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6. 학생운동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가. 학교설립운동의 배경
              • 나. 각종 학교 설립운동
              • 다. 야학과 강습소의 개설
            • (4) 물산장려운동
              • 가.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 나.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가. ‘서상파’의 당재건운동
              • 나. ‘ML파’의 당재건운동
              • 다. 화요파의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가. 지회의 조직문제
              • 나. 사회적·정치적 정책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가. 암태도 소작쟁의
              • 나. 황해도 북률 동척농장 소작쟁의
            • (2)1920년대 후반기
              • 가. 전북 옥구군 이엽사농장 소작쟁의
              • 나. 용천 불이 서선농장 소작쟁의
              • 다. 갑산 화전민 항쟁
              • 라. 수리조합 반대운동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가. 조선노동공제회
              • 나. 조선노동대회
              • 다. 조선노동연맹회
              • 라. 조선노농총동맹
              • 마. 조선노동총동맹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가. 지역 합동노동조합과 직업별 노동조합
              • 나. 직업별 노동조합의 지역연맹체와 전국적 연맹체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가. 근우회의 창립
              • 나. 근우회의 이념:강령과 선언문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가. 강연회·토론회
              • 나. 야유회·체육대회·척사대회
              • 다. 기술강습회
              • 라. 음악회
              • 마. 야학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가. 형평청년회
              • 나. 정위단
              • 다. 형평학우회
              • 라. 형평여성회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가. 형평사 조직개편과 신강령의 채택
              • 나. 형평청년총연맹의 해체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 나. 청년회연합회의 활동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가. 초기 청년단체의 창립과정과 조직구성
              • 나.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가. 전조선청년당대회
              • 나.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가.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청년운동 방침
              • 다.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가.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다.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가. 민족문제 인식
              • 나. 공산대학에 학생파견과 공청학교 경영(계획)
              • 다. 조직방침 논쟁
              • 라. 연령제한 논쟁
              • 마. 학생운동 지도
              • 바.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1876년 개항한 조선왕조는 국내외 급격한 변화에 직면하여 부국강병을 목적으로 개화정책을 추진했다. 이어서 1894년 甲午改革을 통하여 교육의 기회균등과 학교교육의 제도화가 실현되고 學務衙門의 설치로 문교행정기구가 독립되면서 근대적 신학제의 수립을 보았다. 1895년 1월에는<洪範十四條>가 반포되어 그 11조에 “국중에 총명한 자제를 널리 파견하여 외국의 학술과 기예를 전습시킨다”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였고, 이 해 2월 고종은 전국민에게 교육입국의 뜻을 밝힌<敎育詔書>를 반포하였다.769)

 교육입국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교육에 대한 법제화 실현을 가능케 하여 1895년 4월<漢城師範學校官制>를 비롯하여 1904년 6월<農商工學校官制>에 이르기까지 제교육 관제·법령이 공포되었고, 이에 따라 1895년 4월 한성사범학교가 서울 교동에 설립되었으며, 외국어학교로는 同文學(1883)·育英公園(1886)·日語學校(1891)·英語學校(1894)·法語學校(1895)·俄語學校(1896)·漢語學校(1897)·德語學校(1898)가 설립되었다. 소학교는 1895년 서울 중부 수하동에 수하동소학교를 개교한 뒤를 이어 장동(뒤에 매동)·정동·제동 소학교가 설립되었고 이어서 동부학당 옛터에 양사동소학교가 설립되었다. 이와 함께 각 지방에도 심상소학교가 설립되었다. 그리하여 1896년 38개교였던 것이 1904년에는 서울에 10개교, 지방에 50개교의 소학교가 설립되었다. 중학교로서는 1900년 서울에 漢城中學校가 설립되었고, 1899년 京城醫學校·商工學校(1904년 농상공학교로 개칭), 1900년에 鑛務學校, 이밖에 1895년 法官養成所, 1897년 郵務學堂·電務學堂이 세워지기도 하였다.770)

 1905년 제2차<韓日協約>(일명<乙巳保護條約>)으로 외교권을 일제에게 빼앗긴 대한제국은 그 뒤 1907년<韓日新協約>(일명<丁未七條約>)으로 행정권·사법권·인사권까지 빼앗기고 1910년<합방조약>으로 한국은 1945년 8월 15일까지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로 그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개화·애국계몽운동시기 한국민족은 일본제국주의에 대항하여 민족운동을 꾸준하게 전개하였다. 그 방법의 하나는 직접 무기를 들고 일제와 싸웠던 의병전쟁이었고, 다른 하나는 실력을 양성하며 일제를 물리치겠다는 애국계몽운동이었다.

 애국계몽운동은 독립사상(국권)과 민권사상을 기반으로 언론·결사·교육·산업 등 전 분야에 걸쳐 자강지술을 강구하여 기울어져 가는 나라를 건지려고 의식하고 국민들을 깨우치고 가르쳐서 투철한 국가관·민족관에 입각하여 구국대열에 나설 수 있는 실력을 배양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771)

 국권과 민권을 목표로 전개되었던 애국계몽운동은 그 실천방법으로서 교육의 진흥과 산업의 개발을 추진하려고 하였다. 사실 당시 애국계몽가들은 일제의 침략을 받게 된 것은 일본과 같이 근대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각성 속에서 실력을 양성하여 일본을 구축하고 자주독립국가를 세우려고 하였던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국민을 無知로부터 깨우쳐 근대 학문의 지식을 보급시키고 이들에게 애국정신을 일깨워주어야 한다고 믿었다.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교육이 일어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는 등의 구호 속에 전개되었던 교육구국운동은 애국계몽운동의 근간이었고 한민족 생존권의 절규였다.

 1896년 11월 30일 培材學堂 학생들에 의하여 우리 나라 최초의 학생단체인 협성회가 조직되었다.772) 이 협성회를 결성하는 데는 徐載弼의 도움이 있었다. 그는 1884년 甲申政變으로 미국에 망명, 그곳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체류하던 중 1895년 朴泳孝의 권유로 귀국, 중추원 고문에 임명되었다. 그는 국내에서 독립협회 창립,≪독립신문≫간행, 독립문 건립 등 활발한 민권·국권운동과 자주독립을 위한 개화운동을 추진하였다. 한편 그는 학생활동 지도에도 관심을 가져 장차 배재학당 학생들로 중추원 의관을 삼고 민주의회를 개설할 목적으로 자주 토론회를 열어 입헌정치에 대한 훈련을 시켰다. 그리하여 그는 1896년 5월 21일 이래 매주 목요일 3시부터 2시간씩 특별 연속강의를 배재학당 학생들을 상대로 실시하고 세계지리·역사·정치뿐만 아니라 의회규칙·국내외 정세 등의 내용을 학생들에게 교육시켰다.

 서재필은 본격적인 토론회를 위하여 우선 13명의 학생을 모아 학생 모의국회와 같은 협성회를 발기시켰다. 이 때 창립 발기회원들은 梁弘黙·李承晩·申興雨·盧炳善·周相鎬·尹昌烈·閔贊鎬 등이었고 창립 당시 회칙, 사업계획, 회원명단, 임원진의 구체적인 기록은 없으나 창립된 지 14개월 후에 발간된 기관지≪협성회회보≫에 의하면 그 설립목적과 창립 당시의 임원진을 알 수 있다.773)

 13명의 학생으로 출발한 협성회는 창립 1년 만인 1897년에는 회원수가 200명으로, 1898년에는 300여 명으로 증가되었다. 협성회의 활동은 다방면에 걸쳤지만 그 중에서도 토론회의 개최, 가두 연설회의 개최, 기관지 발행이 그 대표적인 활동이었다.

 서재필은 협성회를 조직한 후 그 운영의 제1차적인 방법으로 교내문제에서부터 정치·사회문제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여 토론을 통하여 해결방법을 모색하도록 하였다. 협성회의 토론회는 매주 토요일 오후 2시 배재학당에서 통상회로 개최하였으며 회원·찬성원 이외에 일반인의 방청도 허락하였고 특별한 의제가 있으면 특별회를 열기도 하였다.774)

 협성회는 토론회와 함께 민중에게 자유민권사상과 자주국권사상을 일깨워주기 위하여 초청연사를 통한 강연회와 회원 스스로가 가두에 진출하여 강연회를 갖기도 하였다. 협성회의 초청연사로는 서재필·尹致昊가 인기 있었다. 서재필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서양사상을 심어주기도 하고 회의진행에 있어서 ‘동의’·‘제청’·‘개의’ 등의 방법을 가르쳤다. 윤치호도 ‘연설’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고 한국의 장래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협성회는 초빙강연회를 개최함과 동시에 1897년 여름부터 광화문·종로 등에서 민중계몽을 위한 가두연설회를 개최하였다. 처음 대중들은 연설을 한다면 무슨 잔치를 벌이는 것으로 오인하였으나 차츰 호기심에 구경하기 위하여 모여들게 되었고, 연설내용 중 좋은 말과 새로운 용어를 발견하게 되고 사회개혁을 주장함에 따라 차츰 관심도가 높아지게 되었고 학생연사들도 차츰 정치문제를 주제로 삼는 연설회로 발전시켜 나갔다.775)

 협성회의 활동 중 또 하나의 업적은 기관지의 발행이었다. 협성회 회원들은 토론회를 전개하면서 널리 일반시민들에게 토론의 내용과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필요성을 느끼고 회보간행을 계획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1898년 1월 1일자로≪협성회회보≫제1권 제1호를 주간으로 간행하였다. 회보의 체제는 4·6배판 2단제로 1면에는<광고>를 싣고 2·3면에는<내보>와<외보>를, 4면 끝에<회중잡보>를 실었다.≪협성회회보≫는 1898년 1월 1일부터 4월 2일 제14호까지 주간으로 간행되었다가 9일≪일신문≫으로 제명을 바꾸어 일간지로 간행하였다.776)

 이 시기 최초의 동맹휴학은 1896년 10월 배재학당에서 일어났다. 1895년 정부는 200명의 국비생을 이 학교에 위탁하였는데, 이들이 국가에서 지급되는 장학금의 액수와 지불이 늦어지는 것에 불만을 품고 동맹휴학을 단행한 것이다. 주동자 梁在弘은 수업을 받으러 교실에 앉아있던 동료들에게 “여보게들 무관학교로 가세 거기서는 학원대접을 잘한다네” 하면서 밖으로 나갔다. 이에 학생들도 동조하여 다음날부터 학교에 나오지 않았다. 당황한 학부에서는 학생들에게 해명을 하고 지불약속도 하자 다시 등교하였지만, 몇몇 학생은 더 대우가 좋은 학교로 전학하였다.777)

 한편 같은 해 6월 새로 학부대신에 임명된 申箕善이 국왕에게 상소하여 단발, 양복착용이 야만의 시초요, 국문 사용의 금지를 요구하였는 데, 이에 대하여 한성사범학교 학생들이 학부에 청원서를 내고 모두 퇴학하겠다고 위협하였다. 이 시기 학제문제로 일어난 동맹휴학은 1897년 교동고등소학교에서였다. 즉 이 학교에 학부가 수하동소학교생 12명을 전학시키자 고등소학교생들이 초등소학교생들과 같이 수업을 받을 수 없다고 하면서 30여 명이 일제히 동맹휴학에 들어갔으나 이 학교 교사 李承喬의 무마로 해결되었다.778)

 또한 교사의 처우문제로 일어난 동맹휴학도 있었다. 1899년 아어학교 교사 미루코푸(Mirukoff)가 봉급을 영어학교 교사와 같은 수준으로 인상하여 줄 것을 요구하면서 학부에 항의하자 이에 동조하여 이 학교 33명의 학생 중 11명이 자진 퇴학하였으며, 같은 해 영어학교 교사 허치슨(Hutchison)이 임기가 만료되어 근무하기 어렵게 되자 학생들은 동교사의 유임을 학부에 요구하면서 들어주지 않으면 퇴학하겠다고 위협하였다. 그러나 학부에서는 청원서에 서명한 金永濟 등 12명을 출학시켰다. 이에 학생들은 동맹휴학을 단행하니 동교의 부교사 핼리팩스(T.W.Hallifax)의 노력으로 출학자 12명이 재입학됨으로써 해결을 보았다.779)

 한편 정치현실에 대한 문제와 일인교사 및 일본어 수업거부로 일어난 동맹휴학도 있었다. 1899년 영어학교 학생들은 독립협회의 만민공동회에 참가를 제지하는 학교 당국의 처사에 불만을 품고 동맹휴학에 돌입하였으며, 1905년<을사조약>이 늑결되자 시내 소학교 300여 명의 학생이 고등소학교 학생과 함께 일제히 동맹휴학에 들어갔으며, 일어학교 학생들도 일본어교육을 거부하면서 동맹휴학하였다. 일본인 교사에 대한 불만으로 동맹휴학한 학교는 1906년 농상공학교생의 맹휴, 1907년 일어학교생의 맹휴, 1908년 법관양성소 학생의 맹휴가 두드러졌다.780)

 개화·애국계몽기에 있어서 학생들의 가장 활발한 활동은 체육행사였다. 당시 공·사립학교가 계속 설립되면서 교과과정에 체육교과목이 초등교육에서 사범교육, 고등교육에 이르기까지 설정되어 있었다. 더욱이 1895년<교육입국조서>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교육의 3대 목표도 체육·지육·덕육으로 체육을 제일 먼저 내세운 것은 건전한 정신을 갖기 위하여 건강한 육체의 단련이 급선무였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시기 공사립을 막론하고 체육시간이 있었고 이 시간에는 엄격한 군대식 체조와 운동경기 특히 육상경기를 가장 많이 장려하였다.781)

 학교 내에서의 신체단련을 위한 체육활동은 학교단위의 운동회, 지역별 각급 학교의 연합운동회, 나아가 전국학생 대운동회가 자주 개최되어 학생들의 친선과 단결을 도모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었지만 한 걸음 나아가 일반민중들에게까지 단결과 민족적 자각을 불러일으키게 했다. 특히 운동경기가 끝나고 학생·관중을 위한 계몽강연이 종종 열려 운동회는 육체와 정신의 조화 속에서 학생의 사기를 드높이게 하여 민족의 장래를 위한 애국심의 고취에 일익을 담당하였던 것이다.

 이 시기 각급 학교에서 개최했던 운동회의 성격은 1896년부터 1899년 사이에는 순수한 체육행사로 진행되었으나, 1905년<을사조약>늑결 이후에는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인 교육구국운동의 차원에서 개최되고 있었다. 그것은 첫째 운동회가 체육행사로 끝나지 않고 강연회와 함께 개최되고 있었다는 것, 둘째 운동회가 군대식 훈련을 본땄다는 것, 셋째 운동회 때는 반드시 태극기가 게양되고 애국가와 운동가가 제창되었다는 것, 넷째 운동회가 학생들만이 아니라 그 지역주민과 일체감을 가지고 개최되었다는 것을 보아서도 그러하다.782)

769)≪官報≫, 開國 504년 2월 2일,<敎育詔書>.
770) 渡邊學,≪朝鮮敎育史≫(講談社, 1975), 238쪽.
771) 愼鏞廈,<新民會의 創建과 그 國權回復運動>上·下, (≪韓國學報≫8·9, 1977).
772) 尹聲烈,<남기고 싶은 이야기들-培材學堂>(35)(≪中央日報≫, 1977년 3월 16일).
773)≪협성회회보≫1-1, 1898년 11월 1일,<론셜>.

설립목적:① 충군 애국지심의 함양, ② 상호간의 친목도모, ③ 학문연마와 선행 이행, ④ 민중계몽.

임원진 회장:양홍묵, 부회장 노병선, 서기 이승만·金淵根, 회계 윤창렬·金赫洙, 사찰 李益采·壬寅鎬, 사적 주상호.
774) 김동면,<협성회연구-토론회 및 기관지 논설을 중심으로->(단국대 석사학위논문, 1980).
775)尹聲烈,<남기고 싶은 이야기들-培材學堂>(36)(≪中央日報≫, 1977년 3월 17일).
776)≪매일신보≫1-1, 1898년 4월 9일,<론셜>.
777)≪독립신문≫, 1896년 6월 4일,<잡보>.
778)≪독립신문≫, 1897년 1월 14일.
779)≪독립신문≫, 1899년 1월 14·23일,<잡보>.
780)≪대한매일신보≫, 1908년 6월 3일.
781) 羅絢成,≪韓國體育史≫(靑雲出版社, 1963), 98쪽.
782) 金鎬逸, 앞의 글(1987).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