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6. 학생운동4) 6·10학생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가. 학교설립운동의 배경
              • 나. 각종 학교 설립운동
              • 다. 야학과 강습소의 개설
            • (4) 물산장려운동
              • 가.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 나.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가. ‘서상파’의 당재건운동
              • 나. ‘ML파’의 당재건운동
              • 다. 화요파의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가. 지회의 조직문제
              • 나. 사회적·정치적 정책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가. 암태도 소작쟁의
              • 나. 황해도 북률 동척농장 소작쟁의
            • (2)1920년대 후반기
              • 가. 전북 옥구군 이엽사농장 소작쟁의
              • 나. 용천 불이 서선농장 소작쟁의
              • 다. 갑산 화전민 항쟁
              • 라. 수리조합 반대운동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가. 조선노동공제회
              • 나. 조선노동대회
              • 다. 조선노동연맹회
              • 라. 조선노농총동맹
              • 마. 조선노동총동맹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가. 지역 합동노동조합과 직업별 노동조합
              • 나. 직업별 노동조합의 지역연맹체와 전국적 연맹체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가. 근우회의 창립
              • 나. 근우회의 이념:강령과 선언문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가. 강연회·토론회
              • 나. 야유회·체육대회·척사대회
              • 다. 기술강습회
              • 라. 음악회
              • 마. 야학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가. 형평청년회
              • 나. 정위단
              • 다. 형평학우회
              • 라. 형평여성회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가. 형평사 조직개편과 신강령의 채택
              • 나. 형평청년총연맹의 해체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 나. 청년회연합회의 활동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가. 초기 청년단체의 창립과정과 조직구성
              • 나.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가. 전조선청년당대회
              • 나.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가.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청년운동 방침
              • 다.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가.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다.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가. 민족문제 인식
              • 나. 공산대학에 학생파견과 공청학교 경영(계획)
              • 다. 조직방침 논쟁
              • 라. 연령제한 논쟁
              • 마. 학생운동 지도
              • 바.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6·10학생운동의 추진

 순종의 승하로 국내가 어수선한 가운데 일경의 감시가 기성 민족운동가들에게 쏠리고 있을 때 학생층은 제2의 3·1운동을 목적하고 6·10학생만세시위운동의 거사계획을 진행시켰다.814)

 전문학교 중심의 학생들은 1926년 4월 26일 마침 조선학생과학연구회 춘계야유회날로 회원 약 80여 명이 세검정으로 야유회를 가던 도중 순종의 승하소식을 호외로 보고 이때부터 어떤 방법으로든 간에 민족운동을 일으켜야겠다는 결심을 하였다. 첫 거사회담이 개최된 곳은 같은 해 5월 20일 죽첨정(현재 서대문 충정로) 1정목 35번지 연희전문학교 문과 2년생인 朴河均의 하숙에서였다. 이날 4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순종 인산일인 6월 10일에 독립만세와 가두시위를 일으켜 민족독립을 성취하자는 결의를 하고, 그 준비책임자로 李柄立·李先鎬·李天鎭·朴斗鍾을 선출하였으며, 자금은 박하균·박두종이 맡기로 하였다.815)

 그 후 6월 6일 이병립은 견지동 97번지 조선학생과학연구회 사무실에서 이 회 집행위원인 이선호와 회담하고 거사일을 인산일로 할 것을 재차 다짐하였고, 같은 달 7일에는 최종적으로 박하균의 하숙에서 모든 계획을 수립하였다. 다음날에는 이선호·이병립·박두종·박하균 등이 서대문 애기릉(북아현동) 솔밭에서 태극기,<조선독립만세문>약 30매를 작성하였다. 다음날인 9일에는 평동 12번지 3 金鍾讚의 방에서 이병립이 기초한 “이천만 동포의 원수를 구축하라. 피의 대가는 자유다. 대한독립만세”816)라는 격문을 무수정으로 통과시켰다. 이에 이병립은 이를 인쇄하기 위하여 박두종의 친구인 金洛煥에게 인쇄기계를 부탁하였는데, 마침 黃奎昌이 명함인쇄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이를 빌려서 사직동 이석훈의 하숙에서 약 1만 매를 인쇄하였다.

 이렇게 인쇄된 격문은 이선호가 중앙고보생 權泰晟·柳冕熙, 연희전문생 權五尙·洪明植·朴漢福에게 태극기 몇 폭과 함께 교부하였으며, 박두종은≪시대일보≫배달부 김낙환에게 360매, YMCA 영어과생 劉瑗植에게 300매, 근화여자학교생 金貞子에게 태극기 한 폭과 100매를 교부하였다. 이천진은 중동고보생 김인오에게 태극기 2폭과 격문 600매를 주었으며, 박하균은 연희전문생 金奎鳳에게 500매, 이석훈에게 600매, 韓一淸에게 30매를 교부하였다. 한편 유면희는 중앙고보내에서 300매와 태극기 3폭을 교부받아 50매를 같은 학교생 朴鍾業·金鉉相에게 나누어 주었다.817)

 사립중등학교학생을 중심으로 6·10학생운동의 거사계획은 중앙고보와 중동학교생들에 의하여 추진되었다. 중앙고보의 朴龍圭·李東煥, 중동학교의 郭戴炯·金載文·黃廷煥 등이 순종의 승하소식을 듣고 시내 사립고보생 중심의 시위운동을 계획한 것이 5월 16일이었다.818) 이날 이들은 文仁根의 하숙방에서 거사에 필요한 동지규합을 의논하고 같은 달 23일 혜화문 삼선평에서 각 학교별 축구시합을 위장하여 동지 50여 명을 규합하였고, 같은 달 26일 낙원동 255번지 황정환의 하숙방에서 격문을 인쇄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하여 같은 달 29일 박용규 등 5명은 통동 71번지 金召史宅 김재문의 하숙에서 다음과 같은 격문을 기초하였다.

 <격문>

조선민중아! 우리의 철천의 원수는 자본·제국주의 일본이다.

2천만 동포야! 죽음을 각오하고 싸우자! 만세 만세 조선독립만세!

단기 4259년 6월 10일

조선민족대표 김성수·최남선·최린

 (<重大宣傳文集>,≪朝鮮思想運動調査資料≫1, 44쪽).

 위와 같은 격문을 29일부터 31일 사이에 낙원동 250번지 金性琪에게 등사판을 빌려서 5,000매를 등사, 앞의 5명이 각기 1,000매씩 나누어 갖고 다시 이를 각 학교 학생들에게 분배하여 거사일인 6월 10일 봉도대열 속에 있다가 조선독립만세를 고창함과 동시에 살포하기로 하였다.819)

814) 國史編纂委員會,≪韓國獨立運動史≫Ⅳ(1968), 3∼8쪽.
815) 朴龍圭,<6·10 만세운동 37주년>(≪동아일보≫, 1963년 6월 10일).

한편 전문학교생 중심의 거사계획 주동인물의 인적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병립(24), 강원도 통천군 학삼면 학고리 19, 연희전문학교 문과 2학년.

이선호(24), 경북 안동군 예안면 정포리 176, 중앙고등보통학교 4학년.

이천진(23), 함남 북청군 양가면 중리 1633, 경성제국대학 예과 1학년.

박두종(24), 함남 홍원군 경포면 좌상리 161, 청년학관 영어과.

박하균(25), 함남 홍원군 포청면 신평리 23, 연희전문학교 문과 2학년.
816) 경성복심법원형사부,≪6·10만세운동사건판결문≫.

이 격문을 기초한 이병립은≪동아일보≫, 1926년 6월 26일자에서 ‘조선학생회장’으로 보도되었으나, 平江汕二,≪朝鮮民族獨立運動秘史≫(改訂增補), 135쪽에는 ‘고려공산청년회중앙집행위원후보’ 7명 가운데 한사람으로 소개되어 있고, 慶尙北道 警察部,≪高等警察要史≫, 293쪽에는 ‘조선학생총연합회집행위원’으로 나오며 제1·2차<조선공산당사건판결문>에는 조선공산당후계당조직에 참여한 것으로 보아 좌경학생으로 볼 수 있다.
817)<대검찰청 소장>(≪형사재판원본≫제1책 3, 소화 2년 4월분), 508∼509쪽.
818) 중앙중고등학교,≪중앙60년사≫, 127∼129쪽.

중등학교생 중심의 거사계획 주동인물의 인적 사항은 다음과 같다.

박용규(22), 경북 달성군 하빈면 소동805, 중앙고등보통학교 5학년.

곽대형(20), 전북 김제군 만경면 만경리355, 중동학교특과 2학년.

김재문(22), 전북 임실군 임실면 성가리 284, 중앙학교특과 3학년.

황정환(22), 전북 익산군 망성면 화산리107, 중동학교특과 3학년.

이동환(27), 전북 정읍군 산외면 형사리26, 중앙고등보통학교 5학년.
819) 중앙고등학교,≪중앙60년사≫, 125∼127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