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5권 신문화 운동Ⅰ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3. 한국사 연구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1)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교육 수용론 대두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 (4) 변법개화파의 국민교육론 전개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의 성립
            • (1) 교육제도와 관리등용제도의 개혁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 정립
        • 2. 근대 교육의 발전
          • 1) 근대 교육의 이념
            • (1) 실용주의 교육 지향
            • (2) 자강주의 교육
              • 가. 국가자강주의
              • 나. 국민자강주의
              • 다. 민족자강주의
          • 2) 근대 학교의 설립
            • 가. 정부의 근대학교 설립
            • 나. 전·현직관료 및 황제 측근세력들의 사립학교 설립
            • 다. 개항장 상인 및 유지 신사들의 사립학교 설립
            • 라. 요호·부민·유생 층의 학교 설립
            • 마. 선교사들의 학교 설립
            • 바. 구국계몽단체·학회 및 관련인사들의 학교 설립
            • 사. 불교와 천도교 종단의 사립학교 설립
          • 3) 근대 학교의 교육내용
        • 3. 근대 교육의 확대
          • 1) 통감부의 교육 침략
            • (1) 우민화교육 방침
            • (2) 동화정책의 방법으로서의 보통학교 확장
            • (3) 일본어 보급
            • (4) 교과를 통한 친일교육
            • (5) 일본인 교원배치
          • 2) 민족사학의 발전과 설립 이념
            • (1) 민족사학의 발전
              • 가. 사인 중심의 사학발전
              • 나. 학회중심의 사학 발전
            • (2) 민족사학의 설립이념
          • 3) 여자 교육의 발전
            • (1) 미션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2) 관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3) 민간인 사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4) 고등교육의 성립
            • (1) 민립대학의 설치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가. 민립대학의 설치운동
              • 나. 식민지 통제를 위한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2) 기독교계 전문학교의 대학승격운동
              • 가. 이화학당의 연합기독교여자대학안
              • 나. 연희전문학교 중심의 종합대학안
          • 5) 교육내용의 추이
            • (1) 애국교과와 훈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2) 창가와 체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4. 교육구국운동의 추진
          • 1) 근대 교육의 성격
            • (1) 근대 교육의 성격
            • (2) 근대 민족 교육의 확대
          • 2) 구국교육운동의 실태
            • (1) 사립학교의 설립
            • (2) 설학취지문의 검토
            • (3) 간도지역의 민족교육운동
            • (4) 역사교육의 확대
            • (5) 체육교육의 보급과 운동회의 개최
            • (6) 애국가와 독립가의 보급
        • 5. 근대적 교과서의 편찬
          • 1) 근대 교육 성립기의 교과서
          • 2) 근대 교육의 발전과 교과서
            • (1) 근대학교의 교육내용<교과목>
            • (2) 정부의 교과서 편찬
            • (3) 민간인에 의한 교과서 편찬과 실태
            • (4) 교과서의 내용
          • 3) 통감부하의 교과서
            • (1) 일제의 교육침략정책
            • (2) 학제의 개편
            • (3) 통감부의 교과서 통제
              • 가. 통감부의 교과서 편찬 방향
              • 나. 교과서사용규정의 제정
              • 다. 교과용도서검정의 실시
              • 라. 교과서검정의 성격과 교과서검정의 실태
            • (4) 구국교육운동과 민간의 교과서 편찬
            • (5) 교과서의 실태
            • (6) 교과서 사용 실태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1. 근대 학문의 수용
          • 1) 서양 근대 학문의 세 수용통로
          • 2) 서양철학의 수용
          • 3) 사회진화론의 수용
          • 4) 사회과학의 수용
          • 5) 서양 인문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 2. 한국어 연구
          • 1) 언문일치의 첫걸음
            • (1) 두 문체의 대립
            • (2) 국한문체
            • (3) 국문체
          • 2) 초기의 국문 연구
            •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 (2) 리(이)봉운의≪국문졍리≫(국문정리)
            • (3) 주시경의<국문론>과 그 뒤의 연구
            • (4) 이능화의<국문일정의견>
          • 3) 국문연구소의 업적
            • (1) 국문연구소에 관한 자료
            • (2) 개설의 동기와 목적
            • (3) 직원과 운영
            • (4) 사업의 경과
            • (5)<국문연구 의정안>
            • (6) 각 위원의 연구안
          • 4) 문법의 연구
            • (1) 서양인의 연구
            • (2) 유길준의≪대한문전≫
            • (3) 주시경의≪국어문법≫
            • (4) 어윤적의 연구
            • (5) 김희상의≪초등국어어전≫
          • 5) 주시경의 국어 연구
        • 3. 한국사 연구
          • 1) 연구의 필요성
          •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 3) 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1)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침투
            • (2) 근대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1. 근대 문학의 발전
          • 1) 개화기의 시대적 과제와 문체, 문학장르의 관련
            • (1) 위정척사파
            • (2) 온건보수파
            • (3) 개화자강파
            • (4) 일본체험파
            • (5) 민중계몽파
            • (6) 친기독교 개화파
          • 2) 개화기의 시가 장르
            • (1) 애국·독립가
            • (2) ‘사회등’ 가사를 비롯한 우국가
            • (3) 민요 개작
            • (4) 개화기의 시조와 가사
            • (5) 신체시
          • 3) 개화기의 서사 장르
            • (1) 신소설
              • 가. ‘신소설’이란 명칭과 그 개념
              • 나. 신소설의 정신적 바탕과 소설 미학
              • 다. 신소설의 중요 작가와 작품
            • (2) 역사·전기 소설
            • (3) 토론체 소설
        • 2. 근대 예술의 발전
          • 1) 음악
            • (1) 한국음악사회 구성
            • (2) 근대음악사의 전개
              • 가. 제1기
              • 나. 제2기
              • 다. 제3기
              • 라. 제4기
            • (3) 새로운 과제
          • 2) 미술
          • 3) 연극과 영화
          • 4) 무용
            • (1) 무도의 등장
            • (2) 권번춤의 무대화와 가무극의 번성
          • 5) 체육
            • (1) 학교체육의 전개양상
              • 가. 제1기:근대체육의 태동기(1876∼1884)
              • 나. 제2기:근대체육의 수용기(1885∼1904)
              • 다. 제3기:근대체육의 정립기(1905∼1910)
            • (2) 근대 스포츠의 소개
              • 가. 육상경기
              • 나. 축구
              • 다. 야구
              • 라. 농구
              • 마. 테니스
              • 바. 수영
              • 사. 빙상
              • 아. 사이클
              • 자. 골프
            • (3) 체육단체 결성
              • 가. 대한체육구락부
              • 나. 황성기독청년회 운동부
              • 다. 대한국민체육회
              • 라. 대동체육구락부
              • 마. 대한흥학회 운동부
              • 바. 소년광창체육회
              • 사. 체조연구회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실학시대에는 한국의 중세 역사학이 전환기를 맞았다. 私撰史書들이 풍부하게 간행된 것은 물론 그 내용도 다양하고 특색들이 있었다. 붕당으로 인해 정치와 학문이 서로 의존관계에 있었고, 당색에 따라서 역사를 보는 관점과 한국사의 인식체계 등이 상이했다. 역사서술의 형식적인 측면이 달라졌던 것은 어쩌면 자연스럽다고 할 것이다.363)

 먼저 실학시대에 나타난 역사서술 형식의 뚜렷한 점은 綱目體 형식의 역사서술이었다. 물론 編年體나 紀事本末體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이 때 특히 많이 나타난 것은 주자와 그의 제자 趙師淵이≪資治通鑑綱目≫에서 시도한 강목체 서술이었다. 강목체 서술 형식은 실학시대에 유행처럼 나타난 역사서술의 형태였다고 할 것이다.

 강목체 형식과 함께 실학시대 역사학의 특징의 하나는 사론으로서의 正統論의 등장이라 할 것이다. 정통론 사론은 특히 李瀷과 安鼎福으로 계통지어지는 남인계의 학풍에서 뚜렷이 나타났다. 이익이 馬韓正統論을 제시한 이래 남인계를 중심으로 정통론사학이 한때 풍미했다. 정통론사학은 특히 한국의 고대사를 체계화함에, 종전에 단군조선→기자조선→위만조선으로 계통화하고 삼한을 위만조선에 부설해 왔던 고대사 인식체계에 변화를 가하여, 단군조선→기자조선→삼한으로 정통을 삼고 위만조선을 삼한에 대한 僭僞의 국가로 정리해 버렸다. 정통론자들은 삼한을 역사적인 정통국가로 설정하고 위만조선을 참위로 규정하는 데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역사는 정통과 참위를 준별하는 뚜렷한 역사의식을 가져야 한다는 주자 강목의 필법을 추종했던 것이다. 그러나 정통론 사학을 가능하게 했던 華夷觀에 변화가 오고 北伐論이 北學論으로 바뀌는 추세 속에서, 새로운 역사연구의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柳得恭의≪渤海考≫를 비롯하여 韓致奫(韓鎭書)의≪海東繹史≫, 李肯翊의≪燃藜室記述≫이 나타나는 것은 이런 역사의식의 변화와 관련이 깊다고 할 것이다. 이 같은 역사의식은 정통론 사학에서는 볼 수 없는,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발해사 연구가 한국사의 범주에서 논의되었을 뿐만 아니라, 李種徽의≪東史≫에서는 한국고대사의 체계가 단군의 주류가 부여·고구려로 계승된다는 새로운 주장까지 나오게 되었다.

 19세기 전반기, 학파로서의 실학이 끝나는 것은 세도정치의 등장과 무관하지 않다. 세도정치의 등장으로 학문의 폐쇄성은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었다. 실학시대에 꽃피었던 역사의식은 위축되었고 역사서술 또한 활발하지 못했다. 그러한 시대상황에도 불구하고 19세기 중엽에는 과거의 전통성을 잇는 몇몇 역사 서술과 특수 분야에 관한 역사서술을 대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는 특별히 주목되는 바가 있다.

 19세기 전반기에 관심을 끈 사서로서는 丁若鏞의≪彊域考≫와 앞에서 언급한 한치윤(한진서)의≪해동역사≫로 알려져 있다. 이들 사서들은 18세기의≪동사강목≫등의 고증학적인 측면을 심화, 발전시키는 한편 정통론 사학을 차원높게 극복하고 있었다. 이들 사서들을 이어서 역시 19세기 전반기에 몇몇 사서들이 나타났다. 그 중 洪敬謨(1774∼1851)의≪大東掌攷≫의<歷代考>와≪叢史≫의<東史辨疑>는 19세기 전반기에 저술된 것이며, 그의 조부 洪良浩로부터 이어받은 家學적 전통 위에서 이뤄진 것이었다.<역대고>는 李萬運의≪紀年兒覽≫을 참고하여 편찬한 것이지만, 군주편향적 시각이 강화되었다거나 정통론이 약화되어 있다는 점 등은 차이가 있다.<동사변의>는 사실 및 지리의 고증이 돋보이고 있는데, 그는 특히 한국 상고사에서 “이설이 분분한 28항의 문제들을 여러 문헌자료들을 비교하면서 밀도있게 고증”하였다.364)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李源益(1792∼1854)도≪東史約≫이라는 역사서술을 남겼다. 그는 서술원칙의 하나로 정통론을 고수하면서, 단군으로부터 시작된 정통이 箕子를 거쳐 신라 문무왕 9년 이후와 고려 태조 19년 이후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았으며, 따라서 삼한·삼국시대는 無統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는 정통론에 입각한 한국사 체계를 단군(정통)→기자(정통)→위만(僣國)→삼한(無統)→삼국(無統)→신라 문무왕 9년 이후(정통)→고려 태조 19년 이후(정통)→조선(정통)으로 정리했던 것이다. 이원익의≪동사약≫은 강목체적인 서술체제를 갖고 있긴 하지만, 고증사학의 면모도 보여주고 있어서 강목법 사서와 고증적 사서의 중간적 형태에 속하는 사서로 지적되기도 한다.365)

 19세기 중엽에는 새로운 형태의 역사서술이 싹트기도 하였다. 종래의 사서들이 대부분 양반 식자들이나 관료들에 의해 쓰여졌던 것과는 달리, 이 무렵에 이르면 향리나 서얼, 일반 시정인들의 전기류에 해당하는 책들이 간행되었다. 여기에는 향리의 역사를 쓴 李震興의≪掾曹龜鑑≫(1846)을 비롯하여, 서얼들의 역사를 쓴≪葵史≫(1858), 중인의 전기를 쓴 趙熙龍의≪壺山外記≫(1844) 등이 있는데, 이들은 “양반 아닌 중간신분층을 주제로 하는 사회사적 저술이었고, 자기가 소속된 신분층의 사회적 진출을 주장하는 현실개혁의 의도에서 저술된 것이었고, 또 전기를 중요시하는 인간 중심의 서술이었고, 그리고 새로운 사료를 발굴 이용하고 있었다”고 지적된다.366) 그 밖에 19세기 중엽에 간행된 사서로서는 劉在健의≪里鄕見聞錄≫(1862), 李慶民의≪熙朝軼事≫(1866), 朴周鍾의≪東國通志≫(地理考, 1868) 등이 있다.

 실학에서 개화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단계의 역사서술로서는 앞서 말한 몇 개의 사서와 함께 安鍾和(1860∼1924)를 빼 놓을 수 없다.367) 그는 개항 직후인 1878년에≪東史聚要≫를 완성하여 1904년에≪東史節要≫라는 이름으로 간행하였는데 이는 고려 말까지의 인물 800여 명을 다룬 것이다. 그는 이 저술에서 ‘근대화에 필요한 인간상의 역사적 근거를 마련’하려고 하였으며, 단군 중심의 고대사체계를 계승, 발전시켜 민족주의사학이 성립될 수 있는 중요한 교량적 역할을 감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안종화는 이어서 1909년에는≪國朝人物志≫를 간행하였는데, 조선시대의 인물 3,000명을 다룬 이 책은 일제의 한국병탄 계획이 노골화하던 시절, ‘조국사상이 油然하게 자생’토록 하기 위해, “조선시대에 국난을 이겨낸 전쟁영웅들과 왕조체제의 개혁을 모색한 조선후기 실학자들, 그리고 신분제의 질곡을 깨면서 새로운 개화세력으로 성장해 가던 위항인들, 그리고 도가나 처사를 자처하면서 이단사상을 키워 온 인사들을 부각”시켰다고 지적되고 있다.368) 따라서 인물 중심으로 우리 역사를 정리한 안종화는 이런 일련의 역사편찬 작업에서 ‘사회진화론에 입각’하여 ‘근대 시민사회의 형성을 역사적 과제’로 ‘전통적인 성리학적 역사관을 부분적으로 벗어나’ 근대적 역사관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인 역할을 감당하였던 것이다.369) 그러나 그의 책은 20세기에 들어서서 출간된 것이기 때문에 다음에서 언급될 사서편찬보다 시기적으로도 앞선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363)이 점에 관해서는 이만열,<17∼18세기 史書와 古代史認識>(≪韓國史硏究≫10, 1974).
364)이 점에 관해서는 한영우,<19세기 전반기 洪敬謨의 歷史敍述>(≪韓國民族主義歷史學≫, 一潮閣, 1994).
365)이원익의≪동사약≫에 대해서는 한영우,<19세기 중엽 李源益의 歷史敍述>(위의 책) 참조.
366)이 시기의 서얼과 향리 및 중인의 역사를 다룬≪葵史≫와≪掾曹龜鑑≫및≪壺山外記≫에 대해서는 이기백 교수의<19世紀 韓國史學의 새 樣相>(≪韓㳓劤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지식산업사, 1981) 참조.
367)최기영,<안종화>(조동걸·한영우·박찬승 엮음,≪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하, 창작과비평사, 1994).

韓永愚,<開化期 安鍾和의 歷史敍述>(≪韓國文化≫8, 1987).

―――, 앞의 책, 1994.
368)한영우, 위의 책, 338쪽.
369)최기영, 앞의 글, 34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