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 전통의 흐름을 내면서

조선시대의 불교, 축소된 교단과 신앙의 터전

성리학의 이념에 따라 성립된 조선 왕조는 불교를 강력히 억제하였고 불교 교단은 축소를 거듭하였다. 도첩제(度牒制) 시행으로 승려 배출을 억제하고, 지속적인 교단 억제책으로 선교 양종 체제로 축소시켰다. 승려의 도성 출입이 금지되고 국가적 불사는 위축되었다. 세조 때 한때 사원을 중수하고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불전을 간행하며 승과를 시행하기도 하였으나 성종은 출가 제도를 폐지하고 연산군은 선교 본사를 철폐하였다. 중종은 사원의 국왕 제사를 폐지하고 사원의 토지를 없앴다. 명종 때는 문정 왕후가 일시 흥불책을 펴서 보우(普雨)를 등용하고 승과와 양종 체제를 복구하였다.

이 시기에 함허(涵虛)는 교와 회통하는 선론을 펴고, 불교가 선악의 과보를 가르쳐 국가에 선을 행하게 하므로 충효와 어긋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하며 유불도(儒佛道) 삼교의 본지가 동일함을 주장하였다. 문정 왕후의 지원를 얻어 일시 부흥을 주도하던 보우 역시 선교일체의 사상과 함께 불교가 충효를 강조함을 역설하였다.

제도적인 억제책으로 사원은 피폐해졌지만 사후 세계에 대한 관심 등 신앙의 요구를 모두 없애지는 못하였다. 왕실에서는 망자의 제사를 절에서 지냈고, 억울한 영혼을 위로하기 위한 대규모의 수륙재(水陸齋)가 시행되기도 하였다. 사람들은 절을 찾아 지금 세상에서의 바람을 빌고 죽은 이의 넋을 위로하고자 하였다. 신앙으로 사원은 사람들의 발길을 모았고, 조선시대 사원 구조는 이를 반영하여 주 법당 외에 신앙의 전당인 관음전(觀音殿)과 지장전(地藏殿)이 함께 갖추어졌다.

조선 전기에는 어려운 사원 여건과 인재 부족 때문에 괄목할 만한 승려들의 활동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임진왜란을 겪으며 사원은 막대한 외형적 피해를 입었지만, 승려가 국난 극복에 적극 참여하여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룸으로써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맞았다. 전공을 세운 승려들이 직책을 받아 승직이 제도화됨으로써 이들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서산(西山)과 부휴(浮休)를 계승하는 양대 문파가 크게 번성하였다.

조선 중·후기의 불교계를 대표하는 서산 사상의 핵심은 선 위주의 선교합일(禪敎合一)이었다. 중·후기의 불교계에 미친 그의 절대적 영향에 따라 이는 전체 불교계를 지배하였다. 승려들이 경전 공부와 선 수행 그리고 염불을 복합 수행하는 삼학(三學) 수행이 보편화되었고, 후기의 교단은 강원(講院)과 선원(禪院)과 염불원(念佛院)이 갖추어진 총림(叢林)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강원에는 강사, 선원에는 수좌·유나 등의 직임을 맡은 승려가 수행을 이끌었으며, 이들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상세한 소임이 조직되었다.

서산과 쌍벽을 이루는 부휴계도 번성하여 벽암(碧巖)이 남한산성의 축조 등 국가적 활동을 활발히 한 이래 특히 문사들과의 교우가 두드러졌다. 그 후손인 백암(栢庵)은 임자도에 표착한 『금강경소』 등 경전 190여 권을 모아 1695년(숙종 21)에 간행하여 교학 융성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에 의해 정립된 조선 성리학의 사상적 진전은 불교계의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성리학 도통설(道統說)의 확립과 의례서(儀禮書)의 보급 그리고 교육 과정의 확립은 불교계에도 영향을 미쳐 서산의 제자 중관(中觀)을 중심으로 태고 법통설이 확정되고, 벽암은 『석문상의초(釋門喪義抄)』를 정리하여 승가 의례를 정리하였다. 사미, 사집, 사교, 대교과로 구성된 이력(履歷)이라 불리는 승가 교육 과정이 확립되어 이후 불교 교육의 근간을 이루었고, 이는 승려 양성과 활성화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조선 성리학을 바탕으로 문화 전반에 조선 고유색을 드러내는 진경(眞景) 시대에 사원의 중창 사업이 활기차게 진행되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이후 전개된 사원의 중건은 숙종대에 들어 더욱 활발하였고 이를 정리하는 사적비(寺蹟碑) 건립도 이루어졌다. 현존하는 사원 건축의 대종을 이루 는 대가람의 웅장한 건축물들이 대체로 이 시기에 이루어졌고, 대형 괘불도 많이 그려졌다. 이렇듯 상당히 큰 괘불이 만들어진 것에서 많은 사람이 모여 수륙재·천도재 등의 대규모 법회를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전기에 이어 관음과 지장이 신앙의 중요한 축을 이루었고, 관음 신앙은 밀교계 관음 경전의 대량 간행 보급으로 더욱 널리 퍼졌다.

영조대 이후의 조선 불교계는 『화엄경』 강의를 중심으로 강경 활동을 활발하게 펼쳤다. 백암·월저(月渚)로부터 환성(喚惺)·회암(晦庵)에 이르는 화엄 강의는 연담(蓮潭)의 사집과 사교에 대한 사기(私記)로 결집되어 이후 후학의 지침이 되었고, 인악(仁嶽)의 사교와 화엄 사기도 강맥을 따라 전승되었다. 이와 더불어 불교사에 대한 정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채영(采永)의 『서역중화해동불조원류(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정약용(丁若鏞)의 『대동선교고(大東禪敎考)』, 유형(有炯)의 『산사약초(山史略抄)』와 각안(覺岸)의 『동사열전(東師列傳)』이 역대 승려의 전기를 모아 편찬되었다.

유학자들의 불교에 대한 이해는 조선 후기에 들어 점차 깊어져 영조대 이래 유자들의 문집에서 불교에 관한 견해가 산견된다. 당대 최고의 성리학자였던 김창흡(金昌翕)은 불교와 관련된 수백 수의 시와 많은 사찰 탐방 기록을 남겼고, 조귀명(趙龜命)은 비판적인 관점에서 불교의 논지를 파헤친 원불(原佛)을 짓기도 하였다. 정약용은 유배 기간 중 많은 승려와 교유하고 유불을 견주어 이해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 불교학에서 가장 특기할 만한 것은 삼종선(三宗禪)에 관한 논쟁이었다. 서산의 사교입선(捨敎入禪)적인 선풍에 따라 임제종지(臨濟宗旨)가 불법 모두를 포용할 수 있다는 임제 우위설이 후학에게 계승되었다. 19세기의 백파(白坡)는 이를 계승한 『선문수경(禪門手鏡)』을 저술하여 임제 삼구(三句)가 선과 교의 모든 교리를 포섭한다는 삼종선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해 초의(草衣)는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를 지어 임제 이전까지 포함 하는 선론으로 안목을 넓혀 백파의 논지를 논박하였다. 이 논쟁 과정을 통해서 조사선과 여래선 등 선의 기초 언어가 계발되기도 하였지만, 모두 전통적인 선관에서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백파는 김정희(金正喜)와도 격렬한 논쟁을 전개하였다. 김정희는 화두에 천착하는 자체가 선가의 병폐임을 지적하며 선교화회(禪敎和會)를 역설하였으나 백파는 전통에 대한 집착을 굽히지 않아 불교의 변화를 이끌어 내지 못하였다. 당시 사상계가 새 시대의 전망을 제시할 수 없었던 것처럼 불교계도 시대를 선도할 새로운 사상과 종교 운동을 보여 주지 못하고 전통의 묵수와 정리에 그쳤다.

2007년 7월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필자] 정병삼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