. 개항 이래 외세의 침투를 경험하면서 내재적으로 수용, 축적하기 시작한 근대적인 의식-사회진화론·자강주의, 민족주의·제국주의 등-은 현실문제를 분석하고 거기에 대응하는 능력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한편 한말 지식인들은 현실적으로 부닥친 위기의 타개 능력을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말하자면 한국인이 갖고 있는 잠재적인 문화능력에서 그 타개책을 모색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역사의식과의 관련성이 엿보이기도 했다. 이 때 역사의식은 단순히 과거를 조망하는 것만이 아니고, 과거의 역사적인 경험이 나라의 미래를 전망하는 지혜를 제공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예언자적인 성격도 갖고 있었다. 한말 지식인들이 한국사에 새롭게 접근하여 연구하고 가르치려는 자세를 갖게 된 것은 이런 상황에서 이뤄졌던 것이다. 그랬던 만큼 이 시대의 역사학은 일정하게 역사연구의 방법과 서술면에서 전근대적인 것과 구별되는 새로운 면모를 드러내게 된다.

 한국에서 근대적 성격을 가진 역사학의 일차적인 특징은, 그 이전 봉건시대의 역사학과는 달리, 역사학의 학문적 독자성을 모색하는 한편 개성적인 민족사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동양의 고·중세 사학이 經史一體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했다면, 이 때의 역사학은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영역으로 독립해 가는 과정이었다. 다시 말하면, 한국사의 독자성은 먼저 경·사의 미분화에서 오는 역사학의 비독자적인 학문영역을 독자적인 학문영역으로 분리시키는 데서 시작되었지만, 더 나아가서는 과거 한국의 역사를 中華史의 일부 혹은 그 부용으로 취급해 오던 데서 이제 한국사를 중화사에서 독립시켜 독자적인 자기위치를 갖게 하는 것을 의미했다.

 일반적으로 근대 역사학은 역사인식 면에서는 사실의 실증을 위해 객관적인 사료비판과 논증을 중요시하고 인과관계를 분석적·종합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규명하며,370) 동양적인 과거지향적·순환론적인 역사이해를 강조하기보다는 미래지향적이고 발전적인 역사인식을 강조하는 편이다. 역사주체를 인식함에도, 고·중세의 역사학이 영웅과 지배자를 중심으로 하고 있음에 비해서 근대역사학은 민중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그러기에 근대역사학은 왕실이나 지배자 대신 민중을 강조하였다. 또 근대역사학은 이데올로기적 역사인식을 거부하기 때문에 한말 국사학도 조선 후기에 성행했던 정통론과 명분론 등 이념을 강조하던 교조주의적 역사서술을 점차 탈피하고,371) 과학적인 역사서술에 접근해 갔던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소략하긴 하지만 근대적인 성격을 띠면서 먼저 나타나는 역사책은 갑오개혁 이후 학부에서 간행한 교과서류다.372) 1895년에 各級學校令이 반포되고 서울에서만 壯洞·정동·계동·廟洞 학교가 설립되면서 ‘본국사’가 교육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앞서 학부는 국사교과서 편집을 시작하여 1895년에는≪朝鮮歷史≫·≪朝鮮歷代史略≫·≪朝鮮略史≫를, 1899년에는≪東國歷代史略≫·≪大韓歷代史略≫·≪普通敎科東國史略≫을, 1906년에는≪普通敎科大東歷史略≫·≪新訂東國歷史≫·≪中等敎科東國史略≫을, 그리고 1908년 이후 한말에는≪대한력 상≫·≪初等本國歷史≫와≪초등대한력≫·≪初等大韓歷史≫·≪初等大東歷史≫와≪初等本國略史≫·≪初等本國歷史≫·≪新撰初等歷史≫·≪國朝史≫를 간행하였다.373)

 이들 교과서들은 실학정신을 계승하면서 ‘자존적 국가의식’을 바탕으로 ‘부국강병·萬邦對峙·근대주의·보편적 세계사·우승열패’의 개화사상의 역사의식374)을 담고 있다. 초기에 국한문 혹은 한문으로 쓰여졌던 이들 교과서들은 뒤에 차차 국문을 전용하게 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편년체적 서술을 유지하였으며, 고대사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때로는 정통론을 고집하는 것도 있어서 근대적 성격과는 거리가 있는 것도 있었다. 근대의 서술에 인색한 것은 당대사 서술에 소홀했다는 측면과 함께 과거회귀적인 역사의식을 엿보게 한다. 고대사에서 중국에 대한 사대의 예를 벗어나지 못한 서술이나 근대의 서술에서 淸으로부터의 독립을 강하게 주장하지 못한 것은 이 책들이 갖는 한계라고 할 수 있다.

 학부 편찬의 역사책은 당시 학부 편집부에 있던 玄采나 金澤榮 등이 맡았으나 뒷날에는 차차 개인적인 저술로 확대되었다. 1906년에 나온 교과서는 ‘國民敎育會’, 元泳義·柳瑾, 현채 등의 저자들이 썼다. 비록 내용과 형식면에서 어설픈 측면이 있고 그래서 동시대의 민족주의자들로부터 호된 비판을 받긴 하였지만,375) 이들 교과서들은 당시 개화의 풍조를 소화해 가는 과정에서 젊은이들로 하여금 自國史를 새로운 방식으로 인식케 하는 하나의 가교를 놓았던 것으로 이해된다.

 한말 자국사의 인식과 연구는 먼저 고전을 복간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한국의 개화가 실학사상의 내재적인 발전과 계승이라는 측면을 갖고 있었던 만큼 한말에는 연암 박지원과 다산 정약용, 완당 김정희의 영향이 컸고 그들에 대한 연구열 또한 높았다. 실학자들의 저술이 복간되고 거기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었다. 이 때≪연암집≫을 비롯하여 다산의≪목민심서≫·≪흠흠신서≫·≪아언각비≫등이 복간되었고, 張志淵은 다산의≪아방강역고≫를 증보, 개정하여≪대한강역고≫로 편찬하였다. 복간사업은 崔南善이 설립한 朝鮮光文會를 통해 활발히 전개되었다.376)

 한말 안으로는 봉건사회가 붕괴되고 밖으로는 외세의 침략이 가중되는 시기에 지식인들의 역사의식은 교과서를 편찬하는 외에 자기역사를 새롭게 인식하고 자기시대의 역사를 정리하는 작업으로 나타났다. 通史類로서 대표적인 것은 崔景煥·鄭喬의≪大東歷史≫377)와 김택영의≪歷史輯略≫, 현채의≪東國史略≫을 들 수 있다. 시대사의 성격을 띤 것으로 한말 자기 시대의 풍운의 역사를 정리한 것으로는 黃玹의≪梅泉野錄≫과 개화파 인사로서 독립협회 회원이기도 했던 정교의≪大韓季年史≫등이 있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는 개화파 지식인이 편찬한 우리 나라 통사에 이미 일본의 한국사 연구가 상당 부분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있었다는 점이다.≪대동역사≫는 신라 박혁거세 9년조에서 일본의 러시아정벌(러일전쟁)을 언급하고 한일관계를 엉뚱하게 ‘同文同種之國’으로 또 ‘脣齒輔車之勢’로 설명하여,378) 역사인식 및 시대의식의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이 책이 독립협회의 교과서로 채용된 것이 확실하다면, 이러한 한계는 결국 독립협회의 역사의식과도 상통하는 것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또 현채의≪동국사략≫이 일본인 하야시(林泰輔)의≪朝鮮史≫를 편역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가 다소 수정해서 수용했다 하더라도, 그 한계는 너무나 뻔한 것이다.379) 여기에다 김택영의≪역사집략≫은 하야시의≪조선사≫에서처럼 단군의 역사를 佛家의 所出인양 의심한 것이라든지 신공왕후의 신라정복과 任那日本府說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어서 이미 같은 시대의 신채호 같은 이들에게 혹독한 비판을 받았다.380)

 시대사의 성격을 띤 것으로≪매천야록≫과≪대한계년사≫등을 거론한 바 있다. 전자는 한말 우국시인이며 지리산 밑 구례에서 17년간이나 일본인 침략의 추이를 주시하면서 국운을 걱정했던 황현이 유교사관의 근간이 되는 통감강목·춘추필법에 기초를 두고 근대사의 현실에도 유의하면서 당대사를 서술했던 것이다. 후자는 황현과는 달리 독립협회 회원으로 회원에게 국사를 가르치기 위하여≪대동력사≫를 교열·저술한 적이 있는 정교가 쇠약해 가는 조국을 보면서 침략세력에 대한 항거에 역점을 두고 붓을 들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두 책에 나타난 두 지식인의 역사의식은 일치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381)

 이렇게 근대적인 것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전통과의 괴리에서 오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데다가, 후술할 바와 같이, 일제의 식민주의 사학이 밀려오고 있는 데도 그것을 제대로 의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朴殷植과 申采浩 같은 강렬한 역사의식을 가진 역사가를 만났다는 것은 그 시대의 한국의 지성계를 위하여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들은 자기 시대가 갖는 봉건적인 모순을 의식하는 한편 밖에서부터 밀려드는 제국주의 침략세력을 잘 간파하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근대민족주의 역사학은 이들의 역사의식을 통해 건설되고 있었다.

370)근대 역사학의 효시로 불리는 랑케(Leopold von Ranke, 1795∼1886)는 비판적 방법을 통하여 실증을 강조하고 철학적 역사를 극복하였으며, 역사주의적 방법론적 근거라 할 ‘본래 일어난 그대로(wie es eigentlich gewesen)’라는 명제 아래 역사의 개체와 그 발전을 시간적 과정에서 사실대로 탐구하려고 하였다(차하순,≪현대의 역사사상≫, 탐구당, 1994, 22쪽).
371)趙東杰,≪現代韓國史學史≫(나남출판, 1998), 64쪽.
372)이 점과 관련,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있다.

金麗柒,<開化期國史敎科書를 통해서 본 歷史認識(Ⅰ)(Ⅱ)―歷史輯略을 중심으로―>(≪史學志≫14·16, 檀國大, 1982).

김흥수,<한말 역사교육 및 교과서에 관한 연구>(≪역사교육≫29, 역사교육연구회, 1981).

―――,<한말의 국사교과서 편찬>(≪역사교육≫33, 역사교육연구회, 1983).

이경란,<구한말 국사교과서의 몰주체성과 제국주의>(≪역사비평≫15, 역사비평사, 1991).

이연복,<우리나라 근대역사교육사연구-구한국의 역사교육을 중심으로->(≪서울교육대학논문집≫11, 서울교육대, 1978).

조 광,<개항기의 역사인식과 역사서술>(≪한국사≫23, 한길사, 1994).

조동걸,<한말 사서와 그의 계몽주의적 허실>상(≪한국독립운동사연구≫1, 한국독립운동사연구회, 1987).

―――,<한말 사서와 그의 계몽주의적 허실>하(≪한국학논총≫10,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1987;≪韓國民族主義의 成立과 獨立運動史硏究≫, 지식산업사, 1989)에 재수록.

홍영백,<한말 세계사 관계사서의 내용과 그 한계>(≪소헌남도영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태학사, 1984).

홍이섭,<구한말 국사교육과 민족의식>(≪인문과학≫36,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1974).

朴杰淳,≪韓國近代史學史硏究≫(國學資料院, 1998).
373)한말의 自國史 교과서에 대해서는 조동걸, 위의 글(1987).

朴杰淳, 앞의 책, 27∼53쪽 참조.
374)朴杰淳, 위의 책, 27∼32쪽.
375)특히 신채호는 한말의 교과서류를 두고, ‘新史의 體’라고 부르기도 하였지만 그것이 서술의 편명, 술어를 고치는 정도였기 때문에 “털어놓고 말하자면 韓裝冊을 洋裝冊으로 고침에 불과한 것”이라고 비판했다(신채호,≪朝鮮上古史≫;≪丹齋申采浩全集≫上, 형설출판사, 1977, 61쪽).
376)조선광문회의 복간사업에 대해서는 이만열,≪韓國近代歷史學의 理解≫(文學과知性社, 1981), 125∼129쪽 참조.
377)≪大東歷史≫에 대해서는, 필자는 최경환·정교 두 사람이 써서 1896년경부터 독립협회 회원들의 일종의 교과서로 사용하다가 뒤에 1905년에 출판한 것으로 보았으나, 조동걸 교수는 이 책을 ‘두 사람의 공저’로 보면서도 ‘정교의≪大東歷史≫가 따로 있으므로 편의상’ 분리해서 보았다(조동걸, 앞의 글, 1989, 169∼175쪽·181쪽. 이만열, 앞의 책, 121쪽 참조).
378)≪大東歷史≫新羅 始祖王 九年 大皇帝陛下光武七(八)年 日本征露國…皆克之 蓋我大韓之與日本爲同文同種之國 壤地相接脣齒輔車之勢….
379)현채의≪東國史略≫에 대해서는 이만열, 앞의 책, 123∼124쪽 참조.
380)신채호, 앞의 책, 57∼58쪽 참조. 신채호는 여기서 장지연의≪大韓彊域考≫도 같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381)한말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에 대해서는 鄭昌烈,<韓末의 歷史認識>(≪韓國史學史의 硏究≫한국사연구회편, 을유문화사, 1985), 189∼228쪽 참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