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Ⅴ. 문화3. 과학과 기술의 발달1) 하늘의 과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가. 궁중수공업
              • 나. 관영수공업
              • 다. 궁중ㆍ관영수공업관사의 변화
            • (2) 민간수공업
              • 가. 농민수공업
              • 나. 귀족의 수공업 경영
              • 다. 사원의 수공업 경영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가. 남자
              • 나. 여자
            • (2) 의복
              • 가. 포
              • 나. 바지
              • 다. 저고리(단의와 내의)
              • 라. 치마, 허리끈과 옷끈
              • 마. 반비
              • 바. 배당
              • 사. 표
              • 아. 요대
              • 자. 버선·버선목
              • 차. 화·화대·이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가. 원측의 유식학
              • 나. 서명학파
              • 다. 법상종 승려들의 유식학
            • (2) 원효 교학
              • 가. 생애와 활동
              • 나. 기신론 철학
              • 다. 교판
            • (3) 화엄교학
              • 가. 의상의 생애와 활동
              • 나. 의상의 화엄사상
              • 다. 화엄종과 의상 화엄의 계승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가. 신라 통일 이전의 한문학
              • 나. 8세기 승려들의 시문
              • 다. 9세기 신라 한문학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가. 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나.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 다. 8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라. 9세기의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가. 시대개관
              • 나. 범종
              • 다. 사리장엄구
              • 라. 장신구 및 생활용구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가. 토기
              • 나.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가. 탑파
              • 나. 부도
              • 다. 석등
              • 라. 당간과 당간지주
              • 마. 석련지와 석련대
              • 바. 석비와 탑비
              • 사. 석교
            • (5) 성곽
              • 가. 왕경의 성곽과 구성문제
              • 나. 소경과 주성
              • 다. 축성기법의 예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가. 삼현과 삼죽의 기원
              • 나. 거문고의 수용과 옥보고
              • 다. 삼현과 삼죽의 악조 및 악곡
              • 라. 옥보고의 창작곡과 악가무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가. 당악과 당악기의 등장
              • 나. 불교음악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4) 역법과 연호

 시계가 하루 동안의 시각을 재는 것과 달리 날자 가는 것을 재는 장치로는 달력이 있고, 또 더 길게는 해수가 바뀌면 그 순서를 어떻게 따지는가 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긴 시간을 재거나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물론 曆法과 年號의 문제가 있다.

 삼국통일 이전에 어떤 역법으로 날짜 가는 것을 따지고 있었던가는 역시 분명히 밝혀져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삼국시대의 역사를 밝혀주는 가장 중요한 역사책≪삼국사기≫에는 수많은 기록이 남아 있지만, 이들 연대기적 기록은 거의가 날자는 밝히지 않은 채 어느 해 봄, 또는 여름 등 계절만 밝혔거나, 또는 그 사건이 일어났던 달만이 밝혀져 있다. 날자가 밝혀진 경우란 대개 일식이 일어난 경우뿐이다. 일식은 원래 초하루에 일어나게 되어 있으니까 당연한 일이라면 당연하다. 이런 사정으로 볼 때 특히 6세기초까지의 신라는 아직 역법을 제대로 사용할 줄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

 일식기사를 제외하면≪삼국사기≫에서 날자가 밝혀진 첫 기사는 逸聖王 10년(143) 6월 乙丑일에 熒惑이 鎭星을 범했다는 기록이 그것이다.1154) 또 한 가지 아주 예외적으로 날자가 밝혀진 초기기록으로는 신라 沾解王의 죽음에 관한 기록으로 정확한 날자까지 밝혀져 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삼국사기≫에 의하면 그는 재위 15년(261) 12월 28일 暴死했다.1155) 그 후에는 慈悲王이 재위 22년(479) 2월 3일에 죽었다고 날자를 밝혀 놓은 기록이 남아 있다. 그 후에도 眞智王 4년(578)과 善德王 16년(647)에도 왕의 죽은 날짜가 각기 7월 17일과 정월 8일이라 밝혀져 있지만, 이 몇 가지 경우 이외에는 모두 어느 달에 죽었다고만 기록되어 남아 있다.

 당시 사람들도 이미 날자를 따져가며 살았을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어떤 계산법에 의해 날자를 따졌던가가 분명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일식기록과 그 밖에 남아 있는 몇 가지 날짜 밝혀진 경우를 당시 중국의 역법과 대비하여 연구하면 혹시 당시 중국의 어느 역법을 기준으로 사용했던가를 짐작할 수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식으로 역법이 들어온 기록은 통일 직후인 문무왕 14년(674)에 보인다. 당나라에 갔던 대나마 德福이 역술을 배우고 귀국했으며, 이 때 새 역법을 썼다는 기록이 그것이다.1156)

 좀 더 긴 시간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든지 연호를 쓰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가장 간단한 방식은 당시 임금의 통치가 올해 몇년 째인가를 따지는 정도로 충분했을지 모른다. 그런 방식이 좀더 세련되어 중국에서는 연호라는 것이 발달했고, 삼국도 이를 흉내내어 고구려·백제·신라가 각기 고유 연호를 사용한 흔적이 남아 있다. 특히 신라는 통일 직전 한참동안 고유 연호시대를 가지고 있다.1157) 法興王 23년(536)에 정식으로 建元하고 건원을 연호로 쓰기 시작하여 진덕여왕 때까지 開國·大昌·鴻濟·建福·建興·仁平·太和 등의 여러 연호를 썼던 것이다. 그러다가 신라사신이 중국에 가서 당태종과의 담판 끝에 고유 연호를 포기하고 중국의 正朔을 받아 쓰기 시작한 것이 眞德王 4년(650)부터의 일이라 밝혀져 있다.1158)

 통일 이전에는 역법에 혼란이 있었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에는 중국에서 정삭을 받아 와 그대로 실시하여 그 후 줄곳 중국역법을 그대로 준용했던 것을 짐작하게 한다. 그 정도는 孝昭王(695) 새해의 시작을 子月로 바꿨다가 5년 뒤인 효소왕 9년에는 다시 寅月로 돌아갔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중국에서 당시 정권을 잡았던 則天武后의 역법을 따라 고쳤던 것으로 밝혀져 있다.1159)

 지금은 사라진 신라말의≪新羅年代曆≫이란 자료에 대해서 역법인 것으로 해석하고 있기도 하지만.1160) 이는 역서가 아닌 것 같다.≪삼국사기≫와≪增補文獻備考≫에 모두 역사책인 것처럼 기록된 것을 보더라도 이것이 역법이 아닌 것을 알 수가 있다.1161) 이 시기 동안에는 아직 통일신라는 독자적인 역 계산 수준에 이르지는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얻어 온 역을 해마다 적당히 바꿔 사용하면서 중국의 것을 계속해 참고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본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 통일 직전인 推古天皇 10년(602)에 백제의 승려 觀勒은 曆本과 천문지리서, 그리고 遁甲方術書를 가지고 일본에 건너갔다. 그리고 智通 4년(690) 11월 갑술(11일)에는 칙명을 받들어 일본은 元嘉曆과 儀鳳曆을 시행하였다. 그런데 이들은 모두 중국역법을 그대로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라나 일본이나 역법을 독자적 수준으로까지 끌어올리지는 못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1162)

1154)≪三國史記≫권 1, 新羅本紀 1, 일성 10년 6월 을축.
1155)≪三國史記≫권 2, 新羅本紀 2, 첨해니사금 15년 12월 28일.
1156)≪三國史記≫권 7, 新羅本紀 7, 문무왕 14년 정월.
1157)朴星來,<高麗初의 曆과 年號>(≪韓國學報≫10, 1978), 135∼155쪽.
1158)≪三國史記≫권 5, 新羅本紀 5, 진덕왕 4년.
1159)≪三國史記≫권 8, 新羅本紀 8, 효소왕 4년·9년.
1160)≪新羅年代曆≫이란 자료에 대해서는 중국과학사의 대가 조셉 니덤이 역법인 것으로 해석하고 있는데, 그것은 원래 이를 소개한 트롤로프의 논문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것은 역서가 아닌 것 같다(Joseph Needham, Science & Civilization in China, Vol III, 19, p.683. M. N Trollope, Korean Books and their Authors,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21, 1932, pp.1∼59).
1161)≪新羅年代曆≫에 대해≪增補文獻備考≫권 244, 藝文考 3에는 이 책을 역사서 가운데 분류해 놓고, 지은이만 崔致遠으로 밝혀 두고, 그 책 내용이나 구성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고 쓰여 있다. 그러나≪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지증왕조에는 최치원의≪帝王年代曆≫이 신라 임금을 모두 무슨 왕이라 부르고, 거서간등의 칭호를 말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金富軾은 이런 태도는 이 표현이 비속하여 쓰지 않았으나, 신라역사를 쓰면서 신라 방언을 그대로 남기는 것이 좋다고 주장하며 居西干·次次雄·尼師今·麻立干 등의 임금 칭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1162)≪日本書紀≫권 22, 推古 10년 10월·권 30, 智通 4년 11월 갑술(11일). 원가력은 424∼453년, 그리고 의봉력은 676∼678년 사이 중국에서 사용된 역법으로 의봉력은 인덕력(664∼665)과 같다고 밝혀져 있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