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총설01권 한국사의 전개Ⅰ. 자연환경3. 인류학적 특성4) 산촌과 낙도 주민의 생태적 특성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한국사의 전개를 보는 시각
        • Ⅱ. 원시공동체의 사회
        • Ⅲ. 귀족의 탄생과 왕권의 강화
        • Ⅳ. 지배세력의 기반 확대
        • Ⅴ. 민족 구성원 전체의 사회참여
        • Ⅵ. 새로운 시각의 효과
      • Ⅰ. 자연환경
        • 1. 생태학적 특성
          • 1) 한반도의 위치와 지형
            • (1) 위치
            • (2) 지형
          • 2) 한반도의 기후
            • (1) 기후 특성
            • (2) 기온
            • (3) 강수량
            • (4) 한반도의 기후구분
          • 3) 식생
            • (1) 한반도의 자연식생과 잠재자연식생
            • (2) 삼림식생분포
            • (3) 식생분포와 기후
          • 4) 동물
            • (1) 동물분포
          • 5) 생태계
            • (1) 삼림생태계
            • (2) 하천생태계
            • (3) 간석지생태계
          • 6) 생물상
            • (1) 식물상
            • (2) 동물상
        • 2. 지리학적 특성
          • 1) 한반도의 지리적 위치
          • 2) 지질
          • 3) 지형
            • (1) 산지
            • (2) 하천과 평야
            • (3) 해안과 해양
          • 4) 기후
            • (1) 기온
            • (2) 강수
            • (3) 계절
          • 5) 요약 및 소결
        • 3. 인류학적 특성
          • 1) 한국인의 계통과 신체적 형질
          • 2) 자연환경과 지역성
          • 3) 농민의 육지생태계와 어민의 해양생태계 특성
          • 4) 산촌과 낙도 주민의 생태적 특성
            • (1) 산촌 주민의 생태적 특성
            • (2) 낙도 주민의 생태적 특성
          • 5) 도시인의 주거지역과 생태적 특성
            • (1) 중간층의 서민 주거지역
            • (2) 상층의 고급주택ㆍ아파트 주거지역
            • (3) 하층의 빈민 주거지역
      • Ⅱ. 한민족의 기원
        • 1. 고고학적으로 본 문화계통 -문화계통의 다원론적 입장-
          • 1) 연구방법론 선행조건
          • 2) 편년
          • 3) 문화계통
            • (1) 구석기시대
            • (2) 신석기시대
            • (3) 청동기시대
            • (4) 철기시대
          • 4) 한국문화의 다원론
        • 2. 민족학적으로 본 문화계통
          • 1) 한민족·한국문화 기원론의 흐름
            • (1) 한민족 형성과정에 대한 세 개의 입장 -혼혈론·주민 교체설·단혈성론-
            • (2) 퉁구스족과 예·맥·한족의 관계
          • 2) 고대 한민족의 문화적 여러 양상과 그 계통
            • (1) 민족지로서의≪삼국지≫위서 동이전과 문화권의 문제
            • (2) 생업기반과 사회조직
            • (3) 농경의례와 사회습속
            • (4) 샤머니즘의 세계관
          • 3) 맺는말
        • 3. 문헌에 보이는 한민족문화의 원류
          • 1) 곰과 호랑이 토테미즘
          • 2) 태양신앙·새 토템과 난생설화
          • 3) 산악신앙과 신수신앙
          • 4) ‘기자조선’과 은주문명
          • 5) 조선·한·예·맥의 공간
          • 6) 맺음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1. 선사
          • 1) 역사의 서장-구석기문화
          • 2) 정착생활의 신석기문화
          • 3) 청동기문화
          • 4) 원삼국문화
          • 5) 한국 농경문화의 기원-쌀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 2. 고대
          • 1) 국가의 성립과 발전
            • (1) 고조선의 형성
            • (2) 삼국의 성립과 발전
          • 2) 통일 신라의 수취제도
            • (1) 계연과 9등호제
            • (2) 녹읍제의 성격
          • 3) 발해인과 발해국
        • 3. 고려
          • 1) 정치적 특성
            • (1) 중앙의 정치체제와 그 성격
            • (2) 지방의 통치조직과 그 성격
            • (3) 대외적 시련과 극복
          • 2) 경제적 특성
            • (1) 민전과 공전·사전
            • (2) 전시과제도와 농장
            • (3) 상공업의 실태
          • 3) 사회적 특성
            • (1) 신분구조와 그 성격
            • (2) 가족·친족과 여성
          • 4) 사상적 특성
            • (1) 불교와 유교
            • (2) 도교와 풍수지리·도참사상
          • 5) 맺음말
        • 4. 조선
          • 1) 조선왕조사의 특징과 시기구분
          • 2) 조선 초기의 사회와 문화
          • 3)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4) 조선 후기의 사회와 문화
        • 5. 근현대
          • 1)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 개혁의 시련
            • (1) 근대의 초기적 특징
            • (2) 개항의 역사성과 사상계의 동향
            • (3) 개혁·반개혁과 열강의 각축
            • (4)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경장 전후의 사회 문화
            • (5) 대한제국의 성립과 독립협회, 시민운동의 대두
            • (6) 영·미의 책략과 일본 제국주의
            • (7) 반제국주의 민족운동의 전개
            • (8) 자주개혁의 좌절과 대한제국의 멸망
          • 2) 일제의 한반도 강점과 독립운동
            • (1) 일제의 강점과 식민통치의 기조
            • (2) 식민통치의 시기별 특징
            • (3) 한(조선)민족 독립운동의 전개와 의의
            • (4)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징
            • (5) 일제 강점기의 생활
          • 3) 해방정국과 현대사의 전개
            • (1) 해방과 분단과 혼돈
            • (2)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 (3) 4·19혁명과 민주화운동
            • (4) 산업화와 사회 문화의 발전
            • (5) 민주주의 개혁과 통일운동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1. 언어
          • 1) 한국어의 구조적 특징
          • 2) 문자화의 긴 도정
          • 3) 분열과 통합의 역사
          • 4) 한국어의 계통
          • 5) 결언
        • 2. 문학
          • 1) 전반적 양상
          • 2) 문학사의 전개
          • 3) 미의식
        • 3. 종교와 사상
          • 1) 종교와 역사
          • 2) 한국 종교사의 범위
          • 3) 종교란 용어의 출현
          • 4) 고유종교의 문제
          • 5) 한국 종교사의 전개
            • (1) 원시시대
            • (2) 고대
            • (3) 고려시대
            • (4) 조선시대
          • 6) 한국 종교사의 특성
        • 4. 과학기술 -한국 과학기술사의 시기별 특징-
          • 1) 전통과학시대
            • (1) 한국 과학전통의 평가와 반성
            • (2) 전통과학의 관 주도적 특성
          • 2) 근대과학시대
            • (1) 근대 과학기술의 수준-실학 시기
            • (2) 근대과학기술의 수용-개화기
            • (3) 식민지 조선의 과학기술 전개
          • 3) 현대과학시대-한국전쟁 이후
            • (1) ‘원자력 과학’에서 ‘월남전 기술’로
            • (2) 자생단계의 한국 과학기술
        • 5. 미술
          • 1) 선사시대 미술의 특성
            • (1) 신석기시대
            • (2) 청동기시대
          • 2) 삼국시대 미술의 특성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3) 통일신라시대 미술의 특성
          • 4) 고려시대 미술의 특성
          • 5) 조선시대 미술의 특성
          • 6) 맺음말
        • 6. 음악
          • 1) 한국음악사의 시대구분을 위하여
          • 2) 한국음악사의 전개양상
            • (1) 고대음악사의 형성과 발전
            • (2) 중세음악사의 큰 흐름
            • (3) 근대음악사의 큰 흐름
            • (4) 현대음악사의 현황과 당면과제
          • 3) 현대 남한음악계의 양상과 전망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산촌 주민의 생태적 특성

 산촌이 형성되고 발전해 온 역사적 배경은 무엇보다 산촌 주민의 경지개척과정, 특히 火田의 역사에서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우리 나라 화전의 기원은 고고학적으로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문헌에 나타난 기록만으로도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삼국사기≫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신라 진흥왕의 창녕정계비에 ‘白田’이라는 두 글자가 기록되어 있는데 그것이 바로 화전을 뜻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고려시대에는 토지의 등급을 상ㆍ중ㆍ하의 세 가지로 나누어 상등급은 ‘不易之地’라 하여 항상 계속적으로 경작하는 토지였고, 중등급은 ‘一易之地’라 하여 1년 동안 경작한 뒤에 다음 1년을 휴경하는 격년제의 경지였으며, 하등급은 ‘再易之地’라 하여 3년마다 1년씩 경작하는 토지였다. 그 중에서 일역지지와 재역지지는 오늘의 화전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인다. 조선 말기의≪증보문헌비고≫에도 전국의 경작면적을 기록할 때 수전ㆍ旱田ㆍ화전을 구분한 것으로 보아 화전경작은 고대로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계속되어 온 것 같다.031)

 한반도의 지세로 볼 때 화전경작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던 지역은 크게 셋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함경도의 낭림산맥 및 그 서쪽 사면과 개마고원을 중심으로 한 한국의 가장 높은 고산지대이고, 둘째는 평안도 묘향산맥과 언진산맥 사이의 산악지대이며, 셋째는 강원도의 태백산맥 일대이다. 화전의 개간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화전의 소재로 볼 때 산허리에 산재하는 화전의 경사도는 보통 22도에서 28도 가량이며, 아주 경사가 심할 경우에는 60도 내지 70도에 이르는 곳도 있다. 화전 1필지의 면적은 매우 넓어서 보통 2단보에서 5단보에 이르며 일반 농경지의 밭에 비하면 그 규모가 상당히 크다. 일단 화전에 적합한 위치를 선정한 다음에는 먼저 나무를 벌채하는데 너무 굵은 나무들은 벌목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그대로 두거나 껍질만 벗겨서 고사목이 되게 하여 불을 지른다. 흔히 가을부터 겨울철에 걸쳐 벌채와 운반을 하고 초봄의 해빙과 더불어 불을 지른다. 불이 다른 임야로 번지지 않게 하기 위해 바람이 없거나 적은 날을 택하여 짧게는 반나절, 길게는 2∼3일간 걸려서 불태우고 진화한다. 타다가 남은 끄트러기는 경작에 편리하도록 몇 군데에 모아둔다.

 경작은 불을 지른 다음 비가 한번 내린 뒤에 행한다. 그 이유는 재가 땅속에 스며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처음으로 행하는 최초 1년간의 화전을 부데기라 하고, 4∼5년간 계속하는 것을 화전이라 하며, 보통의 화전보다 경사가 급한 화전을 산전이라고 한다. 화전의 경작방식은 평지의 전답 경작방식과는 매우 다르다. 경사가 완만하여 땅을 갈기가 쉬운 곳에서는 기운이 센 소 두필로 쟁기질을 하는 쌍겨리질을 하지만, 경사가 급하거나 나무 끄트러기 또는 암석의 노출이 많은 곳에서는 쟁기질이 곤란하므로 따비로 땅을 판다. 파종은 해빙된 뒤에 될 수 있는 한 빨리 하는 것이 좋으나, 일단 해빙이 되더라도 다시 추위가 몰아닥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기를 결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뿐만 아니라 화전의 파종은 그 위치에 따라서 다르다. 즉, 서향이나 북향의 日照가 좋지 않은 곳에서는 해빙이 늦기 때문에 파종도 보통의 화전보다 10일 내지 20일 가량 늦어진다.

 화전 농작물은 파종의 시기별로 볼 때 가장 빠른 것이 조ㆍ감자ㆍ옥수수이며, 그 다음에 파종하는 것은 콩ㆍ팥ㆍ녹두 등이고, 가장 늦게 파종하는 것이 메밀이다. 토양별로는 화전 개간 초기의 비옥한 땅에 알맞은 작물이 감자이고, 그 뒤의 보통 토양에 알맞은 작물이 조 따위이며, 나중의 척박한 땅에도 잘 적응하는 작물은 메밀과 귀리 등이다. 그리고 지력의 소모를 완화하기 위해서 콩ㆍ팥 등의 콩과작물을 재배하기도 한다. 화전경작의 특징은 작물의 간작 또는 혼작에서 볼 수 있다. 원래 간작이나 혼작은 파종이나 수확에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지만, 노력도 부족하고 조방적 농업을 하는 화전민들이 간작이나 혼작을 하는 까닭은 산악지대의 기온이 낮고 일조시간이 불충분하여 작물의 생육과 성장이 좋지 못한 자연환경 때문이다. 파종에서 수확까지 제초나 시비 등 일체의 손질을 하지 않는 것도 화전경작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하겠다. 작물의 수확은 모두 서리가 내리기 이전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이 집중적으로 소요된다.

 화전의 땅값은 경작 연수에 따라 다르고, 경사도와 토질에 따라서도 각기 다르다. 그리고 같은 조건에서도 사유림의 화전은 국유림의 화전 경작권 임대료보다 훨씬 비싸고, 3차년도의 화전은 2차년도의 것보다 반액으로 떨어지며, 4차년도 이후의 화전은 거의 값이 나가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내버려두기도 한다. 화전의 경작 연한은 보통 4∼5년이고 휴경 연한은 짧으면 5년, 길면 10년이 걸린다. 화전민들은 대개 처음엔 국유림이나 사유림에 몰래 침입하여 나무를 베고 불을 지른 다음, 일시적인 간이주택을 짓고 화전을 경작한다. 그러다가 지력이 고갈되어 토양이 함유한 자연적 비료가 모두 없어지면, 가족과 함께 화전의 개간이 가능한 새로운 토지를 구하여 이동한다. 과거에 경작했던 화전의 휴경 기간이 충분히 지나 지력이 회복되면, 다시 그곳에 불을 질러 화전을 일구고 경작한다. 이처럼 화전의 경작과 휴경을 엇바꿔서 행하거나 작물을 돌려가며 경작하는 방식을 輪作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화전민의 遊農 특질은 자연이 부여한 토지의 능률을 혹사한다. 또 화전민들은 자연조건에만 의존하여 의ㆍ식ㆍ주를 비롯한 대부분의 생활물자를 획득하고자 한다.032) 예를 들면 강원도 태백산맥의 한 산간촌락인 화전민 마을 평창군 도암면 봉산리에서는 의복의 재료를 야생 동식물에서 얻는다. 겨울철의 사냥에서 잡은 멧돼지의 가죽으로 웃옷을 만들고, 칡이나 피나무껍질로 메투리와 주루막을 만든다. 골짜기에 흐르는 물은 그대로 식수나 세탁 용수로 이용되고, 고비ㆍ고사리ㆍ누르대ㆍ취ㆍ곤두래ㆍ따주기ㆍ청옥ㆍ멍이ㆍ곰취ㆍ병풍ㆍ잔대ㆍ도라지ㆍ더덕ㆍ두릅ㆍ표고ㆍ느타리 등의 산채와 버섯류는 일상의 부식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춘궁기와 흉년으로 기근이 심할 때에는 救荒 주식으로도 이용된다. 통나무 너와집은 화전민의 대표적인 가옥인데 그 재료는 모두 인근의 산에서 채취한 목재들이다. 석유등이나 촛불 또는 전기 대신에 관솔불로 조명을 하고 난방의 효과도 낼 수 있도록 벽에 구멍을 뚫어 만든 고콜은 산촌의 민가에서만 볼 수 있는 가옥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화전민들은 그들에게 주어진 자연환경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화전이나 지력이 회복된 과거의 화전 휴경지를 찾아 끊임없이 이동하다가, 마침내는 일정한 토지에 정착하여 2∼3대를 지내는 동안 작기는 하지만 화전촌락을 형성하기도 한다. 화전농업을 최근까지 실행하였던 화전민의 촌락은 우리 나라의 가장 특이한 산촌이다.033) 특히 외부 사회와의 접촉이 비교적 드물어 고립된 산촌에서는 과거에 화전민들이 산간의 자연환경에 적응하면서 살아온 전통적인 삶의 모습을 찾아보기가 쉽다.

031)小田內通敏,≪朝鮮部落調査報告 第一冊:火田民ㆍ來住支那人≫(東京:朝鮮總督府, 1924), 2∼4쪽.
032)韓相福,<韓國 山村住民의 衣食住>(≪社會學報≫7, 서울大學校 文理科大學 社會學科, 1964), 17∼36쪽.
033)韓相福,<韓國 山間村落의 硏究:江原道 太白山脈中의 二個 山村에 관한 構造的 分析>(≪社會學論叢≫1, 社會學硏究會, 1964), 133∼169쪽 참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