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Ⅴ. 의열투쟁의 전개3. 3·1운동 직후와 1920년대의 의열투쟁2) 1921년 이후의 의열투쟁 양상과 추이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1. 문화정치의 실상
          • 1) 경찰기구의 강화
            • (1) 보통경찰제의 확립
            • (2) 신간부의 선정과 보통경찰의 기능
          • 2) 지방제도의 개편
            • (1) 동화정책하의 참정권 문제
            • (2) 지방제도의 개편과 자문기구의 설치
            • (3) 면제의 운영과 촌락정책의 실상
          • 3) 친일세력의 양성
            • (1) 친일과 협력이란 개념
            • (2) 친일파의 육성과 이용책
            • (3) 친일단체의 조직
        • 2. 수탈체제의 강화
          • 1) 총독부 산업정책의 전환
          • 2) 농업―산미증식계획
          • 3) 공업
            • (1) 식민지 공업구조의 형성
            • (2) ‘민족자본’과 조선인 자본
          • 4) 재정·금융
            • (1) 재정
              • 가. 세출
              • 나. 세입
            • (2) 금융
              • 가. 식산은행
              • 나. 일반은행
              • 다. 금융조합
              • 라. 전근대적 금융기관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1. 임시정부의 수립과 초기 활동
          • 1) 임시정부 수립의 배경
            • (1) 세계대전의 종전과 민족자결주의
            • (2) 정부수립운동과<대동단결선언>
          • 2)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
            • (1) ‘국민대회’와 국내 정부수립운동
              • 가. ‘국민대회’와 한성정부의 선포
              • 나. ‘경성독립단본부’와 신한민국정부
            • (2) 상해 임시정부의 성립
            • (3) ‘통합’ 임시정부의 출범
          • 3) 임시정부의 초기활동
            • (1) 외교·선전활동
            • (2) 국내조직과 활동
              • 가. 연통제의 시행과 운영
              • 나. 임시교통국의 설치와 운영
            • (3) 군사외교와 독립전쟁 준비
              • 가. 군사외교의 강화
              • 나. 독립전쟁 방침과 군사제도의 정비
              • 다. 재만독립군과의 관계
        • 2. 임시정부와 국민대표회의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론과 ‘정부옹호파’의 반대운동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배경과 참가세력
            • (2) 정부옹호파의 국민대표회 반대운동
            • (3) 제10회 임시의정원
          • 2) 국민대표회의의 전개 과정
            • (1) ‘비공식회의’와 제11회 임시의정원
            • (2) ‘삼방회의’와 국민대표회의의 결렬
          • 3) 국민대표회의에서의 쟁점
            • (1) 국민대표회의의 적법·부적법 문제
            • (2) ‘임정존폐’ 문제와 ‘임정법통론’
        • 3. 임시정부와 유일당운동
          • 1) 유일당운동의 배경과 계기
          • 2) 유일당운동의 추진과 임시정부의 개헌
            • (1) 임시정부 중심의 대당결성 주장
            • (2)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 결성
            • (3) 임시정부 개헌과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결성
            • (4) 의열단의 선언과 광동·무한·남경촉성회 결성
          • 3) 유일당운동의 발전과 임시정부 참여
            • (1) 한국독립당관내촉성회연합회의 결성
            • (2) 전위조직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의 성립
          • 4) 유일당운동의 중단과 임시정부의 여당 결성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1. 독립군의 편성과 국내진입작전
          • 1) 시대적 배경
          • 2) 독립군의 편성
            • (1) 북간도지역
              • 가. 대한군정서
              • 나. 대한국민군
              • 다. 대한군무도독부
              • 라. 대한북로독군부
              • 마. 대한의군부
              • 바. 훈춘한민회
              • 사. 대한광복단
              • 아. 대한신민단
              • 자. 대한의민단
            • (2) 서간도지역
              • 가. 서로군정서
              • 나. 대한독립단
              • 다. 대한독립군비단
              • 라. 광복군총영
          • 3) 국내진입작전의 전개
            • (1) 독립군의 전력강화
            • (2) 국내진입작전
        • 2. 봉오동승첩과 청산리대첩
          • 1) 봉오동승첩
            • (1) 삼둔자전투
            • (2) 봉오동승첩
          • 2) 청산리대첩
            • (1) 일본군의 간도 침공
            • (2)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
            • (3) 독립군의 전투준비
            • (4) 청산리대첩
              • 가. 백운평전투
              • 나. 완루구전투
              • 다. 천수평전투
              • 라. 어랑촌전투
              • 마. 천보산전투
              • 바. 고동하곡 전투
            • (5) 청산리대첩의 전과와 의의
        • 3. 경신참변과 자유시사변
          • 1) 독립군의 북정
          • 2) 경신참변
          • 3) 자유시사변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1.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1) 통군부의 성립과 남만한족통일회의
          • 2)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2. 3부의 성립과 활동
          • 1) 참의부의 성립과 활동
          • 2) 정의부의 성립과 활동
          • 3) 신민부의 성립과 활동
        • 3. 재만 독립운동단체의 민족유일당운동
          • 1) 민족통일전선운동의 대두
          • 2) 3부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1. 의열투쟁의 의미맥락
        • 2. 의열투쟁 본격화의 배경과 계기
        • 3. 3·1운동 직후와 1920년대의 의열투쟁
          • 1) 3·1운동 직후와 1920년의 의열투쟁
          • 2) 1921년 이후의 의열투쟁 양상과 추이
            • (1) 의열단의 국내외 투쟁
            • (2) 재만 독립군의 국내외 의열투쟁
            • (3) 병인의용대의 의열투쟁
            • (4) 개인 단독의거의 흐름과 사례들
        • 4. 1930년대와 일제말의 의열투쟁
          • 1) 한인애국단의 의열투쟁
            • (1) 이봉창의 동경의거
            • (2) 상해거사의 추진과 윤봉길 의거
            • (3) 국내·만주거사 계획의 추진
          • 2) 재중국 아나키스트들의 의열투쟁
          • 3) 한국혁명당총동맹과 남자현의 의열투쟁
          • 4) 상해와 북경에서의 밀정·친일배 처단 활동
          • 5) 한국독립당과 민족혁명당의 의열투쟁
          • 6) 국내 의열투쟁의 불연속성과 지구성
        • 5. 일제 강점기 의열투쟁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3) 병인의용대의 의열투쟁

 의열단이 암살파괴운동의 대열에서 물러선 직후인 1926년 1월 초 상해에서 임시정부 경무국장 羅昌憲의 주도로 병인의용대가 창립되어 의열단식 대일투쟁의 맥을 이어갔다. 창립선언에서 “암살·파괴는 혁명가의 無上의 무기이며 유일한 수단이다. … 귀하가 과연 혁명가라면 폭탄을 안아라, 칼과 친하라”720)고 언명했다시피, 병인의용대는 ‘철혈주의’를721) 표방하며 일제주구 숙청, 반동분자 엄단, 적의 중요시설 파괴 및 중요인물 격살 등을 가장 큰 임무로 내세웠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임시정부 보위-엄호단체의 성격도 강하였다. 60여 명의 대원 중에는 1920년대 초의 국내 폭탄거사에 참여했던 역전의 용사들도 여럿 있었으니, 김예진·임용일[林得山] 등이 그러했다.

 창립 직후인 2월 초부터 3월까지 朴濟乾·李秀鳳 등 병인의용대원은 일본총영사관의 밀정 5명을 연이어 척살하였다.722) 일찍이 1920년에 임시정부 경무국원들이 일본영사관 밀정 金道淳과 총독부 밀정 鄭弼和를,723) 구국모험단원 李錫이 총독부 밀정 金秉憲을724) 처단했던 것과 같은 식이었다. 이 일련의 응징거사에 같이 참여했던 崔炳善과 張英煥(張鎭元)이 피체 수감되자, 李德三(李永善)이 그들을 구출하고자 4월 16일에 일본영사관원 內堀의 辦事處인 勝田館을 습격해서 수류탄을 던져, 일경 여러 명을 폭살시켰다.725)

 일본총영사관 건물 폭파공작도 1년 사이에 세 차례나 벌였다.726) 제1차 거사는 1926년 4월 8일에 金光善 등 대원 3인이 자동차를 타고가며 영사관 구내로 폭탄 2개를 던져 건물 벽과 유리창을 대파시킨 것이었다. 제2차 공작은 9월 5일에 인력거꾼을 시켜 시한폭탄을 영사관 안으로 들여보내려 한 것인데, 정문에서 지체하는 사이에 폭탄이 터져 영사관 폭파에는 실패하였다. 제3차 거사는727) 姜昌濟 등이 시한폭탄을 장치하여 영사관 창고를 대파시킨 것이었다. 이에 앞서 1926년 6월에는 純宗 장례를 전후로 국내 폭탄거사도 계획하여 高俊澤·이덕삼 등 4인의 결사대가 중국 상선 편으로 상해를 출발했는데, 사전 기밀누설로 황포강 하류에서 일본 수상경찰에 전원 피체되었다.728)

 이처럼 발족 첫 해인 1926년에 맹렬한 활동상을 보인 병인의용대는 1927년 이후로는 상해지방 독립운동계 내부의 좌익세력 제압과 임시정부 보위에만 전념하여 의열투쟁의 실적을 거의 내지 못하였다. 이렇게 된 데는 당시의 중국지역 독립운동진영 안팎의 전반적 정세와 분위기 탓이 컸다. 중국의 국공분열 및 좌우대결의 여파가 한국독립운동 대오에도 밀어닥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독립운동계 내부의 관심과 역량은 한동안 민족유일당 또는 협동전선 문제를 둘러싼 조직정렬과 노선논쟁으로 집중되었으며, 임시정부의 재정상태가 극히 열악하여 조직적 의열투쟁에 대한 지원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었다는 사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리하여 1927년 이후로 4, 5년 동안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의열투쟁의 열기가 앞 시기에 훨씬 못미치는 소강상태가 연출되었다. 몇 건의 개인 단독의거와 밀정 척살, 군자금 확보를 위한 금융기관 습격거사만이 간간히 나타났을 뿐이다. 그러다가 1931년에 ‘9·18사변’(만주사변)의 발발과 때를 맞춰 독립운동의 침체 국면을 타개하려는 조직적 의열투쟁이 재활성화하고 제2의 전성기를 맞게 된다.

720)國會圖書館 編,≪韓國民族運動史料(中國篇)≫, 576쪽.
721)여기서 ‘철혈’은 ‘黑鐵赤血’의 줄임말이고, ‘흑철’이란 무기를 뜻한다.
722)趙凡來,<丙寅義勇隊 硏究>(≪한국독립운동사연구≫7, 1993), 365쪽.
723)김구 著, 김학민·이병갑 註解,≪정본 백범일지≫(학민사, 1997), 274·277·278쪽.
724)姜德相 編,≪現代史資料≫27, 286쪽.
72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운동사자료집≫11, 153쪽.

趙素昻, 앞의 책, 158쪽.
726)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운동사자료집≫11, 835쪽.

國會圖書館 編,≪韓國民族運動史料(中國篇)≫, 606∼607쪽.

김용국 외, 앞의 책, 614쪽.

趙凡來, 앞의 글 363∼364쪽.
727)거사 시점은 자료에 따라 1926년말과 1927년 두 가지로 나온다.
728)≪東亞日報≫, 1926년 6월 4·19일.

趙素昻, 앞의 책, 158쪽.

김용국 외, 앞의 책, 610∼612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