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Ⅴ. 의열투쟁의 전개3. 3·1운동 직후와 1920년대의 의열투쟁2) 1921년 이후의 의열투쟁 양상과 추이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1. 문화정치의 실상
          • 1) 경찰기구의 강화
            • (1) 보통경찰제의 확립
            • (2) 신간부의 선정과 보통경찰의 기능
          • 2) 지방제도의 개편
            • (1) 동화정책하의 참정권 문제
            • (2) 지방제도의 개편과 자문기구의 설치
            • (3) 면제의 운영과 촌락정책의 실상
          • 3) 친일세력의 양성
            • (1) 친일과 협력이란 개념
            • (2) 친일파의 육성과 이용책
            • (3) 친일단체의 조직
        • 2. 수탈체제의 강화
          • 1) 총독부 산업정책의 전환
          • 2) 농업―산미증식계획
          • 3) 공업
            • (1) 식민지 공업구조의 형성
            • (2) ‘민족자본’과 조선인 자본
          • 4) 재정·금융
            • (1) 재정
              • 가. 세출
              • 나. 세입
            • (2) 금융
              • 가. 식산은행
              • 나. 일반은행
              • 다. 금융조합
              • 라. 전근대적 금융기관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1. 임시정부의 수립과 초기 활동
          • 1) 임시정부 수립의 배경
            • (1) 세계대전의 종전과 민족자결주의
            • (2) 정부수립운동과<대동단결선언>
          • 2)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
            • (1) ‘국민대회’와 국내 정부수립운동
              • 가. ‘국민대회’와 한성정부의 선포
              • 나. ‘경성독립단본부’와 신한민국정부
            • (2) 상해 임시정부의 성립
            • (3) ‘통합’ 임시정부의 출범
          • 3) 임시정부의 초기활동
            • (1) 외교·선전활동
            • (2) 국내조직과 활동
              • 가. 연통제의 시행과 운영
              • 나. 임시교통국의 설치와 운영
            • (3) 군사외교와 독립전쟁 준비
              • 가. 군사외교의 강화
              • 나. 독립전쟁 방침과 군사제도의 정비
              • 다. 재만독립군과의 관계
        • 2. 임시정부와 국민대표회의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론과 ‘정부옹호파’의 반대운동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배경과 참가세력
            • (2) 정부옹호파의 국민대표회 반대운동
            • (3) 제10회 임시의정원
          • 2) 국민대표회의의 전개 과정
            • (1) ‘비공식회의’와 제11회 임시의정원
            • (2) ‘삼방회의’와 국민대표회의의 결렬
          • 3) 국민대표회의에서의 쟁점
            • (1) 국민대표회의의 적법·부적법 문제
            • (2) ‘임정존폐’ 문제와 ‘임정법통론’
        • 3. 임시정부와 유일당운동
          • 1) 유일당운동의 배경과 계기
          • 2) 유일당운동의 추진과 임시정부의 개헌
            • (1) 임시정부 중심의 대당결성 주장
            • (2)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 결성
            • (3) 임시정부 개헌과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결성
            • (4) 의열단의 선언과 광동·무한·남경촉성회 결성
          • 3) 유일당운동의 발전과 임시정부 참여
            • (1) 한국독립당관내촉성회연합회의 결성
            • (2) 전위조직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의 성립
          • 4) 유일당운동의 중단과 임시정부의 여당 결성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1. 독립군의 편성과 국내진입작전
          • 1) 시대적 배경
          • 2) 독립군의 편성
            • (1) 북간도지역
              • 가. 대한군정서
              • 나. 대한국민군
              • 다. 대한군무도독부
              • 라. 대한북로독군부
              • 마. 대한의군부
              • 바. 훈춘한민회
              • 사. 대한광복단
              • 아. 대한신민단
              • 자. 대한의민단
            • (2) 서간도지역
              • 가. 서로군정서
              • 나. 대한독립단
              • 다. 대한독립군비단
              • 라. 광복군총영
          • 3) 국내진입작전의 전개
            • (1) 독립군의 전력강화
            • (2) 국내진입작전
        • 2. 봉오동승첩과 청산리대첩
          • 1) 봉오동승첩
            • (1) 삼둔자전투
            • (2) 봉오동승첩
          • 2) 청산리대첩
            • (1) 일본군의 간도 침공
            • (2)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
            • (3) 독립군의 전투준비
            • (4) 청산리대첩
              • 가. 백운평전투
              • 나. 완루구전투
              • 다. 천수평전투
              • 라. 어랑촌전투
              • 마. 천보산전투
              • 바. 고동하곡 전투
            • (5) 청산리대첩의 전과와 의의
        • 3. 경신참변과 자유시사변
          • 1) 독립군의 북정
          • 2) 경신참변
          • 3) 자유시사변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1.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1) 통군부의 성립과 남만한족통일회의
          • 2)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2. 3부의 성립과 활동
          • 1) 참의부의 성립과 활동
          • 2) 정의부의 성립과 활동
          • 3) 신민부의 성립과 활동
        • 3. 재만 독립운동단체의 민족유일당운동
          • 1) 민족통일전선운동의 대두
          • 2) 3부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1. 의열투쟁의 의미맥락
        • 2. 의열투쟁 본격화의 배경과 계기
        • 3. 3·1운동 직후와 1920년대의 의열투쟁
          • 1) 3·1운동 직후와 1920년의 의열투쟁
          • 2) 1921년 이후의 의열투쟁 양상과 추이
            • (1) 의열단의 국내외 투쟁
            • (2) 재만 독립군의 국내외 의열투쟁
            • (3) 병인의용대의 의열투쟁
            • (4) 개인 단독의거의 흐름과 사례들
        • 4. 1930년대와 일제말의 의열투쟁
          • 1) 한인애국단의 의열투쟁
            • (1) 이봉창의 동경의거
            • (2) 상해거사의 추진과 윤봉길 의거
            • (3) 국내·만주거사 계획의 추진
          • 2) 재중국 아나키스트들의 의열투쟁
          • 3) 한국혁명당총동맹과 남자현의 의열투쟁
          • 4) 상해와 북경에서의 밀정·친일배 처단 활동
          • 5) 한국독립당과 민족혁명당의 의열투쟁
          • 6) 국내 의열투쟁의 불연속성과 지구성
        • 5. 일제 강점기 의열투쟁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재만 독립군의 국내외 의열투쟁

 1920년의 鳳梧洞·靑山里大捷을 필두로 하여 본격화한 재만 독립군의 무장투쟁은 1921년 이후 1920년대 중반까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 가운데 주로 남만주의 독립군조직들이 활발히 전개한 국내진입작전, 그리고 만주 현지에서 벌인 친일단체 및 일제기관 파괴와 밀정·주구 처단 활동은 내용상 의열투쟁에 포함시킬 부분이 많다. 특기할 만한 몇몇 사례들을 통하여 독립군 의열투쟁의 흐름과 진폭을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1920년 8월에 서간도 관전현에서 대한광복군사령부 직속의 국내진입 별동대로 碧昌義勇團이 조직되었다. 단원들은 단장 楊承雨의 진두지휘 아래 평북 벽동·창성군의 산악지형을 적극 활용하면서 경찰관주재소와 금융조합 습격 파괴, 일경 및 밀정·부일배 척살, 군자금 수취 등의 활동을 1924년 봄까지 맹렬히 전개하였다.708) 1922년 4월 金萬秀·崔炳鎬 등 서로군정서 헌병대원 4명은 은신처를 포위하여 공격해 오는 하얼빈 일본총영사 쿠니요시(國吉精保)와 경찰서 형사부장 외 일경 10여 명을 사살하고 계속 교전하다 전원 전사하였다.709)

 1922년 8월에 성립한 大韓統義府 예하의 의용군 6개 중대도 保民會 등 재만 친일단체의 파괴와 밀정·주구 처단 활동, 평북지방 진입 후의 일제기관 습격 및 시설물 파괴 활동을 활발히 벌였다. 1924년 10월 한 달 동안에만 일경 28명과 친일파 32명 사살이라는 큰 전과를 올린 바도 있다.710) 통의부로부터 떨어져나간 義軍府의 유격대장 李京日은 1923년 8월 8일에 대원 30여 명을 이끌고 평북 의주군 광평면 청성진의 경찰관주재소를 습격하여 순사부장을 사살하고, 주재소와 면사무소·우편국·세관출장소 등 인근의 일제기관들을 모두 불태워버렸다.711)

 1923년 여름에 임시정부 군무부의 직속기관으로 성립한 陸軍駐滿參議府도 1926년 경까지 줄기차게 국내진입작전을 전개하여, 일경 사살·밀정 처단·군자금 기부를 거부하는 부호 척살, 경찰관주재소 습격과 시설물 방화 및 파괴를 수십 차례 실행했다. 1924년 5월 19일에는 참의장 白狂雲의 특별지시로 편성된 8인 특공대가 평북 위원군 마시탄의 대안 절벽에 매복해 있다가 사이토 총독을 태운 국경순시선이 나타나자 집중사격을 가하여 혼비백산 도주하게 만들었다.712) 사정거리가 짧아서 총독 격살에는 실패했지만, 이 거사 소식이 전해짐으로써713) 독립운동자들은 크게 고무되어 새롭게 결의를 다졌다. 또한 1926년 7월에는 제2중대원 李壽興과 柳澤秀가 서울로 들어와 동대문파출소에 사격을 가하고 경기도 이천군 백사면사무소와 경찰관주재소도 타격하였다.714)

 1924년 11월에 성립한 正義府에서도 李靑天·오동진 등의 탁월한 군략으로 군사부 별동대가 수시로 국내진입작전을 전개하여, 주구배 암살, 관리 처단·적기관 방화 및 파괴 공작을 수행하였다. 그 중에도 金錫河와 鄭伊衡이 각각 이끄는 제5중대와 제7중대의 활약이 돋보였다.715) 또한 5중대원 이진무는 1925년 7월 4일의 車輦館義擧를716) 비롯하여 금융기관 및 경찰관서 습격, 일경 사살, 밀정 처단 등의 거사를 수차에 걸쳐 수행한 결과, ‘국경의 흑선풍’·‘獨眼(애꾸눈)將軍’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717)

 북만주에서는 1920년에 조직된 義成團(단장 片康烈)이 길림·장춘·이통 일대에서 일본영사관 등 일제관서 습격과 일경 사살, 주구 토벌 등의 활동을 맹렬히 전개하였다.718) 1925년에 성립한 新民府도 별동대 조직을 통하여 만주 각처의 일제 주구단체인 朝鮮人民會의 간부를 색출·처단하고 그 조직을 해체시켰으며, 城東士官學校 졸업생들로 조직된 특수공작대를 국내로 특파하여 암살·파괴 임무를 수행토록 하는 등 꾸준히 의열투쟁을 전개하였다.719)

708)宋相燾, 앞의 책, 298∼299쪽.

金厚卿, 앞의 책, 691쪽.
709)김용국 외, 앞의 책, 390쪽.

金厚卿, 위의 책, 400∼401쪽.
710)朴杰淳,<大韓統義府 硏究>(≪한국독립운동사연구≫4, 1990), 244∼246쪽.
711)金承學, 앞의 책, 349쪽.
712)김승학, 위의 책, 351쪽.

김용국 외, 앞의 책, 470∼475쪽.
713)≪東亞日報≫, 1924년 5월 20·21일.

≪獨立新聞≫, 1920년 5월 31일.
714)趙素昻,≪遺芳集≫(亞細亞文化社, 1992), 160쪽.
715)蔡根植, 앞의 책, 137쪽.
716)김용국 외, 앞의 책, 504∼508쪽.
717)宋相燾, 앞의 책, 343∼344쪽.
718)金承學, 앞의 책, 341쪽.
719)김용국 외, 앞의 책, 493∼495·545∼550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