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6. 학생운동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가. 학교설립운동의 배경
              • 나. 각종 학교 설립운동
              • 다. 야학과 강습소의 개설
            • (4) 물산장려운동
              • 가.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 나.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가. ‘서상파’의 당재건운동
              • 나. ‘ML파’의 당재건운동
              • 다. 화요파의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가. 지회의 조직문제
              • 나. 사회적·정치적 정책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가. 암태도 소작쟁의
              • 나. 황해도 북률 동척농장 소작쟁의
            • (2)1920년대 후반기
              • 가. 전북 옥구군 이엽사농장 소작쟁의
              • 나. 용천 불이 서선농장 소작쟁의
              • 다. 갑산 화전민 항쟁
              • 라. 수리조합 반대운동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가. 조선노동공제회
              • 나. 조선노동대회
              • 다. 조선노동연맹회
              • 라. 조선노농총동맹
              • 마. 조선노동총동맹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가. 지역 합동노동조합과 직업별 노동조합
              • 나. 직업별 노동조합의 지역연맹체와 전국적 연맹체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가. 근우회의 창립
              • 나. 근우회의 이념:강령과 선언문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가. 강연회·토론회
              • 나. 야유회·체육대회·척사대회
              • 다. 기술강습회
              • 라. 음악회
              • 마. 야학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가. 형평청년회
              • 나. 정위단
              • 다. 형평학우회
              • 라. 형평여성회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가. 형평사 조직개편과 신강령의 채택
              • 나. 형평청년총연맹의 해체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 나. 청년회연합회의 활동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가. 초기 청년단체의 창립과정과 조직구성
              • 나.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가. 전조선청년당대회
              • 나.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가.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청년운동 방침
              • 다.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가.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다.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가. 민족문제 인식
              • 나. 공산대학에 학생파견과 공청학교 경영(계획)
              • 다. 조직방침 논쟁
              • 라. 연령제한 논쟁
              • 마. 학생운동 지도
              • 바.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2·8학생운동

 1919년 2월 8일 동경유학생들이 朝鮮靑年獨立團을 조직하고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재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YMCA) 강당에서<민족대회소집청원서>·<독립선언서>및<결의문>을 일본 귀족원·중의원과 각부 대신 및 각국 공사에게 우송하고, 오후 2시<독립선언서>와<결의문>을 낭독함으로써 2·8학생독립운동의 막은 올랐다.783) 이 운동은 하루아침에 갑자기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일어날 수밖에 없는 몇 가지의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첫째 이들 동경유학생들은 지적 소수자였으며 자기 나름대로 사상적 체계를 갖추고 있었던 계층이었던 것이다. 둘째 이들 유학생들은 서로간에 친선을 도모하고 학문을 서로 면려할 수 있는 조직체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 대표적인 단체가 1912년에 조직된 동경유학생 학우회였다. 셋째 1910년대 일본의 자유·민주주의적인 학풍의 영향을 받고 있었던 것을 들 수 있다. 조국인 한반도에서는 일제의 무단통치의 지배하에 사상의 자유가 없었지만 일본에서는 다이쇼데모크라시(大正Democracy)라고 하던 민본주의에 입각한 자유주의와 민족주의가 팽배하고 있어서 동경유학생들도 이의 영향을 받고 있었던 것이다. 넷째 이들 동경유학생들은 웅변회·토론회 등을 통하여 민족의식과 독립사상의 강조를 주장하고 있었다. 다섯째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이 컸다. 1918년 1월 미국대통령 윌슨이 세계평화안으로 14개조를 미국의회에 제출하였는바 그 중에 민족자결론이 포함되어 있어서 약소민족에게는 복음과도 같았다.

 이상과 같은 배경 속에서 2·8학생운동의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은 다음과 같은 2가지 기사를 알면서부터이다. 그 하나는 1918년 12월 1일자 영국선교사가 발행하던≪저팬 어드버타이져≫(Japan Advertiser)에 “미국에 거주하는 이승만·閔燦鎬·鄭翰景 3명이 한국민족대표로 한국독립을 제소코자 파리평화회의에 파견되었다”는 기사와 12월 15일자≪東京朝日新聞≫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이 독립운동자금으로 30만원을 모금하였다”는 기사였다. 이 두 가지 기사를 본 동경유학생들은 차제에 한국독립의 의지를 표명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고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1918년 12월 20일 동경 明治會館에서 열린 학우회 주최 망년회에서 민족자결주의에 의한 한국독립론이 주제로 거론되었으며 다음 날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개최된 동서연합웅변대회에서도 독립문제가 거론되었다. 드디어 1919년 1월 6일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학우회 주최 신년웅변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자리에서 독립선언을 위한 임시대책위원으로 崔八鏞(早稻田大 재학) 이하 9명을 선출하였다.784)

 이들 대표들은 정치적 결사로서 조선청년독립단을 조직하고 이들의 이름으로<독립선언서>·<민족대회소집청원서>및<결의문>을 작성하기로 결의하고 문안작성은 李光洙에게 일임하였다. 이와 같이 작성된<독립선언서>원문과 결의문은 각각 600부씩 등사하였고 청원서는 1,000부를 인쇄하여 비밀리에 보관하였다.

 한편 독립운동을 유학생들만의 단독으로 감행하기보다는 국내와의 제휴를 모색하기 위하여 宋繼伯이<독립선언서>를 가지고 국내에 들어와 玄相允·宋鎭禹·崔麟 등을 만나 독립운동에 관한 결의와 협조를 요청하였다.

 1919년 2월 8일 오후 2시 학우회 임원선거라는 명목으로 400여 명의 동경유학생이 모였다. 최팔용의 사회로 학우회장 白南奎의 개회사에 이어 白寬洙가<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金度演이 결의문을 읽자 장내는 흥분의 도가니로 화했다. 결의문의 만장일치 통과와 함께 “조선독립만세”를 부르고 시위운동에 나서려고 하였으나, 이 집회를 예의주시하고 있던 일경에 의하여 해산당하고 30여 명의 학생들이 연행되었다. 그 뒤 이들 중 학생대표자 9명은 1920년 3월 모두 출옥하였다.785)

 이상과 같이 2·8학생운동은 일제의 탄압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었지만 그것이 가져다준 영향은 컸다. 적국의 심장부인 동경에서 항일운동을 학생들만으로 일으켰다는 것과<2·8독립선언서>에서 일제와의 영원한 血戰을 주장한 강력한 독립의 의지를 표명하였으며, 국내의 3·1운동과 3·5학생운동의 촉진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783)金成植,<日帝下 韓國學生運動史>(≪日帝下의 民族運動史≫, 高大 亞細亞問題硏究所, 1971), 137쪽.
784)이날 선출된 10명은 최팔용(早稻田大)·田榮澤(靑山學院)·徐椿(동경고등사범)·백관수(正則學院)·尹昌錫(靑山學院)·송계백(早稻田大)·李琮根(東洋大)·金相德(무직)·김도연(慶應義塾)·崔謹愚(동경고상)였다. 그러나 전영택이 신병으로 사퇴하고 이광수(早稻田大)와 金喆壽(慶應義塾)가 새로 위원으로 보선되어 대표위원은 11인이었다.
78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학생운동>(≪독립운동사≫9, 1980), 135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