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제1장 사찰의 공간 구성과 석조물의 상징3. 석조물에 등장하는 각종 조식

권운문

<권운문>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 비로사나불 좌상의 중대석에 새겨진 권운문이다.
<권운문>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의 중대석에 새겨진 권운문이다.

권운문(圈雲紋)은 구름을 표현한 조식으로 운문(雲紋)이라고도 한다. 불상 대좌, 부도, 석등을 비롯해 석비에 이르기까지 석조물 대부분에서 예를 볼 수 있다. 통일신라 하대에 조성된 석조물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는데, 석비에서는 주로 이수와 비신받침에서 등장하고 있다. 이수의 경우 여러 마리의 용과 결합되며 표현되고 있어 마치 구름을 날고 있는 용의 모습을 느낄 수 있을 만큼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불상에서는 중대석에 위치하여 종래의 팔각형을 무시하고 전면을 권운문으로 부조하여 조형 감각은 물론 평면 구도에까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부도에서는 주로 하단석과 중대석을 권운문으로 가득 채우고 있고, 석등 역시 대(臺)를 형성하여 간주석을 받치고 있다. 이처럼 권운문이 조식된 위치를 볼 때 각각의 조형물의 주인공은 천상의 세계에 있음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권운문>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비의 이수 부분으로, 권운문이 조각되어 있다.
[필자] 박경식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