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5. 청년운동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가. 학교설립운동의 배경
              • 나. 각종 학교 설립운동
              • 다. 야학과 강습소의 개설
            • (4) 물산장려운동
              • 가.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 나.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가. ‘서상파’의 당재건운동
              • 나. ‘ML파’의 당재건운동
              • 다. 화요파의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가. 지회의 조직문제
              • 나. 사회적·정치적 정책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가. 암태도 소작쟁의
              • 나. 황해도 북률 동척농장 소작쟁의
            • (2)1920년대 후반기
              • 가. 전북 옥구군 이엽사농장 소작쟁의
              • 나. 용천 불이 서선농장 소작쟁의
              • 다. 갑산 화전민 항쟁
              • 라. 수리조합 반대운동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가. 조선노동공제회
              • 나. 조선노동대회
              • 다. 조선노동연맹회
              • 라. 조선노농총동맹
              • 마. 조선노동총동맹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가. 지역 합동노동조합과 직업별 노동조합
              • 나. 직업별 노동조합의 지역연맹체와 전국적 연맹체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가. 근우회의 창립
              • 나. 근우회의 이념:강령과 선언문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가. 강연회·토론회
              • 나. 야유회·체육대회·척사대회
              • 다. 기술강습회
              • 라. 음악회
              • 마. 야학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가. 형평청년회
              • 나. 정위단
              • 다. 형평학우회
              • 라. 형평여성회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가. 형평사 조직개편과 신강령의 채택
              • 나. 형평청년총연맹의 해체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 나. 청년회연합회의 활동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가. 초기 청년단체의 창립과정과 조직구성
              • 나.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가. 전조선청년당대회
              • 나.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가.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청년운동 방침
              • 다.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가.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다.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가. 민족문제 인식
              • 나. 공산대학에 학생파견과 공청학교 경영(계획)
              • 다. 조직방침 논쟁
              • 라. 연령제한 논쟁
              • 마. 학생운동 지도
              • 바.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다.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청총은 계속된 집회금지로 청년운동을 제대로 이끌어가지 못했다. 청총은 1929년 4월 이틀에 걸쳐 중앙위원간담회를 열고 청총의 집회해금을 위해 경무당국에 보낼 집회금지이유질문위원을 선정하고 중앙간부도 재구성하였다.699) 하지만 여전히 청총의 집회금지는 해결되지 않았다. 1928년 중반 이후 고려공청마저도 거의 붕괴되어 청년운동은 해당 지역의 사회주의 청년지도자들에 의해 지도되었다.

 1929년 말부터 대중운동은 뚜렷하게 고조의 기운을 보이기 시작했다. 1929년 11월 광주 학생들의 투쟁을 계기로 1930년 봄까지 전국적으로 학생들의 반일 운동이 계속되었다. 1930∼31년에 파업투쟁과 소작쟁의도 최고조에 달했다. 서울과 지방의 청년들은 격문 살포, 시위, 지방 통치기관 습격, 검거된 동지 탈환투쟁 등을 전개했다. 청년동맹과 청총 도연맹은 집회금지 또는 해산조치에 대한 격렬한 항의와 가두시위도 전개하였다.700) 청총 해금을 위해 과거 당국과 교섭하는 방식과는 달리 ‘청총해금투쟁동맹’을 조직해 청총의 해금을 직접 쟁취하고자 했다.701)

 청총의 조직도 강화되었다. 청총은 1929년 8월 조직강화를 위해 ‘1지방 1동맹 승인주의’ 아래 두 차례에 걸쳐 가맹단체를 정리했다.702) 11월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자 청총은 중앙상무위원간담회를 열고 이에 적극 대처하고자 했다. 그러나 12월 차재정을 비롯한 주요간부들이 광주학생운동사건에 연루되어 검거됨으로써 청총은 완전히 통제력을 잃고 그 기능을 잃어버렸다.

 청년운동의 통일성과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지방 청년동맹에서 ‘전조선 군·부청년동맹 대표자대회’의 소집을 제기했다. 이 대회는 1929년 12월 함북의 경성청년동맹에서 처음 발의된 뒤 함북도연맹에서 인수하여 준비되다가 1930년 4월 청총에 인수되었다. 각 도연맹과 청년동맹들은 대회 파견 대표자를 선정하는 등 활발하게 움직였으나 5월 25일 열려던 전국청년동맹대표자대회 준비위원회는 일제 경찰의 금지로 무산되었다.

 1929년에 들어오면서 사회주의 청년들은 청년운동의 공개적 지도기관으로서 청총의 역할을 부정하였다. 지방 청년동맹에서는 종교문제에 대한 논의가 다시 일어나고, 새로운 청년운동의 지도이론(또는 운동방침)의 수립을 요구했다. 공산주의 그룹은 노농청년을 계급적으로 지도하고 동시에 노농운동을 강화하기 위해 각 조합 안에 독자적인 청년부를 조직하였다. 1928년 말부터 일부 설치되기 시작한 조합 내 청년부는 1930년에 들어오면서 본격적으로 실현되었다. 특히 지방의 청년동맹의 사회주의 청년들은 1930년 5월의 전국청년동맹대표자대회 준비위원회를 계기로 농민조합과 농민조합 내 청년부 설치방침을 실현하고자 했다.703) 그들은 청년부를 통해 무산계급청년을 규합하고 이들을 당 및 공청의 주요인자로 교양·훈련하고자 했다.

 한편 일부 사회주의자들은 청총을 비롯해 신간회·노총·농총의 집회가 계속 금지되어 사회운동의 통일적 지도와 대중과 결합이 봉쇄된 상황에서 분산적인 비합법 활동은 일제의 탄압 아래 자멸할 것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공민권획득운동을 대중적으로 전개하여 일제의 법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정치적 자유를 먼저 확보함으로써 투쟁조건을 유리하게 만들자고 주장했다.704) 이를 일컬어 당시 ‘합법운동파’라 불렀다. 이러한 움직임은 과거 서울계 구파에 속했던 許一·李恒發 등이 주도하였다.

 청총 중앙의 다수파를 형성한 ‘합법운동파’는 傳說大會라는 명분으로 지방을 순회하면서 세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청총의 ‘합법운동파’는 1930년 11월 새로운 중앙간부를 구성하고 12월 중앙집행위원간담회에서 “청총이 대중적·합법적 조직인 만큼 과거와 같이 계급적 조직을 산출하는 단체주의적 경향을 청산”하고, 군·부동맹을 본부 직속의 지부제로 변경하는 방침을 지도노선으로 채택했다.

 청총의 이러한 정책에 대해 지방의 청년운동가들은 패배주의적 합법주의자들인 기회주의적·개량주의적 간부들의 반동행위로 규정하고 청총 중앙간부 불신임 및 지도노선 전환에 대한 항의성명서를 발표했다. 1931년 1월부터는 지방의 청년동맹에서도 청총·청년동맹의 해소논의가 대중적이고 공개적으로 진행되었다. 청년동맹의 청총 해소논의 이면에는 공산주의자 그룹의 입장이 일정하게 반영되었다.705) 이후 노농청년은 조합의 청년부로, 소부르주아 청년은 반제동맹으로 집중되었다. 그러나 청년동맹의 해소과정에서 농촌청년은 농조의 청년부로 재편성되는 것이 용이하였으나, 도시의 노동청년은 직업별 노조의 청년부로 흡수가 쉽지 않았다.706) 반제동맹도 학생층만을 대상으로 한 조직운동으로 변질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직적 전환이 당 및 공청의 보조조직이자 양성소 역할을 한, 이른바 당의 별동대로 되었던 것이다.707)

699)≪중외일보≫, 1929년 4월 29일. 질문위원 朱允興·姜壽永·朴世榮·沈恩淑 金達隣, 중앙상무 서기 車載貞·주윤흥, 상무위원 박세영·金連培·朴泉·金若秀·許貞淑·金若泉, 중앙집행위원 張錫天·朴斗彦·朴勝極·金善基·崔衡植·金鍾禹·楊順永·洪炳哲·강수영·羅承奎·鞠埰鎭·張奎晶·黃潤經·沈致寧·裵尙炫·金得永·黃泰成·심은숙·姜貞熙·李三手·任允宰·趙斗熙·金桂影·李明郁·元會翊·方致規·朴雄鍾·金在翰·安喆洙·金台洙·李泰煥·金衆載·金泰秀·金亨潤.
700) 이애숙,<1930년대 초 청년운동의 동향과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한국역사연구회 근현대청년운동사연구반 편, 앞의 책), 368∼370쪽.
701)≪동아일보≫, 1929년 9월 13일.
702) 청총 가맹단체는 1929년 말 현재 203단체, 회원총수 2만 782명이었는데, 그 가운데 청년동맹이 174단체(지부 456)에 동맹원 19,160명이었다. 당시 행정구역의 군·부가 232곳임을 감안한다면 군·부지역의 75%가 청총에 가입한 것이며, 가입단체의 85.7%가 청년동맹이었고, 가입회원 가운데 92%가 청년동맹에 소속되어 있었다. 전남·경남·함북 같은 곳은 1∼2개 군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군·부에 청년동맹이 조직되었고, 함북의 경성청년동맹은 동맹원이 1,500여 명에 달했다(≪중외일보≫, 1930년 4월 16일). 1931년 2월 현재 청총 가맹단체는 147단체, 회원 3만 1,723명이었고 그 가운데 청맹은 135단체(지부 205), 동맹원 3만 1,041명이었다. 청총 가맹단체의 수는 줄었지만 청년동맹의 가맹률 및 청총 소속 동맹원 비율은 각각 91.8%와 97.8%에 달했다(朝鮮總督府 警務局,≪朝鮮治安狀況≫, 昭和 5年, 20쪽).
703)<張台亨豫審請求書(1930. 9. 29)>(김경일 編,≪韓國民族解放運動史資料集≫6), 101∼102쪽.

<鄭遇尙 외 4인의 判決文(1932. 3)>(김경일 編, 같은 책), 103∼129쪽.
704) KH生,<사회운동>(≪別乾坤≫, 1930년 10월), 5∼9쪽. KH生은 비합법적인 종파주의에 흐르지 말고 합법적 활동으로써 광범히 대중과 접근해야 하며, 노동자·농민·소시민 일부 ‘혁명’적 부르주아의 공통된 이해를 반영하는 슬로건을 내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705) 이애숙, 앞의 글(1995b), 388쪽.
706) 이애숙, 앞의 글(1995b), 397∼398쪽.
707) 박한용,<1930년대 전반기 민족협동전선론과 ‘학생반제동맹’>(한국역사연구회 근현대청년운동사연구반 편, 앞의 책), 475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